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역사문화거리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만족도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6-110)

제4장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이용 후 만족도 분석

2) 신뢰도 분석

4.3 역사문화거리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만족도 분석

본 장에서는 역사문화거리 공공시설물 디자인 특성 측면에서 대한 대중의 인식을 살 펴보고 한국과 중국의 시민 간 인식 차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 시민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특성 측면에서 대한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다. 먼저 전체적인 만족 도를 살펴본 다음, 한국과 중국의 각 역사문화거리 공공시설물 디자인 특성에 대한 만족도 결과를 알아본 후, 마지막으로 각 개별 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고찰한다.

한국과 중국의 역사문화거리 공공시설물 디자인 만족도를 조사를 통해 공공시설물 만족 도를 5점 척도 기준에 따라 도출한 결과는 [표4-4]과 같다.

[표4-4] 한국과 중국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요소 만족도

요소

국가 안전성 기능성 정체성 통합성 조화성 지속 가능성

한국 4.08 4.01 3.23 3.90 3.79 4.03

중국 3.91 3.86 2.67 3.25 2.88 3.20

한국과 중국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6개 측면에서 봤을 때, 안전성 측면에서 한국의 만족도는 4.08점으로 중국의 3.91점보다 높으며 기능성 측면도 한국이 4.01점으로 중 국 3.86점보다 높다. 정체성 측면에서는 한국이 3.23점으로 중국 2.67점보다 높고 통 합성도 한국이 3.90점으로 중국 3.25점보다 높다. 조화성 측면에서는 한국의 만족도가 3.79점으로 중국 2.88보다 높으며 지속가능성은 한국의 만족도가 4.03점으로 중국 3.20점 보다 높다.

한국과 중국에 공통적으로 설치된 공공시설물을 바탕으로 정보시설물, 위생시설물, 휴게시설물, 보행시설물, 관리시설물, 조명시설물로 나누어 공공시설물 디자인 요소를 다양 한 측면에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4.3.1 정보시설물 1) 관광안내소

(1) 안전성

[표4-5] 관광안내소-안전성 독립표본검정

구분 관광안내소-안전성

t(p)

N 평균(M) 표준편차(SD)

한국 123 4.26 1.130 .491

(.624)

중국 126 4.19 1.108

*p<.05,**p<.01,***p<.001

먼저 Levene의 등 분산검정을 살펴보았다. 유의확률 P=.362로 등분산이 가정되었고 t-검정에서 유의확률(양쪽) 값이 .624이므로 유의수준은 p>.05보다 크기 때문에 집단 간 차 이를 통계적으로 지지할 수 없다. [표4-5참조]. 결론적으로 관광안내소의 안전성에 대해서 는 중국(m=4.19)과 한국(m=4.26)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기능성

[표4-6] 관광안내소-기능성 독립표본검정

구분 관광안내소-기능성

t(p)

N 평균(M) 표준편차(SD)

한국 123 4.22 1.364 .404

(.687)

중국 126 4.16 .983

*p<.05,**p<.01,***p<.001

먼저 Levene의 등 분산검정을 살펴보았다. 유의확률 P=.002로 등분산이 가정되었고 t-검정에서 유의확률(양쪽) 값이 .687이므로 유의수준은 p>.05보다 크기 때문에 집단 간 차 이를 통계적으로 지지할 수 없다. [표4-6참조]. 결론적으로 관광안내소의 기능성에 대해서 는 중국(m=4.16)과 한국(m=4.22)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정체성

[표4-7] 관광안내소-정체성 독립표본검정

구분 관광안내소-정체성

t(p)

N 평균(M) 표준편차(SD)

한국 123 3.67 1.550 4.044

(.000)

중국 126 3.01 1.000

*p<.05,**p<.01,***p<.001

먼저 Levene의 등 분산검정을 살펴보았다. 유의확률 P=.000로 등분산이 가정되었고

t

-검정에서 유의확률(양쪽) 값이 .000이므로 유의수준은 p<.001보다 작기 때문에 집단 간 차이를 통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표4-7참조]. 결론적으로 관광안내소의 정체성에 대해 서는 한국(m=3.67)이 중국(m=3.01)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4) 통합성

[표4-8] 관광안내소-통합성 독립표본검정

구분 관광안내소-통합성

t(p)

N 평균(M) 표준편차(SD)

한국 123 4.18 1.242 9.063

(.000)

중국 126 2.84 1.084

*p<.05,**p<.01,***p<.001

먼저 Levene의 등 분산검정을 살펴보았다. 유의확률 P=.002로 등분산이 가정되었고

t

-검정에서 유의확률(양쪽) 값이 .000이므로 유의수준은 p<.001보다 작기 때문에 집단 간 차이를 통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표4-8참조]. 결론적으로 관광안내소의 통합성에 대해 서는 한국(m=4.18)이 중국(m=2.84)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5) 조화성

[표4-9] 관광안내소-조화성 독립표본검정

구분 관광안내소-조화성

t(p)

N 평균(M) 표준편차(SD)

한국 123 3.55 1.319 3.566

(.000)

중국 126 3.03 .963

*p<.05,**p<.01,***p<.001

먼저 Levene의 등 분산검정을 살펴보았다. 유의확률 P=.000로 등분산이 가정되었고

t

-검정에서 유의확률(양쪽) 값이 .000이므로 유의수준은 p<.001보다 작기 때문에 집단 간 차이를 통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표4-9참조]. 결론적으로 관광안내소의 조화성에 대해 서는 한국(m=3.55)이 중국(m=3.03)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6) 지속가능성

[표4-10] 관광안내소-지속가능성 독립표본검정

구분 관광안내소-지속가능성

t(p)

N 평균(M) 표준편차(SD)

한국 123 3.95 1.165 5.662

(.000)

중국 126 3.17 1.018

*p<.05,**p<.01,***p<.001

먼저 Levene의 등 분산검정을 살펴보았다. 유의확률 P=.438로 등분산이 가정되었고

t

-검정에서 유의확률(양쪽) 값이 .000이므로 유의수준은 p<.001보다 작기 때문에 집단 간 차이를 통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표4-10참조]. 결론적으로 관광안내소의 지속가능성에 대해서는 한국(m=3.95)이 중국(m=3.17)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표4-11] 관광안내소에 대한 만족도

요소

국가 안전성 기능성 정체성 통합성 조화성 지속가능성 평균

한국 4.26 4.22 3.67 4.18 3.55 3.95 3.97

중국 4.19 4.16 3.01 2.84 3.03 3.17 3.40

한국과 중국의 관광안내소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는 [표4-11]과 같다. 한국의 경우 5 점 만점에 안전성이 4.26점으로 1위, 기능성(4.22) 2위, 통합성(4.18) 3위, 지속가능성 (3.95) 4위, 정체성(3.67) 5위, 조화성(3.55) 6위 순으로 나타났다. 안전성, 기능성, 통합성 에 대한 만족도는 한국 평균(3.97) 이상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우 5점 만점에 안전성이 4.19점으로 1위, 기능성(4.16) 2위, 지속가능성 (3.17) 3위, 조화성(3.03) 4위, 정체성(3.01) 5위, 통합성(2.84) 6위 순으로 나타났 다. 안전성, 기능성에 대한 만족도는 중국 평균(3.40) 이상으로 나타났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6-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