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기초자료 조사

◦서울시 에너지 소비변화 조사

서울시 기후변화 대응 성과분석과 비전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1990년~2007년 기간의 에너지 소비변화 관련 기초통계 자료를 조사한다.

◦국내외 문헌 연구

저탄소 배출도시 조성을 위한 자치단체의 역할 정립 및 국내․국외 여건 등 을 비교분석하여, 저탄소 사회 실현을 위한 기초정보를 확보한다.

2) 해외 선진사례 조사

서울시 기후변화 대응 성과분석 및 비전 수립을 위해 선진 외국도시에서 시 행하고 있는 기후변화 대응방안과 추진전략을 분석한다. 도시 중심의 온실가

스 감축에 따른 미시적․거시적 효과를 고려하고, 선진 외국도시에서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 자치단체 중심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 사례 등을 검토하여, 제반 시사점을 도출하도록 한다. 이는 향후 서울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특화정책 마련, 중․장기 계획 및 비전 수립, 전략 도출과정에서의 원용 가능성을 모색 하기 위함이다.

3) 탄소배출 자가진단 프로그램(Carbon Calculator) 활용 가능성 검토

기후변화 대응 자가진단 프로그램 개발 및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 탄소배출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개발 활용하고자 한다.

기후변화 실무 담당자와 일반 시민들에게 기후변화 유발요인을 파악하고 효 과적으로 대응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에너지 소비, 온실가스 배출원과 배출 량 산정, 효과 평가 등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서울시 기후변화 관 련정보의 검색, 자료입력,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사업의 효과산정,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시민의 자가진단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후변화 대응 자가진단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이에 해당된다.

제1절 연료소비 부문별 소비특성 제2절 연료유형별 소비특성 제3절 종합정리

제2장 서울시 에너지 소비특성 진단

2

제 2 서울시 에너지 소비특성 진단

제1절 연료소비 부문별 소비특성 1. 에너지원 분류체계

현재 환경부는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 특별법」 시행과 「수도권 대기환경개 선 기본계획」의 수립과정에서 대기 배출원의 효율적 관리 및 정책 성과 평가 를 위해 대기관리 기초DB인 대기정책지원시스템(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CAPSS)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CAPSS 시스템과 별개로 운영하고 있던 온실가스 배출시스템을 GHG-CAPSS 시스템으로 확장하여 대 기환경 개선과 온실가스 감축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DB 연계 프로젝트를 수행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원에서의 에 너지 소비패턴을 비산업, 제조업, 에너지산업, 도로․비도로 오염원 등으로 분 류하여 CAPSS 배출원 분류 체계와 연계하였다. 이는 향후 서울시 대기환경 및 온실가스 감축사업의 통합관리 가능성을 감안하여, 기후변화 대응 관련 에 너지 소비변화 자료를 대기환경관리 DB체계와 연계하여 살펴보기 위한 것이 다. 결과적으로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원별 에너지 소비패턴을 일반 대기오염

물질 배출원 분류체계와 상호 연계시켜 배출원의 통합관리에 따른 공편익

자료:한국석유공사, 「석유류수급통계」, 1990~2008. 광해방지사업단, 「광해통계연보」, 2006.

대한도시가스협회, http://www.citygas.or.kr/ 서울시, 「서울통계연보」, 1990~2008.

<그림 2-1> 서울시 연도별 에너지 소비량

2. 부문별 에너지 소비량

서울시의 부문별 에너지 소비현황을 살펴보면 제조업보다 도로 및 비산업 부문 가운데 가정․상업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향후에 도 제조업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은 점차적으로 감소되고, 가정․상업부문에서 는 꾸준히 증가될 것으로 예측된다. 증가추세를 보여 왔던 도로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은 지하철 및 대중교통체제의 완비 등으로 2002년을 기점으로 감소추 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주 5일 근무제 등 생활패턴의 변화로 낮은 증가세를 유 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자동차 등록대수는 2007년 2,933,286대로 전년대 비 2.68% 증가하였다.

비산업 부문 가운데 가정․상업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은 2004년의 경우 전 년대비 0.8% 하락하였으나 2005년에는 2.5% 상승한 53.9%, 2006년 50.5%, 2007년 49.3%로 약간 감소하였다. 그럼에도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향후 바이오디젤,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의 기술개발을 통한 상용화가 이루어진다면 석유 등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경

감시켜 에너지 수급문제와 환경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 어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1) 비산업 부문

서울시 비산업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은 1990년에 4,446천TOE에서 2007년 약 8,815천TOE로 늘어났으며, 연료별로는 등유․경유의 석유류(64.4%)와 전 력(24.3%)이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70.5%를 차지하였다. 석유류 소비량은 지 속적으로 증가하다 1997년 이후 급격히 감소 경향을 보여 2007년에는 전체 소 비량의 10.2% 수준인 905천TOE를 나타내었다. 반면 전력 소비량은 꾸준히 증 가하여 2007년 3,494천TOE로 전체의 39.2%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청정 연 료이며 사용이 편리한 LNG 소비량은 1990년에 불과 497천TOE(11.2%) 수준 이었으나 2007년에는 4,513천TOE(50.6%)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농축수산업 시설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은 전체적 으로 급격히 감소하여 2003년 이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990년 상업․가정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은 비산업 부문 에너지 소비량의 70.5% 수 준인 3,793천TOE 수준이었는데, 2007년에는 7,614천TOE로 늘어나 비산업 에 너지 부문 가운데 85.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림 2-2> 서울시 연도별 비산업 부문 에너지 소비량

연도 구분 석유 전력 LNG 무연탄 합계

대한도시가스협회, http://www.citygas.or.kr/ 서울시, 「서울통계연보」, 1990~2008.

<표 2-2> 서울시 비산업 부문 연도별 에너지 소비량

(단위:천TOE)

2) 제조업 부문

제조업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은 1990년 1,392천TOE에서 2007년 1,136천 TOE 정도로 18.6% 줄었다. 석유계와 LNG 및 전력 소비량이 대부분을 차지하 며 석탄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석유계 소비량은 IMF 영향으로 1997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해 2000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다.

전력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이다. 반면 LNG 소비량은 1999년에 크게 증가하여 1990년대보다 제조업 부문 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 하였으나, 최근까지 완만한 감소추이를 보이고 있다(<그림 2-3> 참조).

이러한 에너지 소비량의 변화는 서울시내 사업 여건이 다른 지역보다 악화 되어 타 지역으로 사업체가 이전한 영향으로 추정된다.4) 서울시 제조업 시설 은 1995년 81,835개, 2000년 72,754개, 2005년 67,484개로 감소하고 있으며, 종사자수 역시 감소하여 에너지 소비량의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표 2-3> 참조).

<그림 2-3> 서울시 연도별 제조업 부문 에너지 소비량

4) 서울시, 「사업체기초통계조사보고서」, 2006.

구분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사업체

수(개) 81,835 79,419 75,287 66,197 68,346 72,754 76,017 74,043 71,023 68,866 69,982 67,484 종사자

수(명) 732,691 808,516 648,077 575,849 572,114 568,421 631,741 571,651 529,493 464,256 473,643 445,157 자료:서울시, 「서울통계연보」, 각호

3) 에너지산업 부문

에너지산업 부문에서 주로 소비되는 에너지원은 1990년대의 경우 벙커C유 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전력과 경유의 비중은 낮은 편이었다. 이후 환경규제의 강화에 따른 영향으로 석유계 연료가 LNG와 전력으로 대체됨에 따라, 2007년 에는 LNG의 비중은 65.2% 수준으로 크게 높아졌다. 이는 서울시에 위치한 발 전시설인 ‘서울화력발전소’가 1993년 연료전환공사를 완공하여 벙커C유를 LNG로 전환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부문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발전과 지역난방이 서울시 에너지 산 업 부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발전 부문은 LNG가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지역난방과 관련하여서는 서울시의 보급 확대 정책으로 1998 년을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LNG 소비비중이 가장 높게 나 타나고 있다. 한편 석유정제시설에서 소비되는 연료는 경유와 LPG가 대부분 을 차지하고 있으나, 1천~2천TOE 미만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체연료전환시 설은 윤활기유가 주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007년에 118천TOE가 소비되었다.

<그림 2-4> 서울시 연도별 에너지산업 부문 에너지 소비량

연도 구분 석유계 전력 LNG 무연탄 합계

대한도시가스협회, http://www.citygas.or.kr/ 서울시, 「서울통계연보」, 1990~2008.

<표 2-5> 서울시 에너지산업 부문 연도별 에너지 소비량

(단위:천TOE)

4) 도로 ․ 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

도시의 온실가스 배출원 분류에서 에너지 소비 비중이 높은 부문은 도로 이 동오염원 부문이며, 이는 국내외 대도시 지역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1990년~2007년 기간 동안 도로․비도로 이동오염원 부문의 연료 소비 추세 는 석유류와 LNG가 주종을 이루며, 특히 석유류 중에서는 휘발유와 경유, LPG가 소비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휘발유의 비중은 점진적으로 낮아 져 1990년 도로․비도로 이동오염원 에너지 소비량의 33.4%에서 2007년 30.4% 정도로 감소하였다. 이와 반대로 LNG는 2001년부터 서울시에서 추진 중인 천연가스 시내버스 보급 정책에 따라 보급되기 시작한 이래로 급속한 상 승폭을 보이며, 2007년에는 157천TOE가 소비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LPG의 비중도 1990년 13.6%에서 2007년 21.0% 정도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비도로 이동오염원에 해당하는 철도의 경우 주로 경유가 소비되고, 해운 부

비도로 이동오염원에 해당하는 철도의 경우 주로 경유가 소비되고, 해운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