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본 연구는 최근까지 한국 사회에서 진행된 혼인과 출산 생애 과정에 관 한 ‘경험적’ 분석에 초점을 맞춘다. 본 연구가 최근까지 진행된 인구변동 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논의는 각 분 석 부분별로 필요한 수준에서 간략히 검토한다. 연구의 구성과 관련하여, 우선, 제2장에서는 혼인 생애 변동을 분석하는데, 생애에 걸친 혼인 이행 경험이 출생 코호트별로 그리고 기간별로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 는가를 살펴본다. 출산이 혼인을 전제하는 한국 사회에서 생애 혼인율 (life-time marriage rate) 변동은 출산력 변동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

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장의 혼인과 출산 생애 분석에서는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조사 20% 자료(통계청, 2019d)를 사용한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기혼 여성의 임신-출산 패턴에 대한 심층적인 분 석과 함께 혼인 해체와 재결합 그리고 혼인 해체와 출산의 연관성에 관해 검토한다. 기혼 여성의 출산력 분석에서는 임신-출산의 계획성을 반영한 출산 행위 분석과 함께 추가 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 초 점을 맞춘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초저출산 현상이 장기간 지속되는 상 황과 맞물려 교육, 직업, 소득 등 사회경제적 요인별 차별출산력 현상이 과거에 비해 크게 약화된 상황(김두섭, 2007; 김태헌, 이삼식, 김동회, 2006; 최은영, 박영실, 2009)에서 임신-출산의 계획성을 반영한 분석은 출산력 현상에 대한 이해를 한층 더 높일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다음으 로 혼인 해체와 재결합 그리고 출산 분석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최근까지 진행된 혼인 해체와 재결합의 전반적인 패턴과 영향 요인들을 살펴보고 혼인 해체가 출산력에 어떠한 함의를 지니고 는가를 살펴본다. 기혼 여성 의 출산 패턴 그리고 혼인 해체와 출산의 연관성 분석에는 한국보건사회 연구원(2018)이 수집한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자료 (원자료)를 활용한다.

제5장에서는 부부를 대상으로 일-가족 생애를 살펴본다. 혼인과 출산 이 일-가족 생애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서는 일-가족 영역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부부(남편-아내)의 적응 패턴 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데,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이러한 정보를 획득하기 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비록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본 연구 에서는 출산 이력과 함께 부부의 일-가족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여 성정책연구원(2018)의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자료(원자료)를 활용 하여 혼인-출산과 일-가족 생애 과정의 전개 양상을 탐색적인(exploratory)

방식으로 살펴본다. 자료상의 제약이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 는 확률적인 모형 대신 생애 과정의 전형적인 패턴 확인에 초점을 맞춘다 (배열분석).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우리나라 저출산 대응 정책의 기본 방향을 논 의하는 한편 관련 정책 과제들을 검토한다. 구체적으로는 저출산 대응 정 책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참고할 필요가 있는 기본 원칙들(principles)을 검토하는 한편 최근까지 한국 사회에서 진행된 혼인-출산 생애 변동을 고 려하여 향후에 추진될 필요가 있는 정책 과제들을 살펴본다. 특히 우리나 라 저출산 대응 정책이, 사전 계획에 기초하여 새롭게 정책 과제들을 설 계하는 방식 대신, 기존에 정부 부처에서 추진 중이던 관련 과제들을 취 사선택하여 하나로 묶는 방식을 취했다는 점에서 저출산 대응 정책 과제 들의 ‘정합성’ 확보는 중요한 이슈이며, 이 과정에서 저출산 대응 정책들 이 일관되게 지향할 필요가 있는 기본 원칙들을 확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 한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