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소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4-67)

제2장 이론적 고찰

3) 역사문화거리의 가치

2.4 선행연구

2.4.4 소결

공공디자인, 공공시설물, 역사문화거리, 평가방법 4가지 측면의 선행연구 토대로 본 연구는 역사문화거리 공공시설물 디자인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공공디자인 도입 과정에 있어 역사문화거리와 공공디자인 간에는 상호의존, 상호침투,

상호영향의 변증관계가 성립된다. 공공디자인은 역사문화거리 발전과 전통문화 특색을 전 승하는 하나의 담지체이며 역사문화거리는 공공디자인의 중요한 무대이자 원천이다.68) 공 공디자인 역사문화거리 발전과 이미지 구축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역사문화거리는 공공공 간 조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공간 조성에 중요한 부분이 바로 공공디자인이다.69) 도 시의 전체적인 이미지 측면에서 봤을 때, 개성 있는 공공디자인은 도시 발전의 중요한 상 징으로, 도시의 특징과 이미지 발전에 큰 원동력이 된다.

공공시설물은 공공디자인 분야의 중요한 부분으로, 역사문화거리 조성에서 대체불가 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역사문화거리는 도시에서 역사문화적 맥락을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외부 공공장소로, 각기 다른 시기의 거리 특색을 사람들에게 선사하고 오늘날 사람들의 공동생활 장소다. 역사문화거리와 공공디자인은 통일과 대립, 서로 영향을 주는 변증관계를 이루는 만큼, 역사문화거리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도입은 매우 필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경제가 발전하면서 각 도시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고, 세계적으로 표준화가 대두되 면서 수많은 역사문화거리가 복원되거나, 개선되거나, 혹은 사라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단지 경제적 이윤의 최대화라는 목적으로 전통적인 역사문화거리를 역사문화 경관을 지닌

‘상업거리’로 전락시킨다면 역사문화거리가 본래 지녀야 할 의미와 문화성의 발전을 저해 하고 겉으로만 화려한 경관을 지닌 거리가 될 것이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오로지 시선 을 끌기 위한 목적만의 공공디자인도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사람들의 눈길을 끄는 데만 급급한 디자인은 역사문화거리의 원래 의미를 퇴색시킨다.70)

둘째, 일부 역사문화거리는 해외 성공사례를 참고하면서 차별성이 없이 지역 특색을 잃어버리거나, 관련 정책 및 관리 제도의 부족한 점을 보이기도 한다. 역사문화거리를 단순한 물리적 공간으로 보거나 이용자 수요에 맞춘 수동적 태도는 역사문화거리에 마땅히 있어야 할 문화와 정신, 미적 가치를 구현하지 못한다. 따라서, 역사문화거리의 본래 의미와 가치에 부합하는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기획 및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공공시설물 디자인은 사람들의 공공장소에서의 행위에 영향을 준다. 도심 속 역사문화거리에서 사람들의 각종 활동은 공공시설물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은 사람들의 서로 다른 공공시설물에 대한 각기 다른 이용 수요를 발생시 킨다. 출퇴근, 쇼핑 등 삶에 필수적인 활동이나, 산책, 관람 등 여가활동이나, 만남, 대

68) 诸海峰, “地域⽂化在城市公共环境设施设计中的应⽤:以桂林城市公共环境设施设计为例”. 艺术百家,vol.7, no.s1, 2010, pp.85-88.

69) 李腾腾, “中国城市公共空间的科学发展探讨”. 应⽤科技, vol.37, no.8, 2010, pp.65-67.

70) 彭红,刘志强. “探析标新⽴异产品设计的创意”. 包装⼯程, vol.33, no.8, 2012, pp.108-111.

화 등 사회적 교류활동에 관계없이 모두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시설물 을 통해 해당 활동이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공공시 설물은 역사문화거리에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며 사람들의 각종 행위와 활동을 뒷받침하고 충족시킴으로써 역사문화거리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넷째, 공공시설물의 이미지는 역사문화거리의 이미지와 하나다. 제인 제이콥스(Jane Jacobs)의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에서 “한 도시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 이 거리(street)다. 활력 있는 거리는 활력 있는 도시를 만들고, 답답한 거리는 곧 답답한 도시를 만든다”라고 언급했다.71) 이는 공공시설물이 하나의 필수 요소로서 공공시설물 이 미지의 좋고 나쁨은 이용자의 시각 및 인지에 결정적인 작용을 한다. 역사문화거리에서 외 부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수용할 때 80%는 시각을 통해 인지된다. 공공시설물은 일정한 형 태, 색채, 크기, 재질,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통해 사람들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 공하는 가장 익숙한 수단이 되었다.72)

역사문화거리는 사람들에게 한 도시의 경관을 가장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경로이며 그 도시의 문화적 특징을 구현하고 사람들의 체험에 영향을 준다. 각 역사문화거리는 서로 다른 양식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통해 각기 다른 시대 및 환경에서의 문화 현상 을 체현하기 때문에 세상 어디에도 똑같은 역사문화거리가 없기 때문에 공공시설물 시 각 이미지 디자인이 중요하고, 이는 사람들의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라고 할 수 있다.

역사문화거리의 위생시설, 휴게시설, 교통시설, 조명시설 등 공공시설물의 디자인, 수경시설 도입, 환경 조형물 등은 시민의 자긍심을 고양시키고 나아가 역사문화거리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자신이 속한 지역에 대한 자랑스러움 마음을 갖 게 한다. 또한, 사람들에게 공공생활의 기회와 장소를 제공하며 도시 공동체 형성에 촉진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역사문화거리는 시민에게 사회에 대한 공동의 관심과 배려를 갖게 하고 사람들의 마음을 연결해 주는 중요한 매개체이자 외부와의 소통을 가능케 하는 공간이다. 무엇보다, 역사문화거리는 다른 보통의 개방된 도로와 달리 남녀노소 모두가 전통적 분위기 속에서 공유 공간과 문화적 의의를 찾고 자유롭 고 평등한 분위기 속에서 일상 속 고민과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 다. 이에 따라 역사문화거리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점 더 대두되고 있으며 이는 곧 사회생활에 새로운 활력을 보충하고 가로환경 개선 및 도시이미지 구축에 이바지 하는 길이 될 것이다.

71)(加拿⼤)雅各布斯著,⾦衡⼭译,美国⼤城市的消亡与⽣长,译林出版社, 2006, p.26.

72) 张海林, 董雅. 城市空间元素公共环境设施设计. 中国建筑⼯业出版社, 2007, p.5.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