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association of Breakfast Frequency and BMI in Adult -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16-2017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association of Breakfast Frequency and BMI in Adult -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16-2017"

Copied!
9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

아침식사와 체질량지수

(BMI)와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20162017)를 이용하여

-The association of Breakfast Frequency and BMI in Adult

-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16-2017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3)

아침식사와 체질량지수

(BMI)와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20162017)를 이용하여

-지도 이순영 교수

이 논문을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20년 2월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송 은 영

(4)
(5)

감사의 글

지난 2년동안은 많은 것을 배우게 된 시간이었습니다. 뒤늦게 공부를 다시 시 작한다는 것에 대한 열정도 있었지만 학업과 육아, 직장생활을 함께 해야한다는 것에 대한 부담감도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문을 무사히 끝낼 수 있었 던 것은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가능했으며 이 자리를 통해 감사의 인사를 드립 니다. 먼저, 이 연구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시고 논문의 전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세심하게 지도해주신 이순영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논문 심사과 정에서 꼼꼼히 검토해주시고 조언해주신 박재범 교수님, 이자경 교수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그동안 바쁜 시간 속에서도 많은 도움과 격려와 지지를 아끼지 않으신 건강증진센터 조승안팀장님과 공부를 시작할 수 있도록 용기를 주신 영 양팀 최선정팀장님, 이지현팀장님, 이혜경선생님, 김미향선생님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또 논문을 마무리하면서 심리적으로 부담이 컸는데 그때마다 위로의 말을 해준 직장 동료, 친구들, 2년동안 같이 고생하고 힘이 되어준 대학원생 동 문, 동생들에게도 고마웠습니다. 마지막으로 결혼하고 일하고 학교까지 다닌다고 육아를 거의 맡아서 해준 어머니, 항상 묵묵하게 지켜봐주고 어떤 선택을 해도 믿고 기다려주는 아버지, 논문 마무리하는 동안 예민해도 이해해주고 지지해주는 남편, 부족한 막내며느리에게 한없이 사랑을 주시는 시어머니, 시아버지, 멀리 있 지만 걱정해주고 응원해주는 미국에 있는 가족들에게 감사드리고 사랑하는 마음 을 전합니다. 특히 엄마가 학교에서 늦게 온다고 동생 잘 챙겨주고 무슨 일이든 알아서 해준 든든한 큰아들 유진, 항상 엄마 좋다고 힘들 때마다 기운나게 해주 는 사랑둥이 막내아들 유민이에게 세상에게 가장 소중하고 사랑한다고 얘기하고 싶습니다. 부족한 부분이 많겠지만 이 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은 이 모든 분 들의 사랑과 격려가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2019년 12월 송은영 올림

(6)

국문요약

본 연구는 전국규모로 이루어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 리나라 성인의 아침결식 실태를 파악하고, 아침식사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춰 아침식사여부와 체질량지수와의 연관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년도(2016), 2차년도(2017) 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연구이며 결측치를 제외하고 총 5,173명 (남성2,528명, 여성2,645 명)을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아침식사를 주 5일 이상 섭취하지 않은 경우 아침 결식군, 5일 미만 섭 취하지 않은 경우 아침식사 섭취군으로 분류하였다. 우리나라 국민전체를 대표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 합표본 교차분석, 복합표본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 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변수들의 값을 일정하게 보정한 후 분석하 였다. 연구결과 아침식사여부와 일반적인 특성에서는 연령의 경우 남성은 19~29세는 결식률이 74.6%로 높았고 30~39세는 66.6%, 40~49세는 46.8%, 50~64세는 22.5%로 나타났으며 여성 역시 19~29세는 결식률이 70.6%로 높았고 30~39세는 58.6%, 40~49세는 41.9%, 50~64세는 26.5%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아침식사를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 로 보여진다. 소득 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기혼보다 미혼인 경우, 주거지역이 읍면지역보다 대도시인 경우, 경제활동을 안하는 경우 아침결 식의 위험도가 높았다. 남성은 흡연과 음주하는 경우 유의한 차이는 없었 지만 여성의 경우에는 현재 흡연이나 음주를 하는 경우 아침결식의 위험 도가 증가하였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과의 연관성을 보면 성별에 따른 차이

(7)

가 나타났으며 여성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도시보다 읍면에 거주할수록 비 만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남성은 거주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 었고 근무시간, 음주, 흡연, 1년간 체중조절 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 으며 근무시간이 4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비만인 경우가 많았고 흡연을 하고 음주 횟수가 증가 할수록 비만율이 높았다. 여성은 미혼보다 기혼자 의 비만율이 높게 나타났고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비만율이 높 게 나타났다. 아침식사여부와 식습관의 연관성을 보면 식사를 규칙적으로 할수록 정 상체중이 많으며 남성은 저녁식사, 여성은 외식을 자주 할수록 비만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결식으로 인해 불충분했던 열량은 저녁식사와 외식시 과도한 열량섭취로 이어져 비만요인이 될 수 있다. 아침식사여부와 체질량지수간의 전체적인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비만 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의한 변수를 보정 한 결과 아침을 섭취하는 사람 에 비해 결식하는 사람의 비만 위험도(오즈비)가 남성은 정상체중 대비 저체중은 0.85배(95% CI:0.78-0.91)로 낮게 나타났으며 과체중은 1.18배 (95% CI:1.03-1.36), 비만은 1.70배(95% CI:1.21-2.38)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 은 정상체중 대비 과체중에서 1.03배 (95% CI:0.94-1.13), 비만은 1.14배 (95% CI:0.95-1.38)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 아침결식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아침식사 결식과 비만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아침식사 섭취군이 결식 군보다 비만도가 낮았고 결식군에서 과체중과 비만에 속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남성보다 여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식사결식으로 인해 부족한 열량은 저녁식사와 외식으로 인 한 과도한 열량섭취, 지방섭취과잉,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 부족으로 영양 불균형으로 이어져 아침식사와 체질량지수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8)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침결식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아침 식사의 중요성에 대한 대상별 맞춤형 교육과 실질적 해결안이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9)

차 례

국문요약 Ⅰ. 서론 ……… 1 Ⅱ. 문헌고찰 ……… 7 Ⅲ. 연구대상 및 방법 ……… 11 1. 연구모형 ……… 11 2. 연구가설 ……… 12 3. 연구대상자 및 표본 ……… 13 4. 분석자료 및 변수 ……… 15 5. 통계분석방법 ……… 19 Ⅳ. 연구결과 ……… 20 Ⅴ. 논의 ……… 50 Ⅵ. 결론 및 제언 ……… 56 참고문헌 ……… 59 부 록 ……… 71 영문초록 ……… 81

(10)

표 목 차

표 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 22 표 2.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건강행태학적 특성 ……… 27 표 3.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식습관 ……… 31 표 4.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영양소 ……… 32 표 5.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체질량지수 ……… 34 표 6.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신체계측 ……… 34 표 7. 체질량지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 37 표 8. 체질량지수에 따른 건강행태학적 특성 ……… 41 표 9. 체질량지수에 따른 식습관 ……… 4410. 아침식사여부와 체질량지수와의 연관성 ……… 47

그 림 목 차

그림 1. 연구의 틀 ……… 11 그림 2. 연구대상자 선정과정 ……… 14

(11)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하루 세 끼 식사의 균형은 바람직한 건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 한데 빠르게 변하는 현대사회에서는 전체적인 하루 식사가 불규칙할 뿐 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아침식사를 결식하게 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영양불균형 및 건강에 위험을 주는 문제가 점점 증 가하고 있다. 아침식사는 전날 저녁식사 후 비교적 긴 공복 시간 후에 하는 식사여서 정상 혈당을 유지하고 하루의 시작을 순조롭게 하기 위해 중요하지만 바쁜 하루 일과와 수면부족, 아침 피로, 잦은 간식과 야식섭 취 등의 원인으로 아침식사의 비중 감소와 결식이 보편화 되고 있다(박 준범 외, 2018). 아침식사의 결식률은 2007년 22.2%에서 2016년 25.2%로 3.0% 증가 하 였으며 2016년 기준 4명 중 1명은 아침식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2005년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아침식사의 결식율은 17%로 20대의 결식율이 가장 높고 20대의 아침식사 결식은 습관이 되어 결식이나, 폭식, 과식 등으로 이어져 결국에는 중년 이후의 건강에 영향 을 줄 수 있다.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연령별로 분석해보면 12~18세 34.6%, 19~29세 52.6%, 30~49세 29.2%, 50~64세 16.3%, 65세 이 상에서는 7.3%로 특히 젊은 성인에서 아침 결식률이 이전 조사와 비슷하 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렇게 사회 전반에 걸쳐 아침 결식률이 높은 이유로 아동의 경우‘입 맛이 없어서’이거나‘시간이 없어서’,‘늦잠을 자서’인 것으로 나타 났고 성인의 경우는‘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12)

(여운재 외, 2009). 아침식사의 결식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핵가 족화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식품 산업의 발달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이로 인해 가정에서 아침을 먹는 대신 간편식 등을 즐겨 섭취함으로써 영양소 섭취 불균형이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Lee 외, 2006). 아침식사 결식과 각종 건강상태 혹은 질환과의 연관성은 이미 여러 연 구에서 다루어져 왔다. 아침식사 결식이 잦은 경우 콜레스테롤, 중성지 방 증가, 혈압 증가와 연관이 있으며 당뇨병 전 단계 및 당뇨 진단율 상 승과도 관계가 있어 아침식사 결식은 전날 저녁식사 이후 오랜 공복 상태의 혈당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며 기억력을 필요로 하 는 업무의 효율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Kim NH 외, 2015). 따라서 규칙적인 아침식사는 건강한 생활의 원동력이며 균형된 영양소 섭취의 기본이며 아침식사를 하는 것이 지방 섭취를 감소시키고 충동적인 간식 섭취를 최소화함으로써 체중조절에 도움이 된다고 하여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임상적으로 증명하는 연구도 보고되었다(Nicklas 외, 2000). 아침식사와 영양소 섭취 상태를 연구한 결과에서 아침결식은 식사시간 의 불규칙성, 고지방 육류의 섭취증가, 술 섭취 빈도의 증가 등 영양상의 불균형을 초래할 위험성이 크다고 하였다. 또한 단백질과 비타민, 무기 질의 미량 영양소나 섬유소의 섭취량이 감소하게 되며 규칙적인 아침식 사는 지방섭취를 감소시킨다. 충동적인 간식섭취를 최소화함으로써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되며, 다른 끼니에서의 과식을 방지하고 학습능력이 향상되며 미량 영양소의 섭취가 높고 지방의 섭취가 낮으며 전체적인 식 사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현화진 외, 1998 ; 이혜양, 1998 ; Ruxton& Kirk, 1997).

(13)

아침식사를 거르는 습관은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게 아니라 오히려 비만 유병률과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규칙적인 아침식사가 건강한 생활을 하는데 있어 올바른 건강습관의 일부라고 할 수 있으며 아침식사 가 비만이나 만성질환, 어린이의 학업 성적과 인지 능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많이 있다. 하지만 현대의 바쁜 생활에 의해 아 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습관이 점차 밀려나고 있는 실정이다(Choi 외, 2003). 뿐만아니라 장기적인 다이어트의 성공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고 간헐적인 아침식사나 결식에 비하여 BMI 수치와 공복 시 혈당을 낮 추고 여러가지 대사 장애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관련이 있다는 연 구결과가 있다(Wyatt 외, 2002). 반면 아침식사 섭취 빈도가 체중이나 체지방 측정과 관계가 없다는 연 구 결과(Yang 외, 2006)등으로 연구에 따라 아침식사와 비만의 관계에 있어 혼재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대체로 사람들은 아침에 식욕이 없는 데 식사를 하게 되면 오히려 몸의 신체리듬이 이상해지고 위장에 부담을 주어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대체로 아침식사를 하 는 사람들은 습관적으로 흡연을 하지 않고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지 아침과 체중과의 상관관계를 증명하기는 어렵다는 주장이다. 아침을 안먹는 체중조절 방법 중 대표적인 것으로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간헐적 단식이 있다. 간헐적 단식은 체내 신진 대사율을 증가시켜 체중감량에 방법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 아침을 거르는 것이 하루 총 섭취량을 줄여 체중감량에 유리하며 칼로리를 제한하지 않고 체중과 복 부지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인슐린 저항성 증가, 심장질환 위험 요소 감소등의 효과가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이는 질병이 없는 건강 한 사람에서 시행했을 때이고 질병이 있는 사람이나 노인등에서 식사량 을 얼마나, 어느 정도로 해야 하는지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14)

선행연구가 있다 (Benjamin 외, 2015). 아침을 결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건강을 중시하는 사회적 변화의 정착으로 아침식사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으며 이는 건강에도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많은 연구에서 아침식사여부 는 식사의 규칙성 및 하루 영양섭취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건강과 밀접 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제한된 지역이나 성별, 청소년기 등 특별한 계층을 대상으로 적은 수의 표본으로 아침결 식과 관련된 요인만을 조사하거나, 결식으로 인한 영양섭취상태, 식사의 질 평가, 혈액검사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아침식사와 비만에 연관성에 대해 논란이 많은데 본 연구에서는 국민 건강영양조사자료(2016∼2017)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체 성인들을 대 상으로 성별에 따라 아침식사 결식의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인구사 회학적 특성, 건강행태학적 특성, 식습관을 변수로 아침식사여부와 체질 량지수와 연관성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국민들의 건강하고 바람직한 식 생활 개선과 아침식사의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건강증진 전략을 수 립하는데 보다 실질적이고 차별화된 맞춤형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 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15)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아침결식 실태를 분석하고 아침결 식과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행택학적 관련 요인, 식습관을 통제하 여 아침식사와 체질량지수와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침식사 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학 적 특성과의 연관성을 확인한다. 둘째, 아침식사 여부에 따른 식습관에 대해 확인한다. 셋째, 체질량지수에 따른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학적 특성과의 연관성 을 확인한다. 넷째, 체질량지수에 따른 식습관에 대해 확인한다. 다섯째,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학적 특성 및 식습관을 변 수로 통제한 후 아침식사와 체질량지수와의 연관성에 대해 확인한다. 3. 용어의 정의 1) 식습관 식습관이란 음식의 기호, 음식에 대한 태도, 식사의 태도 등을 포함하 는 것으로서 어릴때는 식품에 대한 편견이 없으나 점차로 성장하면서 식 품에 대한 편견을 갖게 되고 사회, 문화, 심리적, 환경 요인에 영향을 받 으며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습관화된 것이다(신성애, 2004). 식습관의 개념에는 영양적인 습관과 사회적이며 일정한 규제 속에서

(16)

풍속화된 관습이 함께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음식 역시 열량과 영양소 를 공급하려 공복을 충만하게 하는 생리적인 욕구를 해결한다는 중요한 의미 외에 인간의 정신 및 사회생활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요인이며 식습 관은 내적요인과 여러 외적 환경에 의해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식사 습관이라고 할 수 있다(장유경 외, 1988). 본 연구에서는 건강행태조사를 통한 영양조사에서 식품섭취조사 1일 전 결식 여부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식사 여부는 아침, 점심, 저녁식사, 외식에 빈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2) 체질량지수 비만이란 과지방인 상태, 과도한 지방조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하며 신체활동에 의해서 소비된 칼로리보다 음식물로 섭취된 칼로리 쪽이 많 을 경우 여분의 칼로리가 지방조직으로 몸속에 축적되어 생기는 것이다.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기준은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 기준인 BMI 25kg/㎡이상을 적용하고 있다. 이를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국민건 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성인비만율(만19세이상, 표준화)은 1998년 26%에서 2007년 31.7%, 2016년 34.8%로 20년 사이에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의 대표적인 진단방법인 체질량지수 BMI(body mass index)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체질량지수 18.4kg/㎡이하를 저체중, 18.5~22.9kg/㎡을 정상, 23~24.9kg/㎡ 이상을 과체중, 25 kg/㎡이상을 비만 으로 구분하였다(대한비만학회 2018).

(17)

Ⅱ. 문헌고찰

1. 아침식사와 비만 한국인의 아침 결식률은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 1994년 한국인의 25% 가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Lee HY, 1998). 아침결식률은 가 족구조의 변화,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로 높아지며 가정에서 아침을 먹 는 대신 간편식 등을 즐겨 섭취함으로써 영양소 섭취 불균형이 지속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아침 결식은 열량 및 영양소 섭취의 불균형, 불규칙적 인 식사로 인한 폭식, 과식 및 잦은 간식, 비만 위험도 증가, 오전 중의 인지능력 감소 등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윤선주 외, 2010). 아침결식으로 인해 충분하지 못한 에너지를 섭취로 인해 점심이나 저 녁의 과식등으로 이어지기 쉬우며, 신체는 반복되는 장기간의 공복으로 기초 대사량을 저하시켜 에너지를 저장하는 대사를 일으켜 규칙적인 식 사를 하는 사람들에 비해 비만이 되기 쉬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이영 , 2013). 아침식사는 끼니를 규칙적으로 섭취하게 하고 폭식, 과식 및 잦은 간식의 섭취를 예방하여 비만의 위험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이혜양 외, 1998). 또한 아침 식사를 적게 하는 소량 섭취군에서 아침 결식군에 비해 허리둘레, 체질량지수가 낮게 나타났다(Yeoh 외, 2009). 아침식사 섭취는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는 비만, 심장질환 위험을 낮추며 아침식사 를 하지 않으면 충분하지 못한 영양섭취를 하게 되고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경우 적은 에너지 섭취량을 보였으며 영양부족과 에너지 섭취 부족 은 건강관련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습관은 , 흡연과 같은 비건강한 습관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18)

(김지연, 2015).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들은 식사를 불규칙적으로 하는 사람들에 비해 1일 에너지 섭취량이 많지만, 체질량지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만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것(2일 동안 6 회 식사)이 2일 동안 한 끼니 또는 두 끼니를 결식하는 경우 보다 더 바 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일 동안 두 끼니를 결식하는 경우 와의 비만도의 차이는 2일 동안 한 끼니를 결식하는 경우와의 비만도의 차이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점심과 저녁을 다 먹었다는 동일 조건 하에서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아침식사를 결식하는 사람 들보다 비만도가 낮다는 것은 확인할 수 없었다(박미성, 2016). 에너지 섭취 상태나 식행동은 비만 발생의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으 며, 평소의 식습관과 식행동의 분석은 비만예방 및 체중감량에 매우 중 요하다(이유현 외, 2015). 아침식사는 다른 끼니에서의 과식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규칙적이지 못한 아침 식사를 하게 되면 부적절한 식이 섭취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며 비만인 사람들의 아침식사 결식률이 그렇 지 않은 사람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아침식사는 신체 대사과정을 움직이는 초기단계이며 하루 세 끼의 식 사 중 아침식사가 특히 중요한 이유는 아침식사를 매우 간단하게 하거나 결식을 하게 되면 그 날의 점심과 저녁 두 끼의 식사가 많아진다. 뿐만 아니라 하루에 필요한 영양소 섭취를 점심과 저녁식사에서 다 채워야 하 는데 이는 쉽지 않으며, 오히려 빈번한 간식이나 과식으로 이어져 올바 른 식품섭취와 바른 식습관을 방해하기 때문이다(Chang, 1997 ; Choi, 2006). 그러므로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것은 지방의 섭취, 잦은 간 식의 감소에 도움이 되고 다음 끼니의 과식의 방지를 위해서도 중요하다 (배윤정 외, 2011). 아침식사는 우리 몸이 에너지를 받아들이고 소모하는

(19)

대사작용을 원활히 하는 첫 단추라고 할 수 있다. 아침결식은 하루 전체 에너지 섭취량이 적어 칼로리 제한법의 하나로 생각될 수 있지만 아침 결식 후 음식이 들어오면 이를 소모하려고 하기보다 지방으로 축적하 려는 체질로 변해 비만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에너지 섭취량의 감소로 인해 기초 대사율 저하로 인한 체중증가의 위험이 있다. 2. 아침식사와 식습관 최근 사회의 변화와 함께 아침의 비중이 간소화되고 아침을 거르는 식 습관이 보편화되고 있다.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고에 따르면 아침 식사의 결식 비율은 17% 수준으로 1~2% 수준인 다른 끼니에 비해 현저 히 높으며 2008년 아침 결식률은 20.9%로 아침결식률은 계속 증가추세 를 보이고 있다. 1998~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19세이상 성인 55,718명)를 분석한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저녁식사를 외식으로 하는 비율은 1998년 20%에서 2012년 32%로 증가 하였으며, 점심식사는 1998년 가정식 외식 의 점유율이 47.8% 대 43.8%였으나, 2012년 45.7% 대 46.6%로 역전이 되었다. 아침결식이나 불규칙한 식사는 간식 섭취와 점심 식사의 과식으 로 고단백과 고지방식품의 섭취 빈도와 양이 증가되는 등 부적절한 식습 관과 연관이 되어 영양상 불균형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고 하였다(Lee HY, 1998). 아침결식으로 군것질이나 점심식사에 과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군것질 로 인한 포만감으로 점심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영양불량의 원인이 되고 과식으로 갑자기 당질 흡수가 많아지면 간에서 지방합성이 증가하여 심 혈관계 질환의 유발가능성이 있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오연진,

(20)

2008). 아침식사의 규칙성이 중년 남녀의 식습관 및 영양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아침식사가 불규칙적인 사람의 비율은 남자가 23.7%, 여자가 31.1%였다. 아침식사가 불규칙한 남자의 경우, 과식을 하 는 경우가 많으며, 고지방 육류와 술 섭취빈도가 높고, 체지방률이 높으 며, 체중과 serum tri-glyceride 및 지방간의 발병률이 더 높은 경향을 보 였다(이선희 외, 1996). 한편 총 에너지섭취량은 아침식사를 할 때와 큰 차이가 없으나, 영양소 및 식품 섭취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아침식사 가 불규칙한 여자의 경우, 과식하는 경우가 많으며, 외식과 술 섭취 빈도 가 높았다. 반면 총 에너지섭취량은 아침식사가 규칙적인 그룹에 비해 적고, 영양소 및 식품 섭취량도 낮은 경향을 보였다. 2001년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직장 남성의 외식과 아침 결식이 영양소 섭취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에서 외식이 높 고 아침 결식의 식습관을 가진 경우, 외식이 낮고 아침을 먹는 식습관을 가진 군에 비해 영양소 섭취 상태가 뚜렷이 불량하였다. 또한 칼슘, 철, 칼륨, 비타민 A의 섭취량과 영양소 밀도는 외식 빈도보다 아침 식사여부 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Lee JW, 2009). 아침식사와 영양소

섭취상태를 연구한 Ruxton & Kirk (1997)의 연구에서 아침을 섭취하는

사람은 미량영양소의 섭취가 높고 지방의 섭취가 낮으며 전체적인 식사 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식사로부터의 에너지 섭취가 부족하면 부족된 에너지를 그 날의 다른 끼니로부터 거의 보충하지 못한다고 하였으며 이는 아침결식 시 점 심의 폭식으로 이어져 당질 흡수량이 갑자기 많아지고 간에서 지방을 증 가시키기도 하여 심혈관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Nickias, 1993). 이처럼 아침식사는 하루를 시작할 수 있는 영양섭취와 에너지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중요성이 인지되고 있다.

(21)

Ⅲ.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모형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016~2017년도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아침식사 여부와 체 질량지수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2차자료 분석연구이다(그림 1).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행태학적 특성 식습관 그림1. 연구의 틀 나이, 거주지, 결혼여부, 가구소득, 교육수준, 가구원수, 경제활동 상태, 직업, 근무시간 체질량지수(BMI) ∙ 저체중 : BMI<18.5 ∙ 정상 : 18.5≤BMI<23 ∙ 과체중 : 23≤BMI<25 ∙ 비만 : BMI≥25 아침식사여부 ∙ 아침섭취 : 주 5~7회 ∙ 아침결식 : 주 0~4회 주관적 건강상태, 음주, 흡연, 신체활동, 수면시간, 스트레스, 체중조절 여부 점심식사 저녁식사 외식빈도

(22)

2. 연구가설 본 연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학적 특성, 식습관을 통제변 수로 하여 아침식사여부와 체질량지수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세웠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학적 특성은 아침식사여부에 영향을 줄 것이다. 2) 아침식사여부는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줄 것이며 아침식사 하는 사람 은 비만도가 낮을 것이다. 아침식사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규칙적이지 못 한 아침식사를 하게 되면 부적절한 식이 섭취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며 비만인 사람들의 아침식사 결식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높게 나타 났다고 하였다(Schlundt et al, 1992). 따라서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비만도가 낮 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3) 비만수준에 따라 식습관은 차이가 있을 것이며 식습관에 좋지 않은 사람은 비만도가 높을 것이다.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들은 불규칙 적으로 하는 사람에 비해 식사 횟수가 더 많아 에너지섭취량이 더 많고, 이로 인해 비만도가 더 높을 것으로 생각되기 싶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 에서는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들의 비만도가 식사를 불규칙적으로 하는 사람들에 비해 더 낮다고 하고 있다(이경혜 외, 2001). 이에 대 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식습관은 아침식사여부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4)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택학적 특성, 식습관을 통제한 후에도 아침식사여부와 체질량지수는 관련이 있을 것이다.

(23)

3. 연구대상자 및 표본 본 연구는 제7기 (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중에서 1차년도(2016 년)와 2차년도 (2017년) 원시자료(KNHANES Ⅶ-1, 2016와 KNHANES Ⅶ -2, 2017)를 이용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매년 192개의 표본 조사구 를 추출하여 2016~2018년에는 4,400여 가구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만 1세 이상 국민을 목표모집단으로 하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신뢰성 있는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단순임의 추출(simple random sampling)이 아니고 층화집락 복합표본추출법(stratified, clustered, and systematic sampling)에 의해 2~3단계 표본 추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대단위 모집단 의 자료를 단순임의 추출을 가정한 분석을 수행할 경우 모집단에 대한 편향(bias)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유의확률이 과도하게 작아져 검정 력을 높여 잘못된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로부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홈페이지에서 원시 자료 요청서를 작성하여 접수한 후 원시자료를 제공 받아 이차자료 분석 (Secondary data analysis)을 하였다. 연구주제와 연구목적에 대하여 공용 기관 생명윤리위원회에 심의면제를 신청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승인 번호AJIRB-MED-EXP-19-155) 총 16,27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만 19세 이상 65세 미만인 성인 9,597명 중 자료가 부적절하거나 결측치 가 있는 4,424명을 제외하고, 총 5,173명 (남성2,528명, 여성2,645명)을 최 종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대상자 제외기준은 다음과 같다(그림 2). 1) 19세미만 65세 이상 성인은 체지방률의 증가가 식이패턴보다 연령 등 다른 요인과 상관관계가 높으므로 대상에서 제외 2) 건강설문조사, 검진조사, 영양조사의 주요 연구변수에 결측치가 있는 경우 3) 극단적인 식이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하루 동안 섭취한 총열량이 500kcal

(24)

미만이거나 5,000kcal 이상인 경우 4) 체질량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측 정될 수 있는 임산부 5) 심혈관계, 내분기계, 암등 기타 질병이 있는 경 우 6) 모름이나 무응답으로 응답한 경우 그림2. 연구대상자 선정과정 남성 제외 대상; 나이 <19, ≧65 에너지섭취량 <500kcal, ≧5,000kcal 임신 결측치, 무응답 2016-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16,277명 여성 4,629 4,686 5,344 8,846 7,431 4,253 3,341 3,341 최종 분석대상자 2,528명 최종 분석대상자 2,645명

(25)

4. 분석자료 및 변수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가구원확인조사의 대상자를 선정한 후 건강설문조 사, 검진조사, 영양조사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국민건강영양조사 원 시자료 이용지침서, 제7기 1, 2차년도 2016~2017, 2019). 가구원확인조사 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수행을 위한 기초조사로 표본설계를 통해 선정된 지역 내 모든 거처 및 가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건강설문, 검진조사, 영 양조사에 참여할 가구(원)를 선정하는 조사이다. 건강설문조사는 조사방 법에 따라 가구조사, 건강면접조사, 건강행태조사로 구분한다. 1) 일반적 사항 ① 건강설문조사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건강 설문조사 항목 중 가구조 사 자료를 통해 조사대상자의 연령, 거주지, 결혼상태, 가구 소득, 교 육 수준, 가구원수, 경제활동, 직업, 근로시간을 포함하였다. 연령은 19~29세, 30~39세, 40~49세, 50~64세를 기준으로 하였고 거주지는 도시 와 읍/면으로 구분하고 결혼상태는 미혼과 기혼으로 구분하였다. 국민 건강영양조사에서 가구소득은 표본가구 및 표본인구의 소득사분위 기 준금액을 이용하여 개인소득수준을 이용하여 하, 중하, 중상, 상으로 구분하였고 가구원수는 1인, 2인, 3인, 4인, 5인이상 가구로 나누었다. 교육수준은 초등학교 졸업이하, 중학교졸, 고등학교졸, 대학교 졸업 이상으로 구분하고 경제활동은 경제활동에 참여한다, 안한다로 구분하

(26)

였다. 직업은 관리자, 전문가 및 사무종사자, 서비스 및 판매종사자, 농림업 숙련종사자, 기능원 및 단순노무종사자, 무직(주부, 학생등)으로 나누고 근로시간은 40시간 초과와 40시간 이하로 구분하여 변수로 포 함하였다. ② 건강행태특성 조사 건강행태변수는 주관적 건강상태, 음주, 흡연, 운동, 수면시간, 스트 레스, 체중조절여부를 연구변수로 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함, 보통, 건강하지 않음으로 구분하였고 음주는 아침결식 비율이 술을 안 마시는 사람은 13.2%인 반면에 알코올 의존자는 31.1%라는 연구 결과 에 근거로 변수를 포함하여 최근 1년동안 한달에 얼마나 자주 술자리 를 갖는가를 조사하여 항목별로 분류하였다(김형태 외, 2013). 흡연은 흡연 시 후각이나 식욕이 감소함으로써 식품 선택에 영향을 주게 되고 니코틴이 미각신경세포를 감소시키고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미각의 민감성이 크게 떨어졌다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변수로 포함였다. 흡 연력은 현재 흡연 중인 군과 흡연하지 않은군으로 구분하였다. 미국 심장학회에서 제시한 심혈관위험을 감소시키는 적절한 운동은 일주일에 수일이상, 가능한 한 일주일 내내 시행되는 하루30분 이상의

중등도 이상 고강도의 운동을 말한다.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2012)에서는 중등도 강도의 유산소운동을 최소한 주 150분 이상, 고강도 유산소운동 을 주 60분 이상으로 권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유산소 신체활동은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또는 중강도와 고강도 신체활동을 섞어서

(27)

각 활동에 상당하는 시간을 운동하였다면 실천, 그렇지 못하였다면 비 실천으로 구분하였다. 수면시간은 1~5시간, 6~8시간, 9시간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스트레스 인지율 변수는 스트레스 강도가 높을수록 불규칙한 식습관의 증가와 인스턴트식품의 섭취증가, 간식 섭취 빈도 증가, 외식 빈도 및 비용의 증가 등 부정적인 식생활로 변화를 유도하는 연구결과(홍지혜 외, 2014)에 근거하여 스트레스 받음과 안받음으로 구분하였다. 1년간 체중조절 여부에서는 아침식사 섭취가 체중조절 및 과식방지 를 돕는다는 연구결과(Yunsheng Ma 외, 2003)에 근거하여 변수로 포함 하였으며 체중감소, 체중변화 없음, 체중증가, 체중조절을 위해 노력하 지 않음으로 구분하였다. ③ 검진조사 신체계측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직접 계측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검진조사 자료를 통해서 수집되었다. 세계보건기구 아시아 태평양 기 준(WHO, Asia-Pacific Perspective, 2000)은 성인 아시아인의 체질량지 수 18.4kg/㎡이하를 저체중, 18.5~22.9kg/㎡을 정상, 23~24.9kg/㎡ 이상 을 과체중, 25 kg/㎡ 이상을 비만으로 구분하였다(대한비만학회 2018). 본 연구에서는 이 기준을 사용하였다. 신체계측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부록2>에 첨부하였다. ④ 영양조사 영양조사원은 24시간 회상법으로 대상자들의 1일 전 섭취한 음식의

(28)

종류와 섭취량을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 여 대상자들의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2) 식습관 ① 식사횟수 본 연구에서는 하루 식사횟수를 조사해 하루에 식사를 몇 번 하는지 조사하여 아침, 점심, 저녁 식사의 규칙성을 알아보며 외식의 빈도에 대해 확인하였다. 아침식사여부는 식품섭취조사 1일 전 결식 여부 자 료를 활용하였으며 4회 이하 섭취를 택한 대상자들을 아침식사 결식군 으로 분류하였고, 5회 이상 섭취를 한 대상자를 아침식사 섭취군으로 분류하였다. 아침식사 빈도를 2가지로 구분한 이유는 아침결식을 주 1회 이상으로 엄격하게 분류할 경우 아침 결식군의 비율이 높게 평가 될 수 있고 아침결식 빈도가 높은 대상자의 특성을 구분해 내기 어렵 고 너무 관대하게 분류할 경우 아침 결식군과 아침 섭취군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기준을 설정하고 분류하였다. ② 열량 및 영양소 섭취 상태 본 연구에서의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은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조사된 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대상자의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1일 총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하기 위해, 에너지(kcal) 및 8 가지 영양소 [탄수화물(g), 단백질(g), 지방(g), 섬유소(g), 비타민 C(mg), 칼슘(mg), 나트륨(mg), 철분(mg)]의 1일 평균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29)

5. 통계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IBM SPSS VERSION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 용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분석에는 표본 자료로부터 산출 한 결과가 우리나라 국민전체를 대표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표본설계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차 추출단위, 층화변수 및 표본 가중치를 부여하여 결과치를 추정하고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침식사여부를 독립변수로 하고 인구사회 학적 특성, 건강행태학적 특성 및 식습관을 통제변수로 하였으며 체질 량지수를 종속변수로 하였다. 1) 일반적 사항 및 건강행태, 식습관 특성, 신체활동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복합표본빈도 분석을 시행 2)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학적 특성, 식습관과 체질량지수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 성, 건강행태 특성, 식습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복합표본 교 차분석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 3) 영양소 및 칼로리 섭취 상태는 복합표본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평 균과 표준오차를 구함 4) 아침식사여부와 체질량지수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인구사회 학적 특성, 건강행태학적 특성, 식습관을 통제변수로 하여 복합표본 다 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변수들의 영향을 보정하지 않고(Unadjusted) 확인한 결과(모델 1)와 각 변수들이 결과에 미치는 영 향을 통제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학적 특성을 보정한 경우(모델 2)와 모델 2와 식습관을 보정한 경우(모델 3)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성을 p<0.05 기준으로 검증하였다.

(30)

Ⅳ. 연구결과

1. 아침식사여부와 일반적 특성 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아침식사여부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표 1> 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근로시간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 연령의 경우 남성은 19~29세는 결식률이 74.6%로 높았고 30~39세도 결식률이 66.6% 로 높았다. 40~49세는 46.8%, 50~64세는 22.5%로 나타났다(p<0.001). 여성은 19~29세는 결식률이 70.6%, 30∼39 세는 결식률이 58.6%로 높게 나타났고 40~49세는 41.9%, 50~64세는 26.5%로 나타났으며 아침식사를 안먹는 사람의 평균 연령대가 낮은 것 으로 조사되었다(p<0.001). 거주지를 비교했을 때 도시에서 보다 읍면에서의 아침식사 섭취률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결혼 여부에서 남성은 아 침식사 섭취하는 경우가 기혼은 59.4%이고 미혼은 아침식사 결식군이 71.3%로 기혼 남성의 아침식사 섭취율이 높았다(p<0.001). 여성도 아침 식사 섭취하는 경우가 기혼은 59.7%, 아침식사 결식하는 경우가 66.9% 로 남녀 모두 기혼보다 미혼에서의 아침식사 결식률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수준에 따른 아침식사여부를 보면 남성은 소득에 상관없이 아침 식사 섭취율이 높았다(p=0.014). 여성의 경우도 소득과 상관없이 섭취율 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2). 남성과 여성은 모두 교 육수준이 낮을수록 아침식사 섭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은 초졸이 하 73.8%, 중졸 67.2%, 고졸 55.0%, 대졸이상 50.1%로 나타났고 여성은

(31)

초졸이하 75.6%, 중졸 67.8%, 고졸 50.3%, 대졸이상 46.8%로 나타나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가구원수에 따른 아침식사여부에서는 남성의 경우 1인 가구는 24.8%, 여성의 경우 1인 가구는 42.9%가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구원 수가 2명 이상인 경우는 남녀 모두 아침식사를 섭취하는 경우가 조금씩 높게 나타났고(p<0.001) 1인 가구일수록 아침을 거르는 경우가 많았다. 경제활동에 따른 아침식사여부를 보면 남성은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의 아침식사 섭취율은 51.5%, 경제활동을 안하는 사람의 아침식사 섭 취율은 38.0%로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의 아침식사 섭취율이 높았다 (p=0.003). 여성의 경우도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의 아침식사 섭취율은 53.1%, 경제활동을 안하는 사람의 아침식사 섭취율은 45.1%로 경제활동 을 하는 사람의 아침식사 섭취율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직업의 경우 남녀 모두에서 농림업 숙련종사자와 기능원 및 단순노무 종사자의 아침섭취율이 높았으며 남성은 각각 86.5%, 54.8%이고 여성은 85.5%, 62.1%로 다른 직업군에 비해 아침식사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근로시간에 따른 아침식사여부는 주당 근무시간과 아침식사 결식 과의 관계를 보면,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2)

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분 남성 여성 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 (n= 1,135) 전체 (n=2,528) X² (p-value) 아침식사섭취 (n=1,463) 아침식사결식 (n=1,182) 전체 (n=2,645) X² (p-value) 나이 460.06 317.37 19~29 94 (25.4) 269 (74.6) 363 (100.0) (p<0.001) 140 (29.4) 333 (70.6) 473 (100.0) (p<0.001) 30~39 197 (33.4) 378 (66.6) 575 (100.0) 234 (41.4) 328 (58.6) 562 (100.0) 40~49 359 (53.2) 303 (46.8) 662 (100.0) 416 (58.1) 302 (41.9) 718 (100.0) 50~64 743 (77.5) 185 (22.5) 928 (100.0) 673 (73.5) 219 (26.5) 892 (100.0) 거주지 12.81 18.48 도시 1,117 (51.2) 989 (48.8) 2,106 (100.0) (p<0.001) 1,199 (51.1) 1,029 (48.9) 2,228 (100.0) (p<0.001)/면 276 (59.5) 146 (40.5) 422 (100.0) 264 (57.7) 153 (42.3) 417 (100.0) 결혼여부 193.52 134.26 기혼 1,209 (59.4) 716 (40.6) 1,925 (100.0) (p<0.001) 1,260 (59.7) 795 (40.3) 2,055 (100.0) (p<0.001) 미혼 184 (28.7) 419 (71.3) 603 (100.0) 203 (33.1) 387 (66.9) 590 (100.0) 가구소득 10.67 14.38 하 104 (52.7) 62 (47.3) 166 (100.0) (p=0.014) 125 (51.0) 90 (49.0) 215 (100.0) (p=0.002) 중하 294 (53.4) 266 (46.6) 560 (100.0) 377 (57.3) 244 (42.7) 621 (100.0) 중상 428 (51.7) 391 (48.3) 819 (100.0) 448 (52.6) 429 (47.4) 877 (100.0) 상 567 (53.1) 416 (46.9) 983 (100.0) 513 (53.3) 419 (46.7) 932 (100.0)

(33)

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계속) 구분 남성 여성 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 (n= 1,135) 전체 (n=2,528) X² (p-value) 아침식사섭취 (n=1,463) 아침식사섭취 (n=1,182) 전체 (n=2,645) X² (p-value) 교육수준 78.01 99.44 초졸이하 107 (73.8) 27 (26.2) 134 (100.0) (p<0.001) 192 (75.6) 51 (24.4) 243 (100.0) (p<0.001) 중졸 153 (67.2) 50 (32.8) 203 (100.0) 172 (67.8) 71 (32.2) 243 (100.0) 고졸 447 (55.0) 439 (45.0) 886 (100.0) 519 (50.3) 457 (49.7) 976 (100.0) 대졸이상 686 (50.1) 619 (49.9) 1,305 (100.0) 580 (46.8) 603 (53.2) 1,183 (100.0) 가구원수 83.60 29.65 1인 80 (24.8) 169 (75.2) 249 (100.0) (p<0.001) 112 (49.4) 113 (50.6) 225 (100.0) (p<0.001) 2인 337 (54.5) 183 (45.5) 520 (100.0) 383 (60.7) 208 (39.3) 591 (100.0) 3인 439 (56.8) 292 (43.2) 731 (100.0) 425 (51.7) 355 (48.3) 780 (100.0) 4인 409 (50.8) 378 (49.2) 787 (100.0) 414 (50.3) 381 (49.7) 795 (100.0) 5인 이상 128 (51.1) 113 (48.9) 241 (100.0) 129 (51.8) 125 (48.2) 254 (100.0) 경제활동상태 19.00 11.34 한다 1,298 (51.5) 1,020 (48.5) 2,318 (100.0) (p=0.003) 1,296 (53.1) 994 (46.9) 2,290 (100.0) (p=0.001) 안한다 95 (38.0) 115 (62.0) 210 (100.0) 167 (45.1) 188 (54.9) 355 (100.0)

(34)

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계속) 구분 남성 여성 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 (n= 1,135) 전체 (n=2,528) X² (p-value) 아침식사섭취 (n=1,463) 아침식사결식 (n=1,182) 전체 (n=2,645) X² (p-value) 직업 79.34 41.38 관리자, 전문가, 사무종사자 540 (50.5) 491 (49.5) 1,031 (100.0) (p<0.001) 552 (46.0) 578 (54.0) 1,130 (100.0) (p<0.001) 서비스 및 판매종사자 159 (43.8) 171 (56.2) 330 (100.0) 393 (58.2) 255 (41.8) 648 (100.0) 농림업 숙련종사자 94 (86.5) 9 (13.5) 103 (100.0) 60 (85.5) 12 (14.5) 72 (100.0) 기능원 및 단순노무종사자 505 (54.8) 349 (45.2) 854 (100.0) 291 (62.1) 149 (37.9) 440 (100.0) 무직(주부, 학생등) 95 (38.0) 115 (62.0) 210 (100.0) 167 (45.1) 188 (54.9) 355 (100.0) 근무시간 0.04 0.11 40시간 초과 608 (51.4) 491 (48.6) 1,099 (100.0) (p=0.834) 900 (52.1) 732 (47.9) 1,632 (100.0) (p=0.735) 40시간 이하 785 (51.3) 644 (48.7) 1,429 (100.0) 563 (51.8) 450 (48.2) 1013 (100.0)

(35)

2)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건강행태학적 특성 아침식사여부와 건강행태학적 특성과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표 2> 와 같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남녀 모두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아 침식사 섭취률이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음주에서 남성의 경우 아침식사섭취군과 결식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p=0.089), 여성의 경우는 음주가 잦은 그룹에서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아침식사를 결식하 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1). 흡연에서는 남성에서 흡연에 따른 유 의한 차이가 없었고(p=0.935), 여성에서 흡연하는 경우 아침식사 섭취율 은 39.2%, 비흡연자인 경우에는 아침식사 섭취율이 60.8%로 흡연하는 그 룹에서도 아침식사 결식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아침식사여부와 신체활동과의 관련성을 보면 남여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면시간의 경우 남녀 모두 6~8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남성은 수 면시간이 1~5시간으로 적은 경우 42.5%가 아침식사를 하며 6~8시간으로 보통인 경우 52.2%가 아침식사를 하였다. 9시간 이상으로 수면시간이 많 은 경우는 37.5%가 아침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면시간이 적거나 많은 경우 아침식사 섭취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여성의 경 우는 수면시간이 보통인 경우가 53.5%로 아침식사 섭취율이 높았고 수 면시간이 많은 경우는 아침식사 결식율이 높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p=0.001). 스트레스는 남성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1830, 여성의 경 우 스트레스 여 부와 상관없이 아침삭사를 하는 비율이 높았다. 1년간 체중조절 여부의 경우 남성이 아침식사를 섭취하는 경우는 체중감소 노 력한 사람인 53.6%, 체중유지를 노력한 사람이 52.2%, 체중증가를 노력 한 사람이 52.8%, 체중조절을 해보지 않은 사람은 54.0%로 나타났다. 체

(36)

중조절을 위해서는 모두 아침식사를 섭취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

났고(p<0.001), 여성에서의 체중조절 여부에 따른 아침식사는 유의한 차

(37)

2.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건강행태학적 특성 구분 남성 여성 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 (n= 1,135) 전체 (n=2,528) X² (p-value) 아침식사섭취 (n=1,463) 아침식사결식 (n=1,182) 전체 (n=2,645) X² (p-value) 주관적 건강상태 4.02 0.24 건강함 498 (53.0) 363 (47.0) 861 (100.0) (p=0.134) 428 (53.1) 336 (46.9) 764 (100.0) (p=0.887) 보통 733 (51.1) 636 (48.9) 1,369 (100.0) 814 (51.8) 663 (48.2) 1,477 (100.0) 건강하지않음 162 (52.9) 136 (47.1) 298 (100.0) 221 (50.1) 183 (49.9) 404 (100.0) 음주 8.06 36.91 전혀안마심 140 (58.6) 78 (41.4) 218 (100.0) (p=0.089) 264 (63.6) 140 (36.4) 404 (100.0) (p<0.001) 한달에 한번 이하 마심 295 (50.5) 252 (49.5) 547 (100.0) 623 (52.8) 460 (47.2) 1,083 (100.0) 한달에 2~4회 마심 418 (50.8) 349 (49.2) 767 (100.0) 386 (48.6) 359 (51.4) 745 (100.0) 일주일에 2~3회 마심 383 (51.1) 323 (48.9) 706 (100.0) 147 (46.0) 169 (54.0) 316 (100.0) 일주일에 4회 이상마심 157 (50.5) 133 (49.5) 290 (100.0) 43 (43.2) 54 (56.8) 97 (100.0) 흡연 0.01 30.28 흡연 1,066 (50.2) 867 (49.8) 1,933 (100.0) (p=0.935) 138 (39.2) 196 (60.8) 334 (100.0) (p<0.001) 비흡연 327 (50.2) 268 (49.8) 595 (100.0) 1,325 (53.9) 986 (46.1) 2,311 (100.0) 신체활동 0.02 1.13 실천 698 (50.3) 572 (49.7) 1,270 (100.0) (p=0.885) 674 (53.3) 520 (46.7) 1,194 (100.0) (p=0.286)

(38)

2.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건강행태학적 특성 (계속) 구분 남성 여성 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 (n= 1,135) 전체 (n=2,528) X² (p-value) 아침식사섭취 (n=1,463) 아침식사결식 (n=1,182) 전체 (n=2,645) X² (p-value) 수면시간 14.71 13.28 1∼5 시간 156 (42.5) 178 (57.5) 334 (100.0) (p<0.001) 191 (50.6) 173 (49.4) 364 (100.0) (p=0.001) 6∼8 시간 1,171 (52.2) 884 (47.8) 2,055 (100.0) 1,173 (53.5) 887 (46.5) 2,060 (100.0) 9시간 이상 66 (37.5) 73 (62.5) 139 (100.0) 99 (38.5) 122 (61.5) 221 (100.0) 스트레스 1.77 4.15 받음 1,226 (50.1) 1,018 (49.9) 2,244 (100.0) (p=0.183) 1,306 (51.5) 1,083 (48.5) 2,389 (100.0) (p=0.042) 안받음 167 (52.1) 117 (47.9) 284 (100.0) 157 (55.5) 99 (44.5) 256 (100.0) 체중조절 8.07 6.61 체중감량 561 (53.6) 398 (46.4) 959 (100.0) (p=0.044) 708 (50.3) 628 (49.7) 1,336 (100.0) (p=0.085) 체중유지 262 (52.2) 218 (47.8) 480 (100.0) 327 (54.5) 228 (45.5) 555 (100.0) 체중증가 98 (52.8) 84 (47.2) 182 (100.0) 41 (56.2) 34 (43.8) 75 (100.0) 안함 472 (54.0) 435 (46.0) 907 (100.0) 387 (53.8) 292 (46.2) 679 (100.0)

(39)

3)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식습관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식습관에 대한 결과는 <표 3>에 제시하였다. 남 성은 점심식사를주 5~7회로 자주먹는 경우에서 아침식사섭취군은 51.9%, 결식군은 48.1%로 나타났다(p<0.001). 아침을 식사하는 경우에 점심식사 도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저녁을 주 5∼7회 하는 경우는 아침식사섭취군 은 53.1%, 결식군은 46.9%로 나타났다(p<0.00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외 식에서는 아침식사섭취군은 51.3%가 외식을 하며 결식군은 48.7%가 외 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아침을 결식 할수록 외식을 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점심식사를 주 5∼7회 하는 경우는 아침섭취군은 53.6%, 결식 군은 46.4%로 나타 났으며(p<0.001), 저녁을 주 5∼7회 하는 경우는 아침 섭취군은 54.7%, 아침결식군은 78.2%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외식에서는 아침섭취군은 47.2%가 외식을 하며 결 식군은 52.8%가 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p<0.001) 여성은 특히 아침 을 결식하는 경우에 외식을 자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에서 모두 아침식사의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점심(p<0.001), 저녁(p<0.001)의 섭취빈 도가 모두 높았다.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영양소섭취 상태에 대한 결과는 <표 4>에 제시 하였다. 남성의 1일 열량섭취량은 아침식사섭취군이 2398.19±15.38kcal로 결식군 2367.66±12.96kcal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탄수화물 은 아침식사섭취군에서 351.37±2.87로 결식군에서의 탄수화물 섭취량 313.27±3.22 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방은 아침섭취군은 55.79±0.83, 결식 군은 63.41±0.85로 결식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0.001). 섬유소는 아침식 사섭취군에서 28.37±0.32, 결식군에서 22.85±0.59로 나타났고(p<0.001), 비

(40)

타민 C는 아침식사섭취군은 90.25±2.50, 결식군은 70.38±3.00으로 아침식 사섭취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칼슘은 아침식사섭취군은 588.75±5.13, 결 식군은 522.37±4.10으로 나타났다(p<0.001). 여성에서 1일 열량섭취량은 아침식사섭취군이 1748.94±64.07kcal로 결 식군의 1692.11±13.92kcal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아침식사 섭취군에서 탄수화물은 276.65±3.42로 결식군에서의 탄수화물 섭취량 245.93±2.22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지방은 아침식사섭취군은 42.61±0.78, 결식군은 46.27±0.91로 결식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0.001). 섬유소는 아 침식사섭취군에서 23.83±0.23, 결식군에서 18.56±0.27로 섭취군에서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타민 C는 아침식사섭취군은96.57±2.16, 결식군 은 68.98±3.29으로 나타났으며(p<0.001), 칼슘은 아침섭취군486.52±6.55, 결식군은 424.59±8.31으로 나타났다. 단백질은 남녀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1)

3.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식습관 구분 남성 여성 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 (n= 1,135) 전체 (n=2,528) X² (p-value) 아침식사섭취 (n=1,463) 아침식사결식 (n=1,182) 전체 (n=2,645) X² (p-value) 점심식사횟수/주 34.99 43.41 5∼7회 1,314 (51.9) 1,030 (48.1) 2,344 (100.0) (p<0.001) 1,338 (53.6) 1,000 (46.4) 2,338 (100.0) (p<0.001) 3∼4회 40 (29.1) 83 (70.9) 123 (100.0) 76 (33.1) 149 (66.9) 225 (100.0) 1∼2회 17 (56.9) 16 (43.1) 33 (100.0) 18 (38.5) 21 (61.5) 39 (100.0) 안먹음 22 (79.3) 6 (20.7) 28 (100.0) 31 (67.2) 12 (32.8) 43 (100.0) 져넉식사횟수/주 44.13 64.90 5∼7회 1,342 (53.1) 1,017 (46.9) 2,359 (100.0) (p<0.001) 1,307 (54.7) 918 (45.3) 2,225 (100.0) (p<0.001) 3∼4회 45 (29.3) 102 (70.7) 147 (100.0) 106 (32.3) 229 (67.7) 335 (100.0) 1∼2회 6 (26.4) 14 (73.6) 20 (100.0) 37 (53.9) 32 (46.1) 69 (100.0) 안먹음 0 (0.0) 2 (100) 2 (100.0) 13 (75.3) 3 (24.7) 16 (100.0) 외식횟수 25.28 138.41 하루에 1회이상 603 (50.2) 575 (49.8) 1,178 (100.0) (p=0.001) 313 (47.2) 325 (52.8) 638 (100.0) (p<0.001) 주 5∼6회 298 (51.3) 260 (48.7) 558 (100.0) 275 (44.7) 290 (55.3) 565 (100.0) 주 3∼4회 129 (52.6) 120 (47.4) 249 (100.0) 152 (37.3) 204 (62.7) 356 (100.0) 주 1∼2회 207 (58.8) 115 (41.2) 322 (100.0) 350 (57.1) 235 (42.9) 585 (100.0) 월 1∼3회 127 (60.0) 59 (40.0) 186 (100.0) 317 (72.2) 111 (27.8) 428 (100.0) 안함 29 (76.2) 6 (23.8) 35 (100.0) 56 (75.8) 17 (24.2) 73 (100.0)

(42)

표 4.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영양소 구분 남성 여성 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 (n= 1,135) p-value 아침식사셥취 (n=1,463) 아침식사결식 (n=1,182) p-value 열량 (kcal) 2398.19±15.38 2367.66±12.96 <0.001 1748.94±64.07 1692.11±13.92 <0.001 탄수화물 (g) 351.37±2.87 313.27±3.22 <0.001 276.65±3.42 245.93±2.22 <0.001 단백질 (g) 89.17±1.15 88.22±0.79 0.890 64.07±0.53 63.94±0.85 0.382 지방 (g) 55.79±0.83 63.41±0.85 <0.001 42.61±0.78 46.27±0.91 <0.001 섬유소 (g) 28.37±0.32 22.85±0.59 <0.001 23.83±0.23 18.56±0.27 <0.001 비타민 C (mg) 90.25±2.50 70.38±3.00 <0.001 96.57±2.16 68.98±3.29 <0.001 칼슘 (mg) 588.75±5.13 522.37±4.10 <0.001 486.52±6.55 424.59±8.31 <0.001 나트륨 (mg) 4662.07±54.04 4523.29±37.28 0.342 3238.98±41.13 3204.36±59.40 0.963 철분 (mg) 18.42±0.22 16.47±0.15 <0.001 13.93±0.17 13.26±0.22 <0.001

(43)

4).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체질량지수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체지량지수는 <표 5>에 제시하였다. 남성은 아 침식사 결식군에서 저체중은 3.3%, 정상체중은 29.6%, 과체중은 22.3%, 비만인 경우는 44.8%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정상인 경우가 많았고 결식 군에서 정상이 53.4%, 비만이 21.4%로 나타났다. 아침식사여부와 신체 계측과 관련된 결과는 <표 6>에 제시하였으며 남성은 평균체중이 아침 식사섭취군은 72.24±11.0, 결식군은 74.30±12.9, 여성은 아침섭취군은 58.53±9.3, 결식군은 58.77±10.3로 아침식사 결식군에서 체중이 높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신장과 허리둘레는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체질량지수는 남성은 아침식사섭취군이 24.76±3.2, 결식 군은 24.78±3.8로 아침식사 결식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은 아침 식사섭취군은 22.95±4.0, 결식군은 23.30±3.6으로 아침식사결식군에서 체질량지수가 높았다(p<0.001).

(44)

표 5.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체질량지수 표 6.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신체계측 구분 남성 여성 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 (n= 1,135) 전체 (n=2,528) p-value 아침식사섭취 (n=1,463) 아침식사결식 (n=1,182) 전체 (n=2,645) p-value 키 (cm) 170.66±6.1 173.01±6.3 171.71±6.3 p=0.062 158.54±5.8 160.10±5.8 159.20±5.9 p=0.540 몸무게 (kg) 72.24±11.0 74.30±12.9 73.16±11.9 p=0.003 58.53±9.3 58.77±10.3 58.63±9.7 p=0.001 허리둘레 (cm) 86.75±8.7 86.01±9.8 86.42±9.2 p=0.772 78.15±9.5 76.50±10.0 77.45±9.7 p=0.617 체질량지수 (kg/㎡) 24.76±3.2 24.78±3.8 24.77±3.5 p<0.001 22.95±4.0 23.30±3.6 23.15±3.7 p<0.001 구분 남성 여성 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 (n= 1,135) 전체 (n=2,528) X² (p-value) 아침식사섭취 (n=1,463) 아침식사결식 (n=1,182) 전체 (n=2,645) X² (p-value) 체질량지수 (kg/㎡) 22.99 27.24 저체중 (BMI<18.5) 20 (1.6) 33 (3.3) 53 (p<0.001) 62 (4.8) 99 (9.2) 161 (p<0.001) 정상체중(18.5≤BMI<23) 372 (27.0) 324 (29.6) 696 713 (50.5) 615 (53.4) 1,328 과체중 (23≤BMI<25) 409 (29.4) 266 (22.3) 675 304 (20.3) 190 (16.0) 494 비만 (BMI≥25) 592 (42.0) 512 (44.8) 1,104 384 (24.4) 278 (21.4) 662 1,393 (100.0) 1,135 (100.0) 2,528 1,463 (100.0) 1,182 (100.0) 2,645

(45)

3. 체질량지수와 일반적 특성 1) 체질량지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체질량지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연령의 경우 남성은 19~29세가 40.9%, 30~39세가 47.7%, 40~49세가 44.7%, 50~64세가 42.6%로 나타났고 여성은 19~29세 가 13.0%, 30~39세가 13.9%, 40~49세가 25.7%, 50~64세가 34.5%로 나타 나 연령이 증가 할수록 비만율이 높았다(p<0.001). 거주지를 비교했 을 때 남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35), 여성은 도시보다 읍면에 서의 비만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1). 남녀 모두 미혼보다 기 혼에서의 비만율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득수준에 따른 비만을 보면 남성은 소득수준과 비만과의 유의한 차 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100), 여성의 경우 소득수준이 ‘하’인 경우 비만율은 32.5%, ‘중하’인 경우 30.7%, ‘중상’인 경우 25.5%, ‘상’인 경우 19.7%로 소득이 높을수록 비만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른 비만을 보면 남성은 교육수준과 비만과의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p=0.053). 여성은 초졸이하 47.7%, 중졸 36.2%, 고졸 26.1%, 대졸이상17.7%로 학력이 높을수록 비만율은 낮았다(p<0.001). 가구원수에 따른 비만에서는 남녀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제활 동은 남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114), 여성은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의 비만율은 25.2%, 안하는 사람의 비만율은 46.7%로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비만율이 낮았다. 직업을 보면 남성은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 의 비만율이 52.4%로 나타났으며 사무직보다 단순노무종사자에서 비만 인 경우가 많았으며 여성은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비만율이 40.3%로

(46)

높았고 육체적활동이 많은 사람이 33.9%, 주부나 학생이 25.9%로 나타

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로시간과 관련해서 남성은 근무시간이 40

시간 초과인 경우 비만율이 40.7%, 40시간 이하에서는 비만율이 25.4%

로 나타나 근무시간이 많은 사람의 비만율이 높게 나타났고(p=0.011),

(47)

7. 체질량지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분 남성 여성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Total X² (p-value)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Total X² (p-value) 나이 31.81 222.98 19~29 15 (4.2) 71 (19.8) 126 (35.1) 147 (40.9) 359(100.0) (p<0.001) 66 (14.1) 282 (61.0) 56 (11.9) 65 (13.0) 469(100.0) (p<0.001) 30~39 12 (2.1) 149 (26.1) 137 (24.1) 272 (47.7) 570(100.0) 53 (9.5) 329 (64.6) 67 (12.0) 65 (13.9) 560(100.0) 40~49 20 (1.5) 196 (27.7) 172 (26.1) 294 (44.7) 682(100.0) 36 (3.7) 361 (51.0) 139 (19.6) 182 (25.7) 718(100.0) 50~64 16 (1.7) 237 (25.8) 273 (29.9) 391 (42.6) 917(100.0) 31 (1.8) 356 (40.3) 207 (23.4) 304 (34.5) 898(100.0) 거주지 3.39 30.49 도시 44 (2.1) 583 (28.0) 555 (26.6) 903 (43.3) 2,085(100.0) (p=0.335) 146 (6.6) 1,156 (52.4) 383 (17.4) 521 (23.6) 2,206 (100.0) (p<0.001) 읍/면 33 (2.1) 111 (26.5) 98 (23.4) 201 (48.0) 443(100.0) 40 (3.6) 172 (41.5) 86 (20.8) 141 (34.1) 439(100.0) 결혼여부 29.03 136.04 기혼 34 (1.8) 485 (25.4) 528 (27.7) 860 (45.1) 1,907(100.0) (p<0.001) 78 (3.8) 983 (48.3) 405 (19.9) 569 (28.0) 2,035 (100.0) (p<0.001) 미혼 43 (3.2) 209 (35.0) 125 (20.9) 244 (40.9) 621(100.0) 83 (14.2) 345 (59.0) 64 (10.9) 118 (15.9) 610(100.0) 가구소득 14.69 46.23 하 14 (2.4) 41 (25.0) 62 (34.8) 71 (37.8) 86 (100.0) (p=0.100) 13 (6.1) 96 (40.6) 44 (20.8) 84 (32.5) 237(100.0) (p<0.001) 중하 15 (2.7) 167 (30.3) 246 (44.5) 124 (22.5) 552(100.0) 32 (5.2) 268 (43.7) 125 (20.4) 188 (30.7) 613(100.0) 중상 20 (2.5) 217 (26.7) 364 (44.8) 211 (26.0) 812(100.0) 49 (5.7) 455 (52.5) 141 (16.3) 222 (25.5) 867(100.0)

(48)

7. 체질량지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계속) 구분 남성 여성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Total X² (p-value)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Total X² (p-value) 교육수준 8.11 190.37 초졸이하 5 (3.8) 41 (31.1) 41 (31.1) 45 (34.0) 132 (100.0) (p=0.436) 1 (0.4) 64 (26.6) 61 (25.3) 115 (47.7) 241 (100.0) (p<0.001) 중졸 3 (1.5) 58 (29.0) 56 (28.0) 83 (41.5) 200 (100.0) 3 (1.3) 97 (40.4) 53 (22.1) 87 (36.2) 240 (100.0) 고졸 25 (2.8) 382 (43.5) 216 (24.6) 255 (29.0) 878 (100.0) 59 (6.1) 466 (48.3) 188 (19.5) 252 (26.1) 965 (100.0) 대졸이상 20 (1.5) 598 (45.9) 350 (26.3) 350 (26.3) 1,318 (100.0) 108 (8.3) 716 (59.7) 167 (14.2) 208 (17.7) 1,199 (100.0) 가구원수 10.22 9.40 1인 9 (3.7) 86 (35.0) 61 (24.8) 90 (36.5) 246 (100.0) (p=0.077) 16 (7.5) 107 (50.0) 35 (16.4) 56 (26.1) 214 (100.0) (p=0.058) 2인 8 (1.6) 156 (30.5) 138 (27.0) 209 (40.9) 511 (100.0) 26 (4.4) 262 (44.6) 116 (19.7) 184 (31.3) 588 (100.0) 3인 17 (2.3) 188 (25.9) 193 (26.7) 327 (45.1) 725 (100.0) 51 (6.6) 417 (53.8) 130 (16.8) 177 (22.8) 775 (100.0) 4인 13 (1.7) 210 (25.5) 222 (26.6) 362 (46.2) 807 (100.0) 52 (6.6) 418 (51.5) 162 (18.6) 185 (23.3) 817 (100.0) 5인 이상 6 (2.5) 64 (26.8) 53 (22.2) 116 (48.5) 239 (100.0) 16 (6.4) 134 (53.4) 41 (16.3) 60 (23.9) 251 (100.0) 경제활동상태 7.65 17.17 한다 49 (2.1) 628 (26.9) 627 (26.7) 1,016(44.3) 2,320 (100.0) (p=0.114) 129 (5.7) 1,164 (51.3) 430 (17.8) 571 (25.2) 2,295 (100.0) (p=0.027) 안한다 4 (1.9) 76 (36.5) 40 (19.2) 88 (42.3) 208 (100.0) 32 (9.1) 64 (18.2) 91 (25.9) 164 (46.7) 351 (100.0)

수치

표  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분 남성 여성 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n= 1,135) 전체  (n=2,528) X² (p-value) 아침식사섭취(n=1,463) 아침식사결식(n=1,182) 전체  (n=2,645) X² (p-value) 나이 460.06 317.37 19~29 94 (25.4) 26
표  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계속) 구분 남성 여성 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n= 1,135) 전체  (n=2,528) X² (p-value) 아침식사섭취(n=1,463) 아침식사섭취(n=1,182) 전체  (n=2,645) X² (p-value) 교육수준 78.01 99.44 초졸이하 107 (73.8) 27 (26.2) 134 (100.0) (p&lt;0.001) 192 (75.6) 51 (24.4) 243 (
표  1.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계속) 구분 남성 여성 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n= 1,135) 전체   (n=2,528) X² (p-value) 아침식사섭취(n=1,463) 아침식사결식(n=1,182) 전체  (n=2,645) X² (p-value) 직업 79.34 41.38 관리자,  전문가,  사무종사자 540 (50.5) 491 (49.5) 1,031 (100.0) (p&lt;0.001) 552 (46.0)
표  2. 아침식사여부에 따른 건강행태학적 특성 구분 남성 여성아침식사섭취 (n= 1.393) 아침식사결식(n= 1,135) 전체 (n=2,528) X² (p-value) 아침식사섭취(n=1,463) 아침식사결식(n=1,182) 전체 (n=2,645) X² (p-value) 주관적 건강상태 4.02 0.24 건강함 498 (53.0) 363 (47.0) 861 (100.0) (p=0.134) 428 (53.1) 336 (46.9) 764 (100.0) (
+7

참조

관련 문서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vening meals for adult women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ocioeconomic status and thyroid cancer prevalence;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1. Jung YI, Kim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Statistics, Adult Literacy in America, National Adult Literacy Survey, 1992, Table 1.1b, p.. In addition, the United

Health behavior of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showing an association between HGS and fracture risk are similar. 30) reported a relationship between HGS and muscle qual- ity in Australian women, with the mean HGS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