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도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8)

1. 자아탄력성 척도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Block과 Kremen(1996)의 자아탄 력성 척도를 바탕으로 박은희(1996)가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하고 김유미 (2013)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총 35문항으로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의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하위요인은 4~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Cronbach a 값은 .88이고, 각 문항에 대하여 자신이 느끼는 정도를 매우 그렇 다’ 5점, ‘그렇다’ 4점, ‘보통이다’ 3점, ‘그렇지 않다’ 2점,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인 Likert 5점 측정 척도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음을 의미 한다.

자아탄력성의 문항구성 및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표 4>와 같고, 검사지는 <부록 2>

에 제시하였다.

하위영역 문항수 문항구성 신뢰도 대인관계 8 1,5,9,14,19,23,26*,31 .66

활력성 8 2,6,10,15,20,24,27,32* .72

감정통제 4 11,16,28,33 .58

호기심 8 3,7,12,17,21,25,29,34 .63 낙관성 7 4,8,13,18,22*,30*,35* .72

전체 35 .88

<표 4> 자아탄력성 문항구성 및 하위요인별 신뢰도

* 표시는 역채점 문항

2.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

본 연구에서는 초등저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Gantt와 Tabone(1998)이 개발한 사과 따는 사람(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PPAT)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형식적 척도와 내용적 척도의 해석 기준에 따라 채점되며 각 하위 요소들의 채점요소에 따라 자아탄력성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사전·사후 로 나눠서 실시하고 검사결과를 양적·질적 분석하였다.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는 Gantt와 Tabone이 1998년 임상가와 연구자들에게 표준화 된 그림과 그것을 연구할 과학적인 평가도구를 제공하기 위해 PPAT를 개발하고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The Rating Mannual을 통한 형식적 척도(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와 내용적 척도(Contents Scale)로 그림을 평가하는 기준을 제시하 였다. PPAT는 자아를 상징하는 인물과 나무라는 요소 외에 사과를 따는 목적성을 가진 행위가 추가되며, 색채와 환경이라는 요소가 추가되어 이러한 요소를 한 장의 그림으 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정유미, 2015). 특히 기존의 그림검사들이 연필만을 이 용한 단색의 검사가 주를 이루는데 반해, PPAT의 경우 12색의 마커를 이용함으로써 색 채로 표현되는 개인의 성향, 기질, 정서적인 면까지 투사하는 특징이 있다(박성혜,

2011). 또한 통제성이 높고, 복원가능성이 낮으며, 색감이 명확한 마커를 이용하여 통 제에 대한 욕구, 조심성과 억제적 경향 등을 확인할 수 있다(Wadeson, 1994).

a. PPAT 실시방법

Gantt와 Tabone(1998)이 제시한 것과 같이 8절 흰색 도화지에 12색 마커를 검사재료 로 사용한다. 검사는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을 그리세요”라는 검사자의 주 제 제시로 시작되고 시간제한은 따로 없다.

검사가 끝난 뒤에 PPAT검사는 각각 FEATS와 Contents Scale의 해석 기준에 따라 채 점된다. 본 연구의 PPAT 검사 채점기준과 채점지는 부록에 제시되어 있다.

b. PPAT 채점기준

형식적 척도(FEATS)는 총 1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체계는 0점에서 5점으 로 이루어져 있고 0.5점 단위까지 나누어 평가할 수 있어 미세한 변화를 측정하는 것 이 가능하며. 하위요소들은 색칠정도, 색의 적절성, 내적에너지, 공간, 통합, 논리성, 사실성, 문제해결력, 발달 단계, 세부묘사와 주변 환경, 선의 질, 사람, 기울기, 의미 없는 반복이 있다. 또한 FEATS의 점수가 높다고 해서 더 좋은 그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점수는 그림에서의 형식적 요소가 많고 적은지를 나타낸다(Gantt & Tabone, 1998).

내용적 척도는 그림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FEATS를 보완하는 13개의 척도 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그림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위요 소들은 그림의 방향, 전체 그림에 사용된 색, 사람의 유무, 사람에 사용한 색, 사람의 성, 사람의 실제적 에너지, 사람의 얼굴 방향, 나이, 옷, 사과나무, 사과나무의 색, 주변 환경의 묘사, 기타가 있다. 이러한 내용적 척도는 점수로 매겨지지 않고, 사용여 부를 기초로 하여 채점된다. 신뢰도는 Cronbach's a는 .91~.97이다.

PPAT의 각 하위요소들의 채점기준은 <표 5>와 같다.

1.형식적 척도(FEATS) 1-1. 색칠정도

1-2. 색의 적절성 1-3. 내적에너지 1-4. 공간 1-5. 통합 1-6. 논리성 1-7. 사실성

1-8. 문제해결력 1-9. 발달단계

1-10. 세부묘사와 주변 환경 1-11. 선의 질

1-12. 사람 1-13. 기울기

1-14. 의미 없이 반복되는 선

2.내용적 척도(The Content Scales)

2-1. 그림의 방향

2-2. 그림전체에 사용된 색 2-3. 사람 유무

2-4. 사람의 성별 2-5. 사람에 사용된 색 2-6. 사람의 나이

2-7. 사람의 실제적 에너지

2-8. 사람얼굴의 방향 2-9. 사람의 옷 2-10. 사과나무 2-11. 사과나무의 색 2-12. 배경묘사 2-13. 그 밖의 요소

<표 5>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채점요소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5-3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