•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임신 및 출산을 지원하는 보건의료 시설과 양육을 지원하는 시설과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관련 인프라의 현황을 살펴보고 인프라에 대한 접근도와 인프라의 이용에 있어서의 형평성에 관해 논함으로써, 사 회 통합적 관점에서 바람직한 출산·양육의 공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각 장에서 포함하고 있는 연구 의 내용을 기술하였다. 제2절에서는 연구의 방법으로 전체적으로 사용된 연구 방법과 접근도의 형평성을 분석하기 위해 제6장에서 활용되는 공간 계량분석기법(Spatial Econometrics Approach)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형평성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정리하고 본 연구와 관련 된 보건의료 인프라의 형평성에 대한 개념과 본 연구에서 형평성에 관하 여 포함할 범위에 관하여 정리하였다. 이어서 영아기 양육에 있어서의 형 평성에 대한 개념과 영아기 양육 인프라의 형평성 분석을 위한 연구 범위 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임신 및 출산과 관련된 보건의료 인프라의 현황과 문제점 을 살펴보고, 영아기 양육을 지원하는 인프라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 았다. 제1절에서는 임신 및 출산과 관련된 보건의료 인프라의 수요와 관 련되는 모성사망률, 합계출산율 및 출생아 수를 17개 시·도별로 구분하 여 살펴본 후 인프라의 공급에 해당되는 산부인과 전문의와 산부인과 병 원, 산부인과 의원, 산부인과가 개설된 종합병원, 공공 보건기관 등의 시

18 임신‧출산 및 영아기 양육 인프라의 형평성과 정책과제

제1장 서론 19

(birth outcome)에 있어서의 형평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제5장과 유사한 방식으로 양육지원 인프라의 형평성을 접근도와 이용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제1절과 제2 절에서는 양육지원 인프라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공간적인 특성을 살펴 보았다. 제3절에서는 이러한 양육지원 인프라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고 려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공간 계량 분석기법(Spatial Econometrics Approach)을 통해 인프라에 대한 접근도를 분석하였 다. 제4절에서는 2014년 아이돌봄서비스 결과보고서와 2014년 건강가 정지원센터 사업결과보고서를 활용하여 가구특성에 따른 양육지원 서 비스 이용현황을 분석하였다.

제7장에서는 임신, 출산, 영아기 자녀 양육과 관련하여 이용한 시설에 대한 이용자 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기술하였다. 제2절 조사 결과는 임신·

출산 관련하여 이용한 인프라에 관한 측면과 영아기 자녀 양육과 관련하 여 이용하고 있는 인프라에 관한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제8장에서는 분석한 임신 및 출산을 지원하는 보건의료 인프라의 형 평성과 영아기 양육 인프라의 형평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고, 분 석결과와 해외 사례를 토대로 저출산에 대응하며 사회통합에 이바지하 는 바람직한 인프라의 양적 혹은 질적 향상 방안에 관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20 임신‧출산 및 영아기 양육 인프라의 형평성과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