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내용과 방법

3.1. 연구범위와 보고서 구성

벼 대체 사료작물의 경제성과 이용시스템 검토를 위해 이 연구에서 분석 하는 주된 작물은 식용 벼와 사료용 옥수수, 사료용 총체벼로 설정한다. 이 는 하계작물로 논에서 무리 없이 재배가 가능하고 일정 수준의 소득을 올 릴 수 있는 작물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료용 쌀도 논에서 재배가 가능한 작물이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생산 및 이용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 으며 정밀하게 검토할 수 있는 관련 연구 실적도 충분치 않기 때문에 일본 의 사료용 쌀 재배 사례 소개로 접근한다.

이 연구에서 이용된 연중조사료 생산을 위한 최적 작부체계는 농촌진흥 청 축산과학원의 최근 연구자료를 이용한다. 다만 최적 작부체계에서 소개

되는 다양한 조사료 작물의 생산성과 경제적 시장가치에 대한 자세한 자료 가 미비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사례분석에서는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있고 일선에서 거래되고 있는 청보리의 생산성과 가격을 이용한다. 유통되 는 조사료 제품과 관련해서는 TMR 업체와 농가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곤 포사일리지 중심으로 검토한다.

이 보고서는 모두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의 서론에서는 연구 의 필요성과 목적, 선행연구 검토, 연구 내용과 방법 등이 설명된다. 2장은 국내 사료작물 이용 동향을 요약하고 있다. 3장은 벼 대체 사료작물 재배 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고 있다. 4장은 해외의 벼 대체 사료작물 이용 현황과 정책을 소개하고 국내 경종농가와 축산농가, TMR 업체를 대상으 로 조사한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5장은 사료작물 이용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6장은 보고서 내용의 요약과 결론이다.

3.2. 연구 방법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 논 이용 현황과 미래 전망 및 자급 조사료 생산과 이용 전반에 대해 검토한다. 이를 위해 농림수산식품부, 농 촌진흥청, 기타 관련 국내 정부 및 민간기관의 자료를 검토하고 해외의 조 사료 관련 현황 파악을 위해 일본 농림수산성, 초지축산종자협회 등의 자 료를 검토한다. 또한 정부의 조사료 생산·이용 활성화 TF 활동과 함께 연 계하여 국내산 조사료 증산 대책 수립 과정에 참여한다.

사료작물 생산의 일차적 주체인 경종농가를 대상으로 사료작물 재배에 대한 의견을 설문조사하고, 사료작물의 최대 수요처인 TMR 업체와 축산 농가의 조사료 이용에 대한 의견 청취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특히 생산에서 유통까지의 종합적인 이용시스템 구축을 위해 생산과 유통현장 의 의견 청취를 실시하고, 도입 가능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정리를 위해 농 촌진흥청 축산과학원의 자료를 인용한다<그림 1-1>.

그림 1-1. 연구 체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