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방법

3. 연구도구

1)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가구형태, 종교, 경제수준, 보유만성질환, 최근 6개월 간 의료기관 및 서비스 이용 실태 등을 조사하였다.

2) 건강상태

(1) 신체적 건강상태

① Body Mass Index(BMI)

BMI는 신체계측을 통해 측정한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하였다. WHO에서 제시한 국제 분류기준에 따라 18.5kg/m2 미만은 저체중, 18.5kg/m2 이상 25kg/m2 미만은 정상, 25kg/m2 이상 30kg/m2 미만은 과체중, 30kg/m2 이상은 비만으로 분류하 였다(WHO, 2000).

② 신체기능

신체기능 평가를 위하여 균형검사, 보행속도 검사, 의자에서 일어 나기의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SPPB)를 사용하였다. 균형검사는 일반자세와 반 일렬자세에서 10초 이상 유지 시 각 1점, 일렬자세에서 3초 이상 10초 미만 유지 시 1 점, 10초 이상 유지 시 2점을 부여한다. 보행속도 검사는 평소 걷는 속도 로 4m를 걷게 하여 이를 수행하지 못하면 0점, 8.70초 초과 시 1점, 6.21-8.70초에 해당하면 2점, 4.82-6.20초에 해당하면 3점, 4.82초 미만일 경우 4점을 부여한다. 의자에서 5회 일어나 앉기를 수행하지 못하거나 60초 이상 걸릴 경우 0점, 16.70초 이상이면 1점, 13.70-16.69초는 2점, 11.20-13.69초는 3점, 11.19초 이하일 경우에는 4점을 부여하였다. 각 영 역은 4점 만점으로 세 영역의 점수를 합산한 값이 높을수록 신체기능이 좋다고 평가한다. 본 도구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alpha)는 .76이었으

며(Guralnik et al., 1994) 본 연구에서는 .62였다.

③ 악력

악력은 악력계 JAMAR Hydraulic Hand Dynamometer (Serial No. 11065445, MI,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오른손과 왼손을 각 각 2번 측정한 악력 평균값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기록하였다.

④ 간이영양상태평가지 단축형(Mini Nutritional Assessment -Short Form; MNA-SF)

노인의 영양상태는 Rubenstein et al. (2001)가 개발하였고 Nestle Nutrition Institute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한국어로 번안된 간이영양상태 평가지 단축형(MNA-SF)을 이용하였다. 본 도구는 선별검사에 해당하는 간이영양상태평가지 단축형(MNA-SF)과 본 평가지(MNA)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이영양상태평가지 단축형(MNA-SF)은 개발 당시 MNA 점수 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945). 총 14점 만점의 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2-14점은 ‘정상, 8—11점은 ‘영양불량 위험 있음’, 7점 이하는 ‘영양불량’으로 판정한다. 이 도구는 민감도 97.0%, 특이도 100%, 진단 정확도 98.7%를 보인다(Rubenstein et al., 2001).

(2) 정신적 건강상태 ① 지각된 건강상태

평상 시 본인이 생각하는 건강상태에 대해 묻는 1문항의 질문으 로 ‘1점=아주 건강하다’, ‘2점=보통이다’, ‘3점=건강하지 못하다’ 중에 응 답하도록 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건강상태가 좋지 못한 것이다.

② 스트레스

지난 한 주 동안의 스트레스에 대해 묻는 1문항의 질문으로 0-10 까지 숫자 중 해당하는 번호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0은 ‘전혀 스트레스가 없다’를 의미하며 10은 ‘스트레스가 심하다’를 의미한다.

③ 피로

지난 2주 동안의 피로에 대해 묻는 1문항의 질문으로 0-10까지 숫자 중 해당하는 번호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0은 ‘전혀 피로하지 않다’

를 의미하며 10은 ‘극도로 피곤하다’를 의미한다.

④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GDSSF-K)

Yesavage and Sheikh (1986)이 개발하고, 기백석(1996)이 한국어 로 번역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에 대해 ‘예’

또는 ‘아니오’로 응답한다. 2, 7, 8, 11, 12번 항목은 역환산 후 합산하여 15점 만점에 5점 이하는 ‘정상’, 6-9점은 ‘중등도 우울’, 10점 이상이면

‘우울증’으로 평가한다. 도구 개발 당시 Cronbach’s α는 .88 이었으며(기 백석, 1996),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는 .88이었다.

3) 건강행위

흡연(현재 흡연 여부, 하루 평균 흡연량), 음주(현재 음주 여부, 평균 월 음주 횟수, 음주량), 운동(평소 운동 실천 여부, 운동 종류, 1회 운동 시간, 주당 운동 횟수), 수면(하루의 수면시간, 수면충분정도, 지난 1주간 의 수면상태), 건강검진 및 예방접종(건강검진 및 독감, 폐렴구균, 파상풍 예방접종 시행 여부),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에 대해 설문 문항을 통해 조 사하였다.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은 미국 Self-Management Resource Center에서 개발하여 무상으로 배포하는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대상자가 의료진 과 대화할 때 질문 목록을 준비하는지, 의료진에게 궁금하거나 치료에 대해 이해되지 않는 것에 대해 질문을 하는지, 질병과 관련 있을 수 있 는 개인적 문제를 의료진과 의논하는지에 대한 세 가지 사항을 얼마나 자주 하는지 0-5점 척도(전혀 그런 적 없다-항상 그랬다)로 조사하였다.

세 가지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문항 수로 나눈 뒤 평균값을 내어 점수 가 높을수록 의료진과 의사소통이 활발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도구 개발 당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89, Cronbach’s α는 .78이었으며(Lorig et al., 1996),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는 .78이었다.

4) 운동행위 변화

대상자들의 운동 여부를 주당 150분 이상 중등도 강도 이상의 운동 수행을 기준으로(HHS, 2008; WHO, 2010) 구분하고 운동에 관한 설문문 항 응답 중 1회 운동시간(분)과 1주 당 운동 횟수(회)를 곱하여 대상자 들의 1, 2차년도 각각의 주당 운동 시간(분)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주당 운동 시간을 주당 150분 이상의 운동 수행을 기준으로 운동 여부를 구분 하여 운동지속형(stable active), 운동감소형(less active), 비운동형(stable inactive), 운동증가형(more active)으로 분류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