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헌조사

-청년창업 관련 선행연구와 국내외 새로운 형태의 창업 사례 문헌조사를 통해 청년창업의 주요 이슈와 추세를 파악하여 이론적 틀을 정립

◦통계분석

-정부공식통계(경제활동인구조사, 지역별 고용조사 등)와 여타 기관 자료 (한국직업정보시스템 등)를 활용해 서울시 청년층의 실업, 고용 및 창업 행태 분석

◦자문회의

-청년층 창업관련 전문가, 정책 담당자 및 민간 창업 사업자 등과의 자문 회의 개최

◦사례연구 및 심층인터뷰

-새로 등장하는 창업 사례와 관련된 기관 및 업체(씨즈, D.Camp, 벤처스 퀘어, 청년허브 등) 사례연구 및 방문을 통한 심층인터뷰 실시

◦공동연구

-서울시 산업 및 직업 추세 분석을 위해 관련 연구기관인 한국 고용정보 원과, 민간 창업 지원 생태계의 현황 파악을 위해 현장 업체인 벤처스퀘 어와의 의견교환 및 원고위탁을 통한 공동연구 수행

2. 연구범위

◦기존의 유사 연구는 산업별 창업 혹은 청년창업 일반에 대한 분석과 정책 방안에 한정

-현황 및 추세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기존 창업방식의 청년층 적용이라는 전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다수(김안국 외, 2010; 양현봉․박종복, 2011; 박동 외, 2010)

◦이 연구는 새로 등장하는 창업 방식인 소셜 창업에 기반을 둔 청년창업 지 원수단 발굴에 보다 중점을 두어 기존의 유사 연구와 차별화

-창업에서 개인의 부담과 위험을 사회적, 사교적인 측면으로 나누고 경감 해줄 수 있는 신뢰 기반의 자발적, 자생적 창업 방식 등장

-개인의 역량, 공공의 지원이라는 기존 창업 정책 구도에서 실행공동체 혹은 산업생태계를 통한 협력이라는 제3의 정책 방향 고려 가능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연구개요-서울시 청년실업 및 창업 현황-청년창업의 신경향분석-활용방안의 총 4장으로 구성

-제1장은 연구개요로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방법과 범위에 대해 논의

-제2장은 청년창업의 정의와 관련 개념을 논의하고 서울시 청년실업 및 청년창업의 주요 동향과 추이, 그리고 미래 유망 업종과 산업을 분석

-제3장은 최근 민간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새로운 청년창업 방식인 소셜 창업의 개념을 논의하고, 사례 연구를 통해 10개의 주요 신경향을 추출

-제4장은 기존 서울시 청년창업 정책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셜 창업과의 접목을 꾀할 수 있는 정책방향과 정책방안을 제시

연구개요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방법 및 범위

서울시 청년층 고용 및 청년창업 현황

청년창업 개념 정의

청년층 고용과 청년창업 동향 및 추이 분석

미래 유망 업종 및 직종 분석

청년창업 신경향 분석

소셜 창업 개념 정의

소셜 창업 10개 주요 경향 도출

소셜 창업 방식 활용 방안 제안

서울시 기존 청년창업 정책 개관 및 평가

향후 서울시 청년창업 정책 방향 제언

소셜 창업 방식을 통한 서울시 청년창업 활성화

방안 제시

<그림 1-1> 연구 흐름도

제1절 청년창업의 정의와 정책영역

제2절 서울시 청년층 고용 및 청년창업 현황 제3절 미래 유망 업종 및 직업 탐색

제2장 서울시 청년창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