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4-90)

본 연구대상은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이며, 분석단위는 개인 수 준이다. 연구대상은 국내 노인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중에서 최소한 3개 월 이상 근무한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3개월 미만 근무자는 장기요양업

구 분 내 용

조사대상 노인노인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조사지역 전국

조사기간 2016. 7월 ~ 2016.12월

표본추출방법 임의 편의추출

자료수집 직접설문

무 및 수급자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이 어렵고 인간중심케어의 개념 및 감정노동의 효 과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3개월 미만 근무자는 제외시켰다11).

2)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윤리성 확보를 위하여 조선대학교 윤리위원회에 심의 신청을 하였고 조선 대학교 기관윤리위원장으로부터 2016년 7월 18일부터 1년간 승인(심의번호 2-104155-AB-N-01-2016-030)을 받아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 조사 시 연구대상자에게 개인 정보 및 설문지 응답에 대한 비밀 보장과 설문지 처리에 관한 사항, 연구 참여 철회 사항 등이 작성된 설명문을 제공하였으며 자발적인 참여로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대상 자에 한해 연구에 참여할 수 있게 하였다.

3) 표집방법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의 노인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연구대상으 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5,058개 노인장기요양시설 중 각 지역별 비율을 고려 하여 550개 시설을 표본추출한 후, 요양시설에 근무 중인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방문 직접설문을 실시하였다.

<표 3-6> 표집방법

11) 우리나라 각종 정부기관, 공공기관에서 신규 직원을 임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3개월 동안 수습으로 임용, 업 무를 숙달하는 기간을 두고 있으며, 이 기간이 일반적으로 3개월이다. 이 수습기간이나 업무 숙지 기간에는 정상적인 업무를 수행하지 않고, 남의 일을 보조하거나, 향후 업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이나 실습기간으로 운

본 연구를 실시하기에 앞서 작성된 설문지에 대한 오류를 검증하고 오류사항을 보완하 기 위하여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는 사회복지학과 교수 2명, 사회복지학과 재학생 3명, 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연구실 연구원 3명, 현재 장기요양업무를 수행 중에 있는 건강보험공단 직원 5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사전조사 후 에 현장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사전 현지조사를 광주지역 노인노인장기요양 시설 10개소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016년 6월 13일부터 6월 24일까지 11일간 진행 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설문문항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을 한 후에 2016년 7월 18일부 터 2016년 12월 20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장기요양기관에서 요양서비스를 실천하는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은 전국에 위치한 노인장기요양시설 5,083개 요양시설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550개 시설을 임의표본 추출하였다. 노인장기요양시설을 선정한 이유는 재가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관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받으면서 장기요양 업무를 수행하는 종사자에 한정하기 위해서이다.

설문지의 배포와 수거는 2016년 6월부터 6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노인장기요양시 설종사자를 직접 면담을 통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총 550개 시설 중 40개시 설이 설문거부 및 폐업하여 510부가 회수 되었으며, 이 가운데 요양보호사가 아닌 시 설장이 응답한 설문 28건, 기재하지 않은 문항이 많거나 일률적인 응답을 보인 22건을 제외하고 총 460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12).

3.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앞서 제시한 연구모형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하였다.

첫째, 조사응답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수들의 특성과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과 기술적 분석을 하였다.

둘째, 척도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를 확인하기 위해 SPSS 23.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12) 일반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사용시 표본크기는 200개 이상이 바람직하고, 추정모수의 5배 이상이면 충족시 켰다고 볼 수 있다(Bentler & Chou,1987). 본 연구의 sample은 460개로 추정모수 96개의 약 5.1배로 표본

셋째,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 계 분석을 하였다.

넷째, 본 연구가 제안한 연구모형의 가설을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다섯째,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잠재변수들의 경로와 효과크기를 확인하기 위한 가설과 검증을 통한 효과성 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잠재변인에 대한 측정 변인의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Squation Model)13)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모형의 추정방법으로는 완전정보 최대우도비법14)을 사용하였으 며, AMOS 23.0을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측정모형의 적 합도는 절대적합지수, 증분적합지수, 간명적합지수 별로 주요 지수를 이용하여 평가하 였으며,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홍세희, 2007).

13) 구조방정식모형은 구성개념간의 인과관계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통하여 모형간의 인과관계를 구체화한 후, 그 효과를 기술하여 설명된 분산과 설명되지 않은 분산을 구분하고 모형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방정 식모형을 말 한다(Joreskog & Sorborn, 1989).

14) 구조방정식 추정방식에서 완전정보 최대우도비법은 측정된 변수의 결측값이 우선적으로 발생하거나 결측여 부가 자료내의 다른 변수값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경우 목록별 결측값이나 대응별 결측치와 같은 전통적

구 분  빈도(명) 퍼센트(%)

나이  

30세미만 15 3.3

30~39세 25 5.4

40~49세 89 19.3

50~59세 249 54.1

60~69세 82 17.8

성별 남자 41 8.9

여자 419 91.1

교육정도

고졸 이하 254 55.2

전문대졸업 99 21.5

대학교졸업 94 20.4

대학원 졸업 이상 13 2.8

전공

없음(고졸) 185 40.2

사회복지 198 43.0

의학간호학 17 3.7

인문사회 13 2.8

신학, 종교 등 20 4.3

기타(이공계열) 27 5.9

자격증 개수

1개 366 79.6

2개 69 15.0

3개 24 5.2

4개 1 0.2

제4장 실증분석

제1절 표본 특성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인 요양보호사 460명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보면, 연령은 50∼59세가 249명(54.1%)으로 가장 많았고, 성별 구성은 여자가 419명(91.1%)으로 남자 41명(8.9%) 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전공은 사회복지가 198명(43.0%)으로 가장 많았고, 지역은 대도시 거주가 339명(73.7%)으로 가장 많았다(표 4-1).

<표 4-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인구 통계학적 요인

구 분  빈도(명) 퍼센트(%)

시설경력

1년 미만 124 27.0

1년 이상~3년 미만 132 28.7

3년 이상~5년 미만 96 20.9

5년 이상~10년 미만 92 20.0

11년 이상 16 3.5

업무경력

1년 미만 90 19.6

1년 이상~3년 미만 140 30.4

3년 이상~5년 미만 112 24.3

5년 이상~10년 미만 96 20.9

11년이상 22 4.8

월수입

100만원 미만 11 2.4

100만원~150만원 248 53.9

151만원~200만원 97 21.1

201만원~250만원 18 3.9

251만원~300만원 21 4.6

301만원~400만원 28 6.1

401만원~500만원 32 7.0

501만원 이상 5 1.1

연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살펴보면, 시설근무 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132명(28.7%)으로 가장 많았고, 1년 미만도 124명(27.0%)으로 많았다. 따라서 3년 미 만이 256명(55.7%)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5년 미만 근무자는 352명(76.5%)으로 대부분 5년 미만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 중 업무 경력은 1년 이상 3 년 미만이 140명(30.4%)으로 가장 많이 차지했다. 월수입은 100∼150만원이 248명 (53.9%)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사회·경제적 요인

구분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개별화 460 1.00 4.10 1.8561 .52691

조직적지지 460 1.00 4.00 1.8080 .56987

환경적접근 460 1.00 4.00 1.8337 .65184

계 460 1.00 3.90 1.8354 .51048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