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사점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33-38)

국내에서도

2020

5

월부터 공익직불제를 시행하였다

.

공익직불제의 근거 법령인 『농업

·

농촌 공익기능 증진 직접지불제도 운영에 관한 법률』 제

4

조에서는

5

년마다 공익직접지불제 도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국내 직불제가 겪고 있는 커다란 변화 과정에 비추어 볼 때

,

유럽연합의 공동농업정책 개혁은 다음과 같은 함의를 지닌다

.

첫째

,

공동농업정책의 핵심을 이루는 소득지원 정책

(

직불제

)

은 오랜 기간 시행착오를 거치 면서 단계적으로 완성되어 왔다

<

그림

1, 2>.

예를 들어

1992

년 개혁의 가격지지 축소

, 2003

년 개혁의 생산 비연계

, 2013

년 개혁의 녹색직불제 도입 등은

WTO

체제 출범이나 기후위기 대응 같은 외부 여건 변화에 적극 대응한 결과였다

.

동시에

Agenda 2000

의 제

2

축 도입부터

2013

년 개혁의 젊은 농업인 및 재분배 직불제 도입은 유럽 농업 부문이 만성적으로 겪어온 소득 문제와 지역 개발 의제를 해소하고자 과감히 변화를 시도한 결과였다

. 2013

년 개혁의 핵심이었던 녹색직불제가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

이를 인정하고 새로운 시도를 하고

EU 직불제 개편 동향과 시사점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 25 있는 점도 눈여겨 볼만하다

.

식량 안보 중심에서 경쟁력 강화로 전환하고

,

다시 지속가능성 을 강조하면서

,

정책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을 꾀하는 변화는 하루아침에 이룰 수 없다는 점을 새길 필요가 있다

.

둘째

,

공동농업정책을 개혁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공식적으로 보장 하고

,

소통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

특히

2013

년과

2018

년 개혁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는 집행위원회

-

이사회

-

의회가 함께 작업을 하였고

,

이해관계자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

유럽 시민들이 공동농업정책이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

그림

15>,

향후 예산 확대에 동의하는 이유

<

그림

17>

도 이러한 적극적인 소통에서 일정 부분 비롯하였다고 볼 수 있다

.

유럽형 그린 딜 등과 연계하여 정책 효과를 높이고

,

기후 변화 대응 등 공동 목표를 해결하고자 하여 공감대를 형성한 점도 참고할 만하다

.

셋째

,

유럽연합은 다년차 재정 기본계획과 법령

(

규정 및 지침

)

에 근거하여 공동농업정책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

공익직불제 역시

2020

년 예산 규모

2

3,610

억 원을

2024

년까 지 유지할 계획

(

대한민국 정부

2020: 42)

을 밝혔지만

,

상위 또는 유관 계획

·

정책과의 관계는 뚜렷하지 않다

.

국가 전체 그리고 농업

·

농촌 정책 및 재정 운용 방향과 맞추어 재정 운용 계획의 효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

이와 함께 이정환 외

(2017: 18-19)

가 주장한 바와 같이

,

법률에 의거한 의무 지출 중심으로 편성하고 정기적으로 타당성을 검토하는 방안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넷째

, ‘

새로운 정책 추진 모델

등의 방식으로 보충성의 원리를 강화하고 있는 점은 선택직 불제를 구체적으로 설계할 때 참고할 필요가 있다

.

선택직불제는 전국이 아닌 지역에서 중요한 문제를 다루어야 하므로

,

중앙 정부에서 일률적으로 지침을 제시하고 관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

더욱이 지역의 문제는 지역 이해관계자들이 가장 잘 알고

,

공익 증진에 필요한 활동 역시 이들이 수행할 것이므로 지역 또는 지자체 차원의 자율성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

26 ∙ 세계농업 2021. 5월호

참고문헌

김태연. 2021. “CAP 2014년 개혁의 성과와 2021년 개혁 전망.” 『시선집중 GSnJ, 288(2021.3.17.), GSnJ Institute.

대한민국 정부. 2020. 2020~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 대한민국 정부.

우병준·정도채·박혜진. 2020. 『농업·농촌에 대한 2020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D510, 한국농촌경 제연구원.

유찬희·김종인·박지연. 2016. 『주요 국가 직접지불제 도입 배경과 경과』. R800 연구자료-3, 한국 농촌경제연구원.

이정환·권태진·김용택·김윤식·김태균·김태연·김한호·박성재·오현석·임정빈. 2017. “신농업·신 농정으로 가는 길.” 『시선집중 GSnJ』 제241(2017.7.25.), GSnJ Institute.

European Commission. 2015.

Technical handbook on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framework for the Common Agricultural Policy 2014-2020

. European Commission.

______. 2016.

Direct Payments: Basic Payment Scheme

. European Commission.

______. 2020a.

Farm to Fork Strategy: For a fair, healthy and environmentally-friendly food system

. European Commission.

______. 2020b.

Working with Parliament and Council to make the CAP reform fit for the European Green Deal

. European Commission.

______. 2020c. “Europeans, agriculture and the CAP.”

Special Eurobarometer 504

. European Commission.

______. 2020d.

CAP expenditure and CAP reform path

. European Commission.

______. 2021.

List of potential Agricultural Practices that Eco-schemes could support

.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Court of Auditors. 2018.

Basic Payments Scheme for farmers- operationally on track, but limited impact on simplification, targeting and the convergence of aid levels

. European Court of Auditors

Guyomard, H., J.C., Bureau, V., Chatellier, C., Detang-Dessendre,. P. Dupraz,. F.. Jacquet, X. Reboud, V. Requillart, L.G.G., Soler and M. Tysebaert. 2020.

Research for AGRI Committee . The Green Deal and the CAP: policy implications to adapt farming practices and to preserve the EU’s natural resources

. European Parliament, Policy Department for Structural and Cohesion Policies, Brussels.

Jongeneel, R.A. 2018.

Research for AGRI Committee . The CAP support beyond 2020:

assessing the future structure of direct payments and the rural developments

EU 직불제 개편 동향과 시사점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 27

interventions in the light of the EU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 European Parliament, Policy Department for Structural and Cohesion Policies, Brussels.

Matthews, A., L. Salvatici, and M. Scoppola. 2017.

Trade impacts of agricultural support in the EU

. IATRC Commissioned Paper 19, International Agricultural Trade Research Consortium.

Meredith, S. and K., Hart. 2019.

CAP 2021-27: Using the eco-scheme to maximise environmental and climate benefits

. report for IFOAM EU by IEEP.

Ragonnaud, G. 2016.

Research for AGRI Committee - CAP Reform Post-2020 - Challenges in Agriculture

. Directorate-General for Internal Policies Policy Department B:

Structural and Cohesion Policies, European Parliament.

참고사이트

기후변화홍보포털 홈페이지(https://www.gihoo.or.kr/portal/kr/biz/footprint.do) (검색일: 2021.5.12.)

유럽연합 홈페이지(https://europa.eu/european-union/about-eu/institutions-bodies_en) (검 색일: 2021.3.12.)

EU 집행위원회 홈페이지(https://ec.europa.eu/info/food-farming-fisheries/key-policies /common-agricultural-policy/financing-cap/cap-funds_en) (검색일: 2021.3.17.) EU 집행위원회 홈페이지(https://ec.europa.eu/info/law/better-regulation/have-your-say)

(검색일: 2021.3.17.)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3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