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 방법

2. 연구 대상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별 담당 교사 현황은 <표 Ⅲ-2>와 같다. 보통교과는 기 총 계 491 100.0 9,315 12,609 21,924 100.0 자료: 교육통계서비스. retrieved 20 Aug, 2018 from https://kess.kedi.re.kr

구 분 계(비율) 구 분 계(비율)

나. 표집

자료: 교육통계서비스. retrieved 20 Aug, 2018 from https://kess.kedi.re.kr

는다고 할 수 있다(홍세희, 2000). 일반적으로 모델에 포함되는 변인의 수가 많 게 되면 모델이 복잡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추정되는 모수의 수도 증가하게 된다.

Joreskog와 Sorbom(1989)은 연구모델 하의 관찰변인의 수를 기준으로 적절한 표본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n=1.5*관찰변인의 수(관찰변인의 수 +1)로 제안하였다. Jackson(2003)은 측정모델을 포함하고 있는 구조방정식모 델에서는 ‘자유모수치: 표집인원수의 비율’을 기준으로 적절한 표본을 정해야 하지만, 표집크기는 200명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

한편, 다층구조방정식모형의 추정과 표준오차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2수준 분석 대상의 표본 수와 1수준 분석대상의 표본 수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Woltman, Feldstain, MacKay, & Rocchi, 2012). 다층자료를 1수준(개인수준)에서 분석 하는 것은 관찰단위의 독립성 가정을 만족하지 못하며, 2수준(집단수준)의 분석 에서 개인의 자료를 평균화하여 사용하는 것은 집계화의 오류와 생태학적 오류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강상진, 1998; 홍창남, 2005). 즉 교사협력과 학교 효 과성의 관계를 분석할 때 분석단위를 개인으로만 삼게 될 경우, 교사협력은 엄격 하게 말해 실제 협력관계가 아닌 협력관계에 대한 개별 교사들의 인식 수준이라 고 할 수 있다. 교사간의 협력관계라는 조직 내의 특성이 학교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 효과와 교사 개인 효과가 혼재된 것이다. 따라서 다층자료 분석 시 에는 1수준과 2수준 분석대상의 표본 수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층모형에서 요구되는 표본 크기에 대한 합의된 지침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30개 이상의 집단과 집단별 30명 이상의 표본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Kreft, 1996). 또한 집단의 수에 따라 집단 내 수가 달라지는데, Hofmann(1997)은 2수준 30개 집단의 1수준 집단별 30명의 자료를 확보하는 것(n=900)과 2수준 150개집단과 1수준 집단별 5명의 자료를 확보하는 것 (n=750)이 동일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적 정한 2수준과 1수준의 표본 수를 제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2수준에서 많은 표본 집단을 설정하는 것이 1수준에서 집단별 표본 수를 많이 표집하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며, 더 정확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Van der Leeden

& Busing 1994; Browne & Draper, 2000; Maas & Hox,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