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안 연호 역사문화거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9-94)

제3장 한‧중 역사문화거리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3.5 시안 연호 역사문화거리

[표3-28] 조명시설물

가로등

가로등은 조형상 미관이다. 그러나 색채는 전반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사용 기간이 오래되면서 파손 및 훼손 흔적이 있어 유지 및 관리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다.

위로부터 알 수 있듯이, 대책란 역사문화거리의 휴지통는 시설이 낙후되었으며 조형과 색채가 적절하지 못한다. 안내사인 역시 기타 시설물에 미치지 못하여 색채와 양식이 단조 로워 사람들의 주의를 끌지 못한다.

종루광장을 확충하였다. 2001년 가로환경 및 기초인프라 시설 확충 사업의 일환으로 연호 역사문화거리에 휴식, 쇼핑, 관광, 식당, 엔터테인먼트를 하나로 합친 ‘당나라 옛 거리’를 조성하였다. 이후 2009년 또 한차례의 전반적인 보수와 관리를 통해 거리 양 단에 녹지광장을 만들고 거리 내 주민의 주거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연호 역사문화거리 의 사회적 및 환경적 효용을 높였다. 오늘날, 연호 역사문화거리는 명·청 시기 건축 양 식을 위주로, 종고루(鐘鼓樓), 고가대원(高家大院), 안가택원(安家宅院), 무슬림 사원 등 종교 건축과 주거 건축이 주를 이루며 적지 않은 명·청 시기 건축물들이 보호 대상 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외에도, 연호 역사문화거리 양측에서는 지역적 특색이 뚜렷한 노점상, 음식점, 각 종 상점이 들어서 있으며 현재는 주로 상업구역과 주거구역으로 이루어져 있어 거리 내 주민들의 다양한 공공생활이 가능하고 기초인프라시설이 완비되어 있는 특화된 역 사문화거리로 자리 잡았다.

관련 정책 연구 중 「시안시 가로 디자인 통칙」(2018)에서는 역사문화거리의 전체 적인 경관에 시안의 역사문화 특징을 반영해야 한다는 요건을 제시하였다. 역사문화거 리의 테마를 명확히 하고 거리 자체에 내포된 문화적 가치와 의미를 부각시켜야 한다.

디자인을 할 때에는 각 거리의 구체적인 요건을 고려하여 역사적 자원과 역사문화를 활용하여 각 거리 경관의 특색을 살리고 거리 소재지 또는 거리 자체의 문화적 의미와 가 치를 잘 드러내야 한다.

[표3-29] 연호 역사문화거리 현황

위치 시안시(西安市) 롄후구(莲湖区)

위치 지도 이미지

출처: 꾸이화윈(規劃雲) 지도(재정리)

역사문화거리의 공공시설물은 지역문화 특색 기호를 중점적으로 발굴하고, 지역의 전통 문화 기호를 거리의 펜스, 가로등, 버스정류장, 벤치, 휴지통 등 가로시설물에 반영하여 각

기 다른 경관의 특징을 구현해야 한다. 벤치는 목재, 석재, 콘트리트, 세라믹, 금속 등 다 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촉감과 질감이 좋은 목재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내구성이 좋은 것으로 선택해야 한다. 고정식 공공화장실의 외관은 실제 장소의 위치 및 상황을 고 려하여 주변 환경의 건축 양식과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디자인하고, 시설물의 색채는 도시의 주색을 위주로 주위 환경의 색상 계열과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3.5.2 공공시설물디자인 사례

[표3-30] 정보시설물

[표3-31] 위생시설물

화장실

화장실은 공공휴게구역의 독립적으로 설치된 화장실이다. 색채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전통건축 양식을 띠고 있다.

(계속) 관광안내소 A

관광안내소로, 사람들에게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관광안내소는 ‘i’ 자를 눈에 잘 띄도록 노란색과 하얀색을 사용하여 표시함으로써 높은 식별력을 지니고 있다. 전체적인 양식은 전통건축 조형을 따르고 있으며 주변 환경와 조화와 통일을 이룬다.

안내사인 A

안내사인은 거리의 각 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방향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안내사인 B

안내사인은 거리에 대한 기본정보뿐만 아니라 거리 내 지도 및 명소를 소개하고 있 다. 한편, 안내사인의 종류가 각양각색인만큼 양식에 있어 통일성이 떨어진다.

[표3-31] (계속)

휴지통

휴지통은 안정적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휴지통과 그 케이스가 일체형이다. 용기를 회전시키면 휴지통 안의 쓰레기를 쉽게 수거할 수 있어 관리와 사용이 편리하다.

그러나 휴지통의 외관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용자가 휴지통에 쓰레기를 버리거나 환경미화원이 쓰레기를 수거하는 과정의 효율성을 더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표3-32] 휴게시설물 벤치A

벤치는 목재와 석재를 함께 사용하였으며 지역적 특색이 뚜렷하다. 벤치는 사람이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하나의 조형물로 감상할 수 있다.

벤치B

벤치는 본래의 용도 외에도 나무를 보호하는 울타리 역할을 한다.

[표3-33] 보행시설물 펜스

펜스는 차도와 보행로를 분리하고 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하며 색채가 전반적으로 통일성을 지니고 있다.

볼라드A

원형 디자인에 석재를 사용하여 안전성과 기능성이 모두 뛰어나다.

볼라드B

볼라드는 석재를 사용하였으며 차량 및 각종 이동수단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제한함 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조형상으로도 지역적 요소를 융합하여 여행 체 험을 높였다.

(계속)

[표3-33] (계속)

정류장

버스정류장은 사람들의 이동에 편의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지만, 디자인 측면에서 봤을 때 형태가 단조롭고 평범하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새로이 조성된 역사문화거리의 환경과 도시 질서에 어울리지 않는 부분을 최대한 줄이고 이용자에게 유용한 공간으로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

[표3-34] 관리시설물

맨홀뚜껑A

노면과 색채가 통일되고 사용상 안전성과 편의성을 갖추고 있다.

맨홀뚜껑B

맨홀뚜껑은 안전보호 기능 외에 심미성을 높이고 있다. 맨홀뚜껑은 디자인의 조화 성과 유지 및 관리의 용이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표3-35] 조명시설물

가로등A

가로등은 검은색과 노란색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빨간색 초롱 조형물을 매치하여 거 리 환경 및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고 있다. 가로등의 주고 기능은 조명한다. 특색 있고 미관이 뛰어난 가로등 디자인은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존재이기도 하다.

위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관광안내소의 형태와 색상은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지역문화와도 잘 맞는다. 정보 안내사인 역시 지역의 문화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지만, 두 가지 계열의 색 조합이 다소 지저분해 보인다는 단점이 있다. 벤치 디자인은 목재와 석재를 함께 사용하였으며 조형상으로도 지역적 특징이 매우 뚜렷하다. 이 외에도, 일 부 벤치는 나무나 풀을 보호하는 덮개 역할도 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