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청년실업이 전 세계적인 문제(ILO, 2013; OECD, 2012)로 부각됨에 따라 세계 각국은 청년실업의 대책 중 하나로 청년창업 활성화에 정책적 우선순 위를 부여

-한국의 청년실업률은 2011년 기준 OECD 국가 평균 청년실업률인 16.2%

보다 낮은 9.6%를 기록1)

-비록 OECD 평균보다 낮다고는 하나 지속적으로 10% 대를 유지하고 있 어 청년실업의 구조화가 굳어지고 있다는 추측이 가능

-한국에서 청년실업이 이슈가 되기 시작한 때는 1990년대 후반 금융위기 를 전후해서였으나 실제 청년창업 정책은 2000년대 후반 외환위기를 전 후하여 본격적으로 등장

◦서울시 청년층의 취업난은 전국에 비해서도 열악한 편이며 이는 대학 교육 의 중심지이자 고용 기회가 높은 대도시로서 서울에 청년층을 이끄는 유인

1) OECD 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청년의 기준은 국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15~29세가 아닌 15~24세임.

이 존재하기 때문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청년층 고용과 창업의 실태를 다양한 측 면에서 검토하고, 새로운 소셜 창업 방식 및 형태의 주요 사례를 분석해 정책적 함의가 있는 주요 경향을 도출하여, 최종적으로는 서울시 청년창업 을 활성화할 수 있는 창업지원 정책 방안을 제시

2. 연구목적

◦서울시 청년실업의 구조화 경향 심화, 이에 따른 기존 청년창업 정책 패러 다임의 한계 노정 등을 고려할 때, 서울시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개선안 마련이 필요한 상황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최근 민간 청년창업 생태계가 발전하면서 성공 적인 창업 전략으로 떠오른 소셜 창업을 활용한 정책 대안의 발굴과 효과 적인 기존 청년창업 정책과의 접목 방안 수립이 필요

-그러나 소셜 창업에 대한 통일된 정의나 개념조차 없는 상황에서 소셜 창업은 산발적인 사례로 막연하게 지칭되고 있을 뿐 정책적으로 유의미 한 경향이나 정형화된 특성마저 파악되지 않고 있는 실정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청년창업 및 지원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 하고, 이에 대한 해법으로 민간에서 부상하는 소셜 창업의 경향을 파악하 여 최종적으로 소셜 창업을 통한 서울시 청년창업 지원 정책의 개선안을 마련하는 것

-이를 위해 첫째로 서울시 청년층 고용과 청년창업의 주요 특성 분석을 통해 서울시 청년창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

-둘째로 최근 민간을 중심으로 확산 중인 새로운 창업 방식인 소셜 창업 의 배경과 의의를 개념화하여 현재 주요한 소셜 창업의 경향을 도출

-셋째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소셜 창업을 통한 기존 서울시 청년 창업 지원 정책의 개선방향 및 개선방안을 제안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