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아침식사여부와 일반적 특성

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아침식사여부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표 1>

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근로시간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 연령의 경우 남성은 19~29세는 결식률이 74.6%로 높았고 30~39세도 결식률이 66.6% 로 높았다. 40~49세는 46.8%, 50~64세는 22.5%로 나타났다(p<0.001). 여성은 19~29세는 결식률이 70.6%, 30∼39 세는 결식률이 58.6%로 높게 나타났고 40~49세는 41.9%, 50~64세는 26.5%로 나타났으며 아침식사를 안먹는 사람의 평균 연령대가 낮은 것 으로 조사되었다(p<0.001).

거주지를 비교했을 때 도시에서 보다 읍면에서의 아침식사 섭취률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결혼 여부에서 남성은 아 침식사 섭취하는 경우가 기혼은 59.4%이고 미혼은 아침식사 결식군이 71.3%로 기혼 남성의 아침식사 섭취율이 높았다(p<0.001). 여성도 아침 식사 섭취하는 경우가 기혼은 59.7%, 아침식사 결식하는 경우가 66.9%

로 남녀 모두 기혼보다 미혼에서의 아침식사 결식률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수준에 따른 아침식사여부를 보면 남성은 소득에 상관없이 아침 식사 섭취율이 높았다(p=0.014). 여성의 경우도 소득과 상관없이 섭취율 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2). 남성과 여성은 모두 교 육수준이 낮을수록 아침식사 섭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은 초졸이 하 73.8%, 중졸 67.2%, 고졸 55.0%, 대졸이상 50.1%로 나타났고 여성은

초졸이하 75.6%, 중졸 67.8%, 고졸 50.3%, 대졸이상 46.8%로 나타나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가구원수에 따른 아침식사여부에서는 남성의 경우 1인 가구는 24.8%, 여성의 경우 1인 가구는 42.9%가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구원 수가 2명 이상인 경우는 남녀 모두 아침식사를 섭취하는 경우가 조금씩 높게 나타났고(p<0.001) 1인 가구일수록 아침을 거르는 경우가 많았다.

경제활동에 따른 아침식사여부를 보면 남성은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의 아침식사 섭취율은 51.5%, 경제활동을 안하는 사람의 아침식사 섭 취율은 38.0%로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의 아침식사 섭취율이 높았다 (p=0.003). 여성의 경우도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의 아침식사 섭취율은 53.1%, 경제활동을 안하는 사람의 아침식사 섭취율은 45.1%로 경제활동 을 하는 사람의 아침식사 섭취율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직업의 경우 남녀 모두에서 농림업 숙련종사자와 기능원 및 단순노무 종사자의 아침섭취율이 높았으며 남성은 각각 86.5%, 54.8%이고 여성은 85.5%, 62.1%로 다른 직업군에 비해 아침식사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근로시간에 따른 아침식사여부는 주당 근무시간과 아침식사 결식 과의 관계를 보면,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19~29 94 (25.4) 269 (74.6) 363 (100.0) (p<0.001) 140 (29.4) 333 (70.6) 473 (100.0) (p<0.001)

30~39 197 (33.4) 378 (66.6) 575 (100.0) 234 (41.4) 328 (58.6) 562 (100.0)

40~49 359 (53.2) 303 (46.8) 662 (100.0) 416 (58.1) 302 (41.9) 718 (100.0)

50~64 743 (77.5) 185 (22.5) 928 (100.0) 673 (73.5) 219 (26.5) 892 (100.0)

거주지 12.81 18.48

도시 1,117 (51.2) 989 (48.8) 2,106 (100.0) (p<0.001) 1,199 (51.1) 1,029 (48.9) 2,228 (100.0) (p<0.001)

/면 276 (59.5) 146 (40.5) 422 (100.0) 264 (57.7) 153 (42.3) 417 (100.0)

결혼여부 193.52 134.26

기혼 1,209 (59.4) 716 (40.6) 1,925 (100.0) (p<0.001) 1,260 (59.7) 795 (40.3) 2,055 (100.0) (p<0.001)

미혼 184 (28.7) 419 (71.3) 603 (100.0) 203 (33.1) 387 (66.9) 590 (100.0)

가구소득 10.67 14.38

104 (52.7) 62 (47.3) 166 (100.0) (p=0.014) 125 (51.0) 90 (49.0) 215 (100.0) (p=0.002)

중하 294 (53.4) 266 (46.6) 560 (100.0) 377 (57.3) 244 (42.7) 621 (100.0)

중상 428 (51.7) 391 (48.3) 819 (100.0) 448 (52.6) 429 (47.4) 877 (100.0)

567 (53.1) 416 (46.9) 983 (100.0) 513 (53.3) 419 (46.7) 932 (100.0)

표 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계속)

초졸이하 107 (73.8) 27 (26.2) 134 (100.0) (p<0.001) 192 (75.6) 51 (24.4) 243 (100.0) (p<0.001)

중졸 153 (67.2) 50 (32.8) 203 (100.0) 172 (67.8) 71 (32.2) 243 (100.0)

고졸 447 (55.0) 439 (45.0) 886 (100.0) 519 (50.3) 457 (49.7) 976 (100.0)

대졸이상 686 (50.1) 619 (49.9) 1,305 (100.0) 580 (46.8) 603 (53.2) 1,183 (100.0)

가구원수 83.60 29.65

1인 80 (24.8) 169 (75.2) 249 (100.0) (p<0.001) 112 (49.4) 113 (50.6) 225 (100.0) (p<0.001)

2인 337 (54.5) 183 (45.5) 520 (100.0) 383 (60.7) 208 (39.3) 591 (100.0)

3인 439 (56.8) 292 (43.2) 731 (100.0) 425 (51.7) 355 (48.3) 780 (100.0)

4인 409 (50.8) 378 (49.2) 787 (100.0) 414 (50.3) 381 (49.7) 795 (100.0)

5인 이상 128 (51.1) 113 (48.9) 241 (100.0) 129 (51.8) 125 (48.2) 254 (100.0)

경제활동상태 19.00 11.34

한다 1,298 (51.5) 1,020 (48.5) 2,318 (100.0) (p=0.003) 1,296 (53.1) 994 (46.9) 2,290 (100.0) (p=0.001)

안한다 95 (38.0) 115 (62.0) 210 (100.0) 167 (45.1) 188 (54.9) 355 (100.0)

표 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계속)

사무종사자 540 (50.5) 491 (49.5) 1,031 (100.0) (p<0.001) 552 (46.0) 578 (54.0) 1,130 (100.0) (p<0.001) 서비스 및

40시간 초과 608 (51.4) 491 (48.6) 1,099 (100.0) (p=0.834) 900 (52.1) 732 (47.9) 1,632 (100.0) (p=0.735) 40시간 이하 785 (51.3) 644 (48.7) 1,429 (100.0) 563 (51.8) 450 (48.2) 1013 (100.0)

2)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건강행태학적 특성

아침식사여부와 건강행태학적 특성과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표 2>

와 같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남녀 모두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아 침식사 섭취률이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음주에서 남성의 경우 아침식사섭취군과 결식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p=0.089), 여성의 경우는 음주가 잦은 그룹에서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아침식사를 결식하 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1). 흡연에서는 남성에서 흡연에 따른 유 의한 차이가 없었고(p=0.935), 여성에서 흡연하는 경우 아침식사 섭취율 은 39.2%, 비흡연자인 경우에는 아침식사 섭취율이 60.8%로 흡연하는 그 룹에서도 아침식사 결식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아침식사여부와 신체활동과의 관련성을 보면 남여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면시간의 경우 남녀 모두 6~8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남성은 수 면시간이 1~5시간으로 적은 경우 42.5%가 아침식사를 하며 6~8시간으로 보통인 경우 52.2%가 아침식사를 하였다. 9시간 이상으로 수면시간이 많 은 경우는 37.5%가 아침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면시간이 적거나 많은 경우 아침식사 섭취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여성의 경 우는 수면시간이 보통인 경우가 53.5%로 아침식사 섭취율이 높았고 수 면시간이 많은 경우는 아침식사 결식율이 높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p=0.001).

스트레스는 남성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1830, 여성의 경 우 스트레스 여 부와 상관없이 아침삭사를 하는 비율이 높았다. 1년간 체중조절 여부의 경우 남성이 아침식사를 섭취하는 경우는 체중감소 노 력한 사람인 53.6%, 체중유지를 노력한 사람이 52.2%, 체중증가를 노력 한 사람이 52.8%, 체중조절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54.0%로 나타났다. 체

중조절을 위해서는 모두 아침식사를 섭취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 났고(p<0.001), 여성에서의 체중조절 여부에 따른 아침식사는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p=0.085).

표 2.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건강행태학적 특성

건강함 498 (53.0) 363 (47.0) 861 (100.0) (p=0.134) 428 (53.1) 336 (46.9) 764 (100.0) (p=0.887)

보통 733 (51.1) 636 (48.9) 1,369 (100.0) 814 (51.8) 663 (48.2) 1,477 (100.0)

건강하지않음 162 (52.9) 136 (47.1) 298 (100.0) 221 (50.1) 183 (49.9) 404 (100.0)

음주 8.06 36.91

전혀안마심 140 (58.6) 78 (41.4) 218 (100.0) (p=0.089) 264 (63.6) 140 (36.4) 404 (100.0) (p<0.001) 한달에 한번 이하

마심 295 (50.5) 252 (49.5) 547 (100.0) 623 (52.8) 460 (47.2) 1,083 (100.0)

한달에 2~4회

흡연 1,066 (50.2) 867 (49.8) 1,933 (100.0) (p=0.935) 138 (39.2) 196 (60.8) 334 (100.0) (p<0.001)

비흡연 327 (50.2) 268 (49.8) 595 (100.0) 1,325 (53.9) 986 (46.1) 2,311 (100.0)

신체활동 0.02 1.13

실천 698 (50.3) 572 (49.7) 1,270 (100.0) (p=0.885) 674 (53.3) 520 (46.7) 1,194 (100.0) (p=0.286)

표 2.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건강행태학적 특성 (계속)

1∼5 시간 156 (42.5) 178 (57.5) 334 (100.0) (p<0.001) 191 (50.6) 173 (49.4) 364 (100.0) (p=0.001) 6∼8 시간 1,171 (52.2) 884 (47.8) 2,055 (100.0) 1,173 (53.5) 887 (46.5) 2,060 (100.0)

9시간 이상 66 (37.5) 73 (62.5) 139 (100.0) 99 (38.5) 122 (61.5) 221 (100.0)

스트레스 1.77 4.15

받음 1,226 (50.1) 1,018 (49.9) 2,244 (100.0) (p=0.183) 1,306 (51.5) 1,083 (48.5) 2,389 (100.0) (p=0.042)

안받음 167 (52.1) 117 (47.9) 284 (100.0) 157 (55.5) 99 (44.5) 256 (100.0)

체중조절 8.07 6.61

체중감량 561 (53.6) 398 (46.4) 959 (100.0) (p=0.044) 708 (50.3) 628 (49.7) 1,336 (100.0) (p=0.085)

체중유지 262 (52.2) 218 (47.8) 480 (100.0) 327 (54.5) 228 (45.5) 555 (100.0)

체중증가 98 (52.8) 84 (47.2) 182 (100.0) 41 (56.2) 34 (43.8) 75 (100.0)

안함 472 (54.0) 435 (46.0) 907 (100.0) 387 (53.8) 292 (46.2) 679 (100.0)

3)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식습관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식습관에 대한 결과는 <표 3>에 제시하였다. 남 성은 점심식사를주 5~7회로 자주먹는 경우에서 아침식사섭취군은 51.9%, 결식군은 48.1%로 나타났다(p<0.001). 아침을 식사하는 경우에 점심식사 도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저녁을 주 5∼7회 하는 경우는 아침식사섭취군 은 53.1%, 결식군은 46.9%로 나타났다(p<0.00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외 식에서는 아침식사섭취군은 51.3%가 외식을 하며 결식군은 48.7%가 외 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아침을 결식 할수록 외식을 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점심식사를 주 5∼7회 하는 경우는 아침섭취군은 53.6%, 결식 군은 46.4%로 나타 났으며(p<0.001), 저녁을 주 5∼7회 하는 경우는 아침 섭취군은 54.7%, 아침결식군은 78.2%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외식에서는 아침섭취군은 47.2%가 외식을 하며 결 식군은 52.8%가 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p<0.001) 여성은 특히 아침 을 결식하는 경우에 외식을 자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에서 모두 아침식사의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점심(

p

<0.001), 저녁(

p

<0.001)의 섭취빈 도가 모두 높았다.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영양소섭취 상태에 대한 결과는 <표 4>에 제시 하였다. 남성의 1일 열량섭취량은 아침식사섭취군이 2398.19±15.38kcal로 결식군 2367.66±12.96kcal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탄수화물 은 아침식사섭취군에서 351.37±2.87로 결식군에서의 탄수화물 섭취량 313.27±3.22 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방은 아침섭취군은 55.79±0.83, 결식 군은 63.41±0.85로 결식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0.001). 섬유소는 아침식 사섭취군에서 28.37±0.32, 결식군에서 22.85±0.59로 나타났고(p<0.001), 비

타민 C는 아침식사섭취군은 90.25±2.50, 결식군은 70.38±3.00으로 아침식 사섭취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칼슘은 아침식사섭취군은 588.75±5.13, 결 식군은 522.37±4.10으로 나타났다(p<0.001).

여성에서 1일 열량섭취량은 아침식사섭취군이 1748.94±64.07kcal로 결 식군의 1692.11±13.92kcal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아침식사 섭취군에서 탄수화물은 276.65±3.42로 결식군에서의 탄수화물 섭취량 245.93±2.22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지방은 아침식사섭취군은 42.61±0.78, 결식군은 46.27±0.91로 결식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0.001). 섬유소는 아 침식사섭취군에서 23.83±0.23, 결식군에서 18.56±0.27로 섭취군에서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타민 C는 아침식사섭취군은96.57±2.16, 결식군 은 68.98±3.29으로 나타났으며(p<0.001), 칼슘은 아침섭취군486.52±6.55, 결식군은 424.59±8.31으로 나타났다. 단백질은 남녀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3.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식습관

5∼7회 1,314 (51.9) 1,030 (48.1) 2,344 (100.0) (p<0.001) 1,338 (53.6) 1,000 (46.4) 2,338 (100.0) (p<0.001)

3∼4회 40 (29.1) 83 (70.9) 123 (100.0) 76 (33.1) 149 (66.9) 225 (100.0)

1∼2회 17 (56.9) 16 (43.1) 33 (100.0) 18 (38.5) 21 (61.5) 39 (100.0)

안먹음 22 (79.3) 6 (20.7) 28 (100.0) 31 (67.2) 12 (32.8) 43 (100.0)

져넉식사횟수/주 44.13 64.90

5∼7회 1,342 (53.1) 1,017 (46.9) 2,359 (100.0) (p<0.001) 1,307 (54.7) 918 (45.3) 2,225 (100.0) (p<0.001)

3∼4회 45 (29.3) 102 (70.7) 147 (100.0) 106 (32.3) 229 (67.7) 335 (100.0)

1∼2회 6 (26.4) 14 (73.6) 20 (100.0) 37 (53.9) 32 (46.1) 69 (100.0)

안먹음 0 (0.0) 2 (100) 2 (100.0) 13 (75.3) 3 (24.7) 16 (100.0)

외식횟수 25.28 138.41

하루에 1회이상 603 (50.2) 575 (49.8) 1,178 (100.0) (p=0.001) 313 (47.2) 325 (52.8) 638 (100.0) (p<0.001)

주 5∼6회 298 (51.3) 260 (48.7) 558 (100.0) 275 (44.7) 290 (55.3) 565 (100.0)

주 3∼4회 129 (52.6) 120 (47.4) 249 (100.0) 152 (37.3) 204 (62.7) 356 (100.0)

주 1∼2회 207 (58.8) 115 (41.2) 322 (100.0) 350 (57.1) 235 (42.9) 585 (100.0)

월 1∼3회 127 (60.0) 59 (40.0) 186 (100.0) 317 (72.2) 111 (27.8) 428 (100.0)

안함 29 (76.2) 6 (23.8) 35 (100.0) 56 (75.8) 17 (24.2) 73 (100.0)

표 4.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영양소

구분

남성 여성

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

(n= 1,135) p-value 아침식사셥취

(n=1,463)

아침식사결식

(n=1,182) p-value 열량 (kcal) 2398.19±15.38 2367.66±12.96 <0.001 1748.94±64.07 1692.11±13.92 <0.001

탄수화물 (g) 351.37±2.87 313.27±3.22 <0.001 276.65±3.42 245.93±2.22 <0.001

단백질 (g) 89.17±1.15 88.22±0.79 0.890 64.07±0.53 63.94±0.85 0.382

지방 (g) 55.79±0.83 63.41±0.85 <0.001 42.61±0.78 46.27±0.91 <0.001

섬유소 (g) 28.37±0.32 22.85±0.59 <0.001 23.83±0.23 18.56±0.27 <0.001

비타민 C (mg) 90.25±2.50 70.38±3.00 <0.001 96.57±2.16 68.98±3.29 <0.001

칼슘 (mg) 588.75±5.13 522.37±4.10 <0.001 486.52±6.55 424.59±8.31 <0.001

나트륨 (mg) 4662.07±54.04 4523.29±37.28 0.342 3238.98±41.13 3204.36±59.40 0.963

철분 (mg) 18.42±0.22 16.47±0.15 <0.001 13.93±0.17 13.26±0.22 <0.001

4).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체질량지수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체지량지수는 <표 5>에 제시하였다. 남성은 아 침식사 결식군에서 저체중은 3.3%, 정상체중은 29.6%, 과체중은 22.3%, 비만인 경우는 44.8%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정상인 경우가 많았고 결식 군에서 정상이 53.4%, 비만이 21.4%로 나타났다. 아침식사여부와 신체 계측과 관련된 결과는 <표 6>에 제시하였으며 남성은 평균체중이 아침 식사섭취군은 72.24±11.0, 결식군은 74.30±12.9, 여성은 아침섭취군은 58.53±9.3, 결식군은 58.77±10.3로 아침식사 결식군에서 체중이 높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신장과 허리둘레는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체질량지수는 남성은 아침식사섭취군이 24.76±3.2, 결식 군은 24.78±3.8로 아침식사 결식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은 아침 식사섭취군은 22.95±4.0, 결식군은 23.30±3.6으로 아침식사결식군에서 체질량지수가 높았다(p<0.001).

5.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체질량지수 키 (cm) 170.66±6.1 173.01±6.3 171.71±6.3 p=0.062 158.54±5.8 160.10±5.8 159.20±5.9 p=0.540 몸무게 (kg) 72.24±11.0 74.30±12.9 73.16±11.9 p=0.003 58.53±9.3 58.77±10.3 58.63±9.7 p=0.001 허리둘레 (cm) 86.75±8.7 86.01±9.8 86.42±9.2 p=0.772 78.15±9.5 76.50±10.0 77.45±9.7 p=0.617 체질량지수 (kg/㎡) 24.76±3.2 24.78±3.8 24.77±3.5 p<0.001 22.95±4.0 23.30±3.6 23.15±3.7 p<0.001

구분 정상체중(18.5≤BMI<23) 372 (27.0) 324 (29.6) 696 713 (50.5) 615 (53.4) 1,328

과체중 (23≤BMI<25) 409 (29.4) 266 (22.3) 675 304 (20.3) 190 (16.0) 494

비만 (BMI≥25) 592 (42.0) 512 (44.8) 1,104 384 (24.4) 278 (21.4) 662

1,393 (100.0) 1,135 (100.0) 2,528 1,463 (100.0) 1,182 (100.0) 2,645

3. 체질량지수와 일반적 특성

1) 체질량지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1) 체질량지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