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급격한 인구 증가와 산업 집중

수도권으로의 인구 및 산업 집중은 서울의 경제활동중심지를 형성하는 데 있어 가장 근본적 인 추동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 산업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업무와 관련된 산업도 증가하고, 관련 산업의 종사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오피스 면적의 소비 또한 증가하기 때문이다.

1975~1990년 동안 수도권의 인구는 가장 급속하게 증가해왔다. 서울시 인구는 1975년 6,889,440명에서 1990년 10,612,577명으로 증가했는데, 이는 매년 전년 대비 2.9%씩 증가한 셈 이다. 평균적으로 매년 경주 규모의 도시인구가 늘어난 셈이다. 인천․경기지역의 인구는 1975 년 4,038,973명에서 1990년 7,931,551명으로 증가해 매년 4.6%씩 늘어나 서울보다 더 빠른 증 가율을 보이고 있다.

<그림 4-5> 서울 및 인천 ․ 경기 인구 변화 추이(1975~1990년)

게다가 산업 집중은 인구의 증가추세를 넘어 더욱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서울시의 전 산업 종사자수는 1981년 2,378,723명에서 1995년 3,874,597명으로 매년 3.5%씩 증가하였다. 인천․

경기 지역의 전 산업 종사자수는 1981년 931,307명에서 1995년 2,801,466명으로 매년 8.2%꼴 로 증가하여 수도권 전체 산업의 성장세와 더불어 인천․경기지역 산업의 집중 현상이 두드러 짐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림 4-6> 서울 및 인천 ․ 경기 총 종사자수 변화 추이(1981~1995년)

2) 3차산업 중심의 산업구조 변화

1990년대를 전후로 산업구조는 점차 2차산업 중심에서 3차산업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2차 산업 종사자는 1981년 725,132명에서 1991년 1,136,899명으로 증가하다 2001년에는 599,837명 으로 감소하고,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급격한 감소세를 보인다. 3차산업 종사자는 1981년

1,243,677명, 1991년 2,200,564명, 2001년 3,162,419명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2차산업 비중은 1981년 이후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1991년 34.0%에서 2001년 15.9%로 급격 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3차산업의 비중은 1991년 65.8%에서 2001년 84.0%로 증가해 서울 시 근로자의 대부분이 서비스 및 사무직인 3차산업에 종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사자수 (명) 비율 (%)

1차 2차 3차 1차 2차 3차

1981 2,015 725,132 1,243,677 1,970,824 0.1% 36.8% 63.1% 100.0%

1991 6,063 1,136,899 2,200,564 3,343,526 0.2% 34.0% 65.8% 100.0%

2001 1,538 599,837 3,162,419 3,763,794 0.0% 15.9% 84.0% 100.0%

자료:통계청, 사업체 기초통계조사; 2020 서울도시기본계획.

<표 4-3> 서울시 산업구조 변화(1981~2001년)

<그림 4-7> 서울시 산업구조 변화(1981~2001년, 종사자수)

3) 단순조립형 제조업의 공간적 분산

1993~2006년 동안 서울에서는 개인서비스업 등 사무직 종사자의 비중은 크게 증가한 반면, 제조업 종사자의 비중이 눈에 띄게 감소하였다. 또한 일부 첨단기술기반 및 전통제조업종을 제 외한 전반적인 제조업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증가하였으나 사업체와 종사자의 비중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50인 이하 영세규모 위주, 생활밀착형 경공업 형태가 주 를 이루면서 단순조립형 제조업은 수도권의 교외지역으로 공간적 분산화 경향을 보였다.21)

21) 그림에서 막대그래프의 폭은 사업체수, 높이는 종사자 수에 비례함(2020 서울특별시 산업입지 공급계획, 2009, 서울특별시).

<그림 4-8> 서울시 산업별 종사자수(1993년)

<그림 4-9> 서울시 산업별 종사자수(2000년)

<그림 4-10> 서울시 산업별 종사자수(2006년)

* 수도권 내 지역별 아파트형공장 공급 추이22)

총 공급량(계) 6,510,853 1,560,726 863,128 2,231,512 811,973 476,734 566,769 2000년

이전 360,161 63,054 3,570 28,430 9,286 118,648 137,173

2000년 46,432  - -  27,672 -  -  18,759

2001년 146,521 11,519 43,537 63,669  - 27,797 - 

2002년 197,965 46,348  - 101,969 27,548 14,271 7,820

2003년 405,426 262,901 19,190 50,731 41,745 1,752 29,106 2004년 650,272 189,959 68,011 357,435 3,593 26,948 4,326 2005년 993,345 558,236 160,247 223,625 16,411 34,825 -  2006년 253,966 39,702 62,244 32,091 52,286 55,783 11,861

2007년 735,883 97,668 31,850 182,954 423,411 - - 

2008년 466,220 43,023 58,106 232,683 -  - 132,407

2009년 655,574 25,438 94,395 355,374 60,830 - 119,537 2010년 833,866 64,719 321,978 256,848 37,260 153,061 - 

2011년 250,138 106,929 - 48,857 29,059 33,965 31,327

2012년 515,084 51,230 - 269,174 110,544 9,684 74,453

<표 4-4> 서울지역 아파트형공장 권역별 연도별 공급 현황

권역명 인천 ․

경기권역(계) 부천지역 군포지역 안양벤처밸리 성남지방

산업단지 기타권역

총 공급량(계) 5,127,210 410,233 216,089 1,298,176 1,467,707 2,145,704 2000년

이전 303,754 -  61,067 64,033 13,227 165,427

2000년 132,977 56,125 2,868 -  36,556 37,428

2001년 85,427 -  10,577 7,171 15,618 52,060

2002년 119,068  -  - 8,732 71,062 39,274

2003년 878,514 22,661 42,338 67,910 652,531 93,074

2004년 204,086 86,497 51,260  - 17,470 48,859

2005년 197,678 29,152  - 19,830 50,120 98,576

2006년 364,647 115,888  - 114,356 11,435 122,967

2007년 138,339  -  - 62,633 59,460 16,246

2008년 509,323 99,910 -   - 180,718 228,695

2009년 337,039  - - 29,520 37,576 269,943

2010년 791,390  -  - 153,693 321,934 315,764

2011년 664,389  - 47,979 456,003 -  571,107

2012년 400,579  - -  314,295  - 86,284

<표 4-5> 인천 ․ 경기지역 아파트형공장 권역별 연도별 공급 현황

(단위:㎡)

<그림 4-11> 서울 및 인천 ․ 경기 아파트형공장 누적 공급량(1999~2012년)

22) 전문가워크숍 원고 자료 재정리(김태호 이사, 알투코리아) ; 자료:부동산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