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학교 수준 변인과 학교 효과성의 영향관계

학교 수준 모형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교장 리 더십,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기대 및 교사전문성을 투입하였으며, 이들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가지는지 검증하기 위해 최종모형의 경로계수와 기각률(C.R.)을 산출하 였다(<표 Ⅳ-15> 참조). 연구가설 별로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로 계수 95% 신뢰구간

하한 상한

교사수업협력→교사성취기대→ 교사전문성→ 학교 효과성 .103 -.005 .161

<표 Ⅳ-14>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성취기대와 교사전문성의 이중매개효과 분석

경로 표준화계수 표준오차 기각률(C.R.)

학교장 리더십→학교 효과성 .442 .085 1.622***

학교풍토→학교 효과성 .128 .116 1.076

<표 Ⅳ-15> 학교 수준 변인과 학교 효과성 간의 영향관계

126

-가설 3-1. 학교 수준 모형에서 학교장 리더십은 학교 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교 효과성에 대한 학교장 리더십의 표준화경로계수는 .442(C.R.=1.622)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장 리더십이 1표준편차 증가할 때 학교 효과성은 .442 표준편차 증가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따라서 학교장 리더 십이 학교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1은 채택되었다. 즉 학교 장이 교사들에 대해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며, 솔선수범하여 행동하며 변화를 선도하 고자 하는 행동을 할수록 학교 효과성이 높아지게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가설 3-2. 학교 수준 모형에서 학교풍토는 학교 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교 효과성에 대한 학교풍토의 경로계수는 .128(C.R.=1.076)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풍토가 학교 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정적 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4-2는 기각되었다. 즉 교사들간의 관계가 친교적이 며, 참여가 잘 이루어지고 헌신적인 풍토가 조성된 학교일지라도 학교 효과성이 직접 적으로 높아지는 것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경로 표준화계수 표준오차 기각률(C.R.)

교사수업협력→학교 효과성 .687 .306 2.611***

교사성취기대→학교 효과성 .256 .103 1.525**

교사전문성→학교 효과성 .153 .290 1.020

**p<.01 ***p<.001

127

-가설 3-3. 학교 수준 모형에서 교사수업협력은 학교 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교 효과성에 대한 교사수업협력의 경로계수는 .687(C.R.=2.611)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수업협력이 1표준편차 증가할 때 학교 효과성은 .687 표준편차 증가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따라서 교사수업협력이 학교 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4-3은 채택되었다. 즉 교사들 이 직무수행 과정에서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간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신 뢰하고 자신의 맡은 일에 책임을 지면서 자율적으로 함께 일할 수 있는 학교일수록 학 교 효과성이 높아지게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가설 3-4. 학교 수준 모형에서 교사성취기대는 학교 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교 효과성에 대한 교사성취기대의 경로계수는 .256(C.R.=1.525)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성취기대가 학교 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정 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4는 기각되었다. 즉 학교 수준에서 학생들이 높은 학업성취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및 긍정적인 인식이 공유되고 있을지라도 학 교 효과성이 직접적으로 높아지지 않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가설 3-5. 학교 수준 모형에서 교사전문성은 학교 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교 효과성에 대한 교사전문성의 경로계수는 .153(C.R.=1.020)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전문성이 학교 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정 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5는 기각되었다. 즉 학교 수준에서 교사들의 교

128

-육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 및 태도가 높은 학교일수록 학교 효과성은 직접적으로 높아지지 않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나. 학교 수준 변인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 있어 교사수업협력, 교사성취기대,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1) 학교풍토의 매개효과

가설 3-6. 학교 수준 모형에서 학교풍토는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 를 정적으로 매개할 것이다.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 있어 학교풍토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를 검증한 결과 학교장 리더십이 학교풍토를 매개로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0.079(0.622×0.128)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16>

참조). 따라서 학교 수준 모형에서 학교장 리더십이 학교풍토를 매개로 학교효과성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6은 기각되었다.

2) 교사수업협력의 매개효과

가설 3-7. 학교 수준 모형에서 교사수업협력은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할 것이다.

경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독립-매개 학교장리더십→학교풍토 0.622*** - 0.622***

매개-종속 학교풍토→학교효과성 0.128 - 0.128

독립-종속 학교장리더십→학교효과성 0.442*** 0.079 0.521

***p<.001

<표 Ⅳ-16>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학교풍토의 매개효과

129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수업협력의 매개효과는 0.101(0.148×0.687)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 -17> 참조). 따라서 교사수업협력이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 로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 3-7은 채택되었다. 즉 학교장 리더십은 학교 효과성에 직 접적으로 정적인 영향(β=0.442, p<.001)을 미치며, 간접적으로도 정적인 영향(β

=0.101, p<.05)을 미친다. 학교장 리더십이 효과적으로 발휘될수록 학교 효과성이 높아지는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이 나타나며, 수업협력활동을 매개하여 학교 효과성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사성취기대의 매개효과

가설 3-8. 학교 수준 모형에서 교사성취기대는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할 것이다.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 있어 교사성취기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를 검증한 결과 학교장 리더십이 교사성취기대를 매개로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간 접효과는 0.036(0.143×0.256)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18> 참조). 따라서 학교 수준 모형에서 학교장 리더십이 학교풍토를 매개 로 학교효과성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9는 기각되었다.

경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독립-매개 학교장 리더십→교사수업협력 0.148 - 0.148

매개-종속 교사수업협력→학교 효과성 0.687*** - 0.687***

독립-종속 학교장 리더십→학교 효과성 0.442*** 0.101* 0.543***

*p<.05, ***p<.001

<표 Ⅳ-17>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수업협력의 매개효과

130

-가설 3-12. 학교 수준 모형에서 교사성취기대는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할 것이다.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성취기대의 매개효과는 0.136(0.535×0.256)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 -19> 참조). 따라서 교사성취기대가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 3-12는 채택되었다. 즉 교사수업협력은 학교 효과성에 직접적으 로 정적인 영향(β=0.687, p<.001)을 미치며, 간접적으로도 정적인 영향(β=0.136, p<.05)을 미친다. 교사수업협력이 효과적으로 발휘될수록 학교 효과성이 높아지는 직접 적으로 정적인 영향이 나타나며, 교사성취기대를 매개하여 학교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독립-매개 학교장 리더십→교사성취기대 0.143 - 0.143

매개-종속 교사성취기대→학교 효과성 0.256*** - 0.256***

독립-종속 학교장 리더십→학교 효과성 0.442*** 0.036 0.478***

***p<.001

<표 Ⅳ-18>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성취기대의 매개효과

경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독립-매개 교사수업협력→교사성취기대 0.535** - 0.258**

매개-종속 교사성취기대→학교 효과성 0.256** - 0.256**

독립-종속 교사수업협력→학교 효과성 0.687*** 0.136* 0.823***

**p<.01 ***p<.001

<표 Ⅳ-19>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성취기대의 매개효과

131

-4)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가설 3-9. 학교 수준 모형에서 교사전문성은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할 것이다.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 있어 교사전문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 를 검증한 결과 학교장 리더십이 교사전문성을 매개로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간접효 과는 0.003(0.024×0.153)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 -20> 참조). 따라서 학교 수준 모형에서 학교장 리더십이 교사전문성을 매개로 학 교효과성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9는 기각되었다.

가설 3-13. 학교 수준 모형에서 교사전문성은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할 것이다.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는 0.111(0.728×0.153)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Ⅳ-21>

참조). 따라서 교사전문성이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할 것 이라는 가설 3-13은 채택되었다. 즉 교사수업협력은 교사전문성에 정적인 영향(β

=0.728, p<.001)을 미치며, 교사전문성은 학교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경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독립-매개 학교장 리더십→교사전문성 0.024 - 0.024

매개-종속 교사전문성→학교 효과성 0.153 - 0.153

독립-종속 학교장 리더십→학교 효과성 0.442*** 0.003 0.445***

***p<.001

<표 Ⅳ-20>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132

-(β=0.153, p>.001). 한편, 교사수업협력은 학교 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β

=0.687, p<.001)을 미치며, 간접적으로도 정적인 영향(β=0.111, p<.05)을 미친다. 교 사수업협력이 효과적으로 발휘될수록 학교 효과성이 높아지는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이 나타나며, 교사전문성을 매개하여 학교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학교 수준 변인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 있어 교사수업협력, 교사성취기대, 교사전문성의 이중매개효과

1) 교사수업협력과 교사성취기대의 이중매개효과

가설 3-10. 학교 수준 모형에서 교사수업협력과 교사성취기대는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이중 매개할 것이다.

학교장 리더십과 학교 효과성에 대한 교사수업협력과 교사성취기대의 이중매개 효과 를 분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교장 리더십이 교사수업협력과 교사성취기대를 거쳐 학교 효과성에 이르는 효과는 0.020(0.148×0.535×0.256)으로 95% 신뢰구간 안에 0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표 Ⅳ-22> 참조). 따라서 교사전문성과 교사수업협력이 학교장 리더십과 학 교 효과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이중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 3-10은 기각되었다.

경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독립-매개 교사수업협력→교사전문성 0.728*** - 0.728***

매개-종속 교사전문성→학교 효과성 0.153 - 0.153

독립-종속 교사수업협력→학교 효과성 0.687*** 0.111* 0.798***

*p<.05, **p<.01 ***p<.001

<표 Ⅳ-21> 교사수업협력과 학교 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