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교사 수준 변인과 학교 효과성의 영향관계

교사 수준 모형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교사수업 협력, 교사성취기대 및 교사전문성을 투입하였으며, 이들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가지 는지 검증하기 위해 최종모형의 경로계수와 기각률(C.R.)을 산출하였다(<표 Ⅳ-11>

참조). 연구가설별로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2-1. 교사 수준 모형에서 교사수업협력은 학교 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교사 수준 모형에서 학교 효과성에 대한 교사수업협력의 경로계수는 .534(C.R.=6.117)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수업협력이 1 표준편차 증가할 때 학교 효과성은 .534 표준편차 증가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다. 따라서 교사수업협력이 학교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1은 채택되었다. 즉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들이 직무 수행 및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협력이 잘 이루어질수록 학교 효과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지게 되는 것으로 판 단할 수 있다.

경로 표준화계수 표준오차 기각률(C.R.)

교사수업협력→학교 효과성 .534 .063 6.117***

교사성취기대→학교 효과성 .344 .020 8.799***

교사전문성→학교 효과성 .295 .022 4.661**

**p<.01 ***p<.001

<표 Ⅳ-11> 교사 수준 변인과 학교 효과성간의 영향관계

122

-가설 2-2. 교사 수준 모형에서 교사성취기대는 학교 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교사 수준 모형에서 학교 효과성에 대한 교사성취기대의 경로계수는 .344(C.R.=8.799)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성취기대가 1 표준편차 증가할 때 학교 효과성은 .344 표준편차 증가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다. 따라서 교사성취기대가 학교 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라는 가설 2-2는 채택되었다. 즉 교사들이 평소 학생들에 대해 높은 학업성취를 달 성할 것이라 기대하고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학교 효과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 지게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설 2-3. 교사 수준 모형에서 교사전문성은 학교 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교사 수준 모형에서 학교 효과성에 대한 교사전문성의 경로계수는 .295(C.R.=4.661)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전문성이 1표 준편차 증가할 때 학교 효과성은 .295 표준편차 증가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다. 따라서 교사전문성이 학교 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3은 채택되었다. 즉 교사들이 스스로의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학교 효과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 교사 수준 변인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 있어 교사성취기대 와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교사 수준에서 매개변인으로 설정된 변인들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를 매개 하는지 검증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은 효과분석(effect decomposition)을 통해 직접효 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산출하여 판단하였으며(배병렬, 2016),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 증은 모집단의 분포에 대해 모수적 가정을 하지 않고 표본자료의 추론으로 모수를 추 론하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식을 활용하였다.

123

-1) 교사성취기대의 매개효과

가설 2-4. 교사 수준 모형에서 교사성취기대는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할 것이다.

교사 수준 모형에서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 있어 교사성취기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표 Ⅳ-12>와 같다. 교사성취기대의 교사수업협력과 학 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는 .260(0.756×0.344)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수업협력은 학교 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 (β=0.534, p<.001)을 미치며, 간접적으로도 정적인 영향(β=0.260, p<.05)을 미 친다. 따라서 교사성취기대가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 2-4는 채택되었다. 수업협력활동이 많이 이루어질수록 학교 효과성이 높아지는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이 나타나며, 교사성취기대를 매개하여 학교 효과성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접효과와 매개효과가 동시에 유 의하기 때문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Baron & Kenny, 1986).

2)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가설 2-5. 교사 수준 모형에서 교사전문성은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할 것이다.

경로 직접효과

(베타)

간접효과 (베타)

총효과 (베타) 독립-매개 교사수업협력→교사성취기대 0.756*** - 0.756***

매개-종속 교사성취기대→학교 효과성 0.344** - 0.344**

독립-종속 교사수업협력→학교 효과성 0.534*** 0.260* 0.794***

*p<.05, **p<.01 ***p<.001

<표 Ⅳ-12>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성취기대의 매개효과

124

-교사 수준 모형에서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는 .111(0.378×0.295)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 -13> 참조). 따라서 교사전문성이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 개할 것이라는 가설 2-5는 채택되었다. 즉 교사수업협력은 학교 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β=0.534, p<.001)을 미치며, 간접적으로도 정적인 영향(β=0.111, p<.05)을 미친다. 수업협력활동이 많이 이루어질수록 학교 효과성이 높아지는 직접적 으로 정적인 영향이 나타나며, 교사전문성을 매개하여 학교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접효과와 매개효과가 동시에 유의하기 때문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 교사 수준 변인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 있어 교사성취기대 와 교사전문성의 이중매개효과

가설 2-6. 교사 수준 모형에서 교사성취기대와 교사전문성은 교사수업협력과 학 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이중 매개할 것이다.

교사 수준 모형에서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에 대한 교사성취기대와 교사전문 성의 이중매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검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 을 위해서는 경로계수의 곱이 유의한지 검증하는 다변량 델타 방법이 널리 쓰인다

경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독립-매개 교사수업협력→교사전문성 0.378*** - 0.378***

매개-종속 교사전문성→학교 효과성 0.295** - 0.295**

독립-종속 교사수업협력→학교 효과성 0.534*** 0.111* 0.603***

*p<.05, **p<.01 ***p<.001

<표 Ⅳ-13>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125

-(김수영, 2017). 그러나 각각의 경로계수가 정규분포를 이루더라도 계수의 곱은 정 규분포를 이룬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서는 부트스 트랩을 이용하여 신뢰구간을 구하는 편이 더 나은 방법으로 간주된다(홍세희, 2013). 부트스트랩 방법으로 95% 신뢰구간을 구하고 신뢰구간 안에 0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유의미한 계수라고 간주하고 있다. 교사성취기대와 교사전문성이 교사수 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에 대한 이중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사수업협력이 교사성 취기대와 교사전문성을 거쳐 학교 효과성에 이르는 유의미한 경로는 나타나지 않았 다(<표 Ⅳ-14>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