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배경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61-64)

2.1. EU 농식품부문 가치사슬 구조

EU

농식품부문의 가치사슬에 있는 참여자들의 상대적인 수는

<

그림

1>

과 같은 모래시계 형태를 띄고 있다

.

각 거래 단계에 따라 참여자들의 수가 매우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는데

,

1,100

만 호의 농가가

30

만 개의 식

·

음료 가공업체와 거래하고 있으며

,

·

음료 가공업체는 다시

280

만 개의 식품판매 및 서비스 업체에 상품을 판매한다

.

<그림 1> 유럽연합(EU) 농식품부문 가치사슬 참여자 비중

자료: European Union(2017).

EU

농식품부문 가치사슬 참여자 중

1,500

(

농가

,

·

음료 가공업체

,

식품판매 및 서비스 업체 모두 포함

)

이상이 중소규모에 해당한다

(European Union 2017). EU

는 중소규모업체

EU의 농식품부문 불공정거래 관행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 53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250

인 이하 규모에 연매출이

5,000

만 유로 를 초과하지 않고

,

연 고정자산 및 유동자산이

4,300

만 유로를 초과하지 않는 업체로 정의한 다

.

2)

·

음료 가공업체의 경우

50

인 이하 소규모업체 비중이

96%

에 달한다

(European

Union 2020).

농업의 경우 재배규모나 경제적 가치로 환산한 연간 생산량을 기준으로 농가

의 규모를 판단하는데

,

재배규모로는

5ha

이하를 소규모로

,

연간 생산량으로는

2,000

유로 미만을 소규모

, 2,000~8,000

유로를 중소규모로 구분한다

. EU

농가의

70%

5ha

이하의 소규모 농가이며

, 100ha

이상 규모를 재배하는 농가는 단지

2.7%

에 불과하다

.

생산량으로 농가의 규모를 구분하더라도 연간

8,000

유로 미만의 생산량을 내는 중소규모의 농가는 총

EU

농가의

68.3%

를 차지

(2016

년 기준

)

하고 있어 농업부문의 영세함을 보여준다

.

농식품부문 전반의 업체 규모가 작은 편에 속한다고 하더라도 농업부문 이후 후방산업의 시장집중도는 농업부문에 비해 훨씬 높다

. 2012

EU 14

개국 기준 식품산업부문 내 상위

5

개의 업체가 전체 시장매출의

56%

를 차지하고 있으며

, 13

개국 기준 상위

5

개 업체 시장 점유율은

60%

가 넘는다

.

그에 반해 농지에 기반한 활동인 농업은

2010

년 기준 같은 비중이

0.19%

에 그친다

.

이러한 시장집중도의 차이로 거래당사자 간 협상력을 가늠한다고 할 경우

,

농업인과 기타 후방부문 간 거래에서 농업인의 협상력은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

.

식품 가공 및 소매부문의 시장집중도를 분리해서 살펴보면

, 1990

년대 중반

EU

의 식품 가공부문 상위

5

개 업체의 시장집중도는 평균

64%

로 당시 식품 가공부문의 시장집중도가 이미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1>.

3) 식품가공부문 내에서도 품목별로 시장집중도에 큰 차이를 보인다

.

아침식사용 시리얼의 상위

3

개 업체 시장 점유율은

65%(

영국

)~92%(

아일 랜드

),

유아식의 경우

54%(

스페인

)~98%(

아일랜드

)

로 나타났다

.

지난

20

년 동안

EU

의 합병 수준을 고려하면 현재는

<

1>

의 수치보다 식품가공부문의 시장집중도가 더 높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Sheldon 2017).

<표 1> 1990년대 중반 EU 식품가공부문 시장집중도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이탈리 아일랜드 스페인 스웨덴 영국

평균 CR3(%) 69 79 63 55 67 89 61 69 56

자료: OECD(2014)에서 재인용.

2) Commission Recommendation 2003/361/EC of 6 May 2003

3) 미국에 비해 유럽의 관련 수치는 그 갱신주기가 길어 1990년 수치를 제시함(Sheldon 2017).

54 ∙ 세계농업 2021. 5월호

2004~2005

EU 15

개국에 대한 식품 소매부문의 상위

5

개 업체의 시장집중도는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

가공부문과 마찬가지로 국별로 차이를 보인다

. 2007

년 기준 상위

5

개 업체의 시장집중도는 이탈리아

32%,

프랑스

52%,

영국

60%,

덴마크

75%,

스웨덴

76%,

핀란드

84%

로 나타났다

.

동유럽 중심의

EU

국가들은 훨씬 낮은 시장집중도를 보인다

(

:

불가리아

14%,

폴란드

22%,

루마니아

21%).

식품가공부문에 비해 소매부문의 합병 수준은 낮은 편이지만 일부 소매업체들의 초국적 활동 범위를 고려한다면 가공부문에 비해 낮은 수치이더라도 주의 깊게 보아야 한다

.

4) 프랑스의 소매업체 카르푸와 독일의 메트로는

2008

년 기준 약

33

개국에서 영업을 하고 있다

.

할인전문업체의 등장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

대표적인 할인전문업체인 알디

(Aldi)

와 리들

(Lidl)

은 독일에서 높은 시장점유율

(44%)

을 보이 고 있으며

, EU

내에서도 전반적으로 할인전문업체의 시장점유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OECD 2014).

2.2. UTP 규제 제정 배경

시장지배력 및 경쟁시장에 관한 연구는 경제학 산업조직론에서 전통적으로 중요하게 다 뤄지는 주제이다

.

농식품부문의

UTP

규제에 이르기까지는 다른 산업부문과 차별되는 농식 품부문의 특징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OECD 2014).

먼저

,

농식품부문은 다른 산업과 비교 해 수평적 통합

(

:

협동조합

)

이나 수직적 통합

(

:

계열화

)

를 통해 가치사슬의 각 참여자들 간 연관성이 높다

.

따라서 가치사슬의 어느 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시장지배력과 관련된 문제가 가치사슬의 다른 단계의 거래에까지 쉽게 영향을 미친다

.

또 다른 특징으로는 식품가 격에 대한 대중의 민감함과 농식품부문의 공정성에 관한 특정수준의 기대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UTP

를 법적으로 규정하기까지 보다 구체적인 배경으로는

EU

농업정책의 구조변화와

더불어

EU

농업인 및 농식품 가치사슬 전반이 당면한 시장 조건과 관련이 깊다

.

첫째

,

공동농 업정책

(Common Agricultural Policy, CAP)

은 과거 개혁

,

특히

1993

년과

2003

년 개정을 통해 농업인들의 소득을 지원해왔으나 동시에 농산물 가격과 연계된 직접지원 및 수입관세를

4) 사실상 식품소매업체의 시장집중도가 가장 큰 관심을 받아온 부문임. 소비자가 직접 상품을 구매하는 곳으로서 소비자후생과 관련된 독과점 규제로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근래에는 판매자로서의 소매업체뿐만 아니라 식품가치사슬에서 농업인 및 식가 공부문과 거래하는 구매업체로서 시장지배력(market power)을 행사하는 주체로서의 관심도 급증하고 있음(OECD 2014).

EU의 농식품부문 불공정거래 관행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 55 소득지원으로 대체하면서 농업인 수취가격이 국제가격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게 되었 다

.

시장 변화에 대한 농업인들의 취약성이 높아진 것이다

.

둘째

, CAP

의 주요 개혁과정 시기와

2007

년 이후 국제 농식품시장의 주요 가격 변동시기

가 맞물리면서 농업인들은 가공이나 슈퍼마켓 등 농식품 체인의 다른 부문보다 더욱 큰 영향을 받게 되었다

.

이와 관련해 농업인들은 소비자 가격의 감소가 농업인 수취가격을 함께 낮추는 것에 비해 소비자 가격의 증가분이 농업인 수취가격에 완전히 반영되지 않는 가격의 비대칭적 전이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였다

.

셋째

, EU

농식품 가치사슬 후방산업들의 시장집중도가 최근 수십 년간 급격히 증가했다

.

1980

년대까지는 가공산업부문의 시장지배력이 증가한 반면

,

이후 기술혁신과 인수합병을 통해 소매산업 부문의 시장지배력이 크게 증가하였다

.

급격한 가격변동이 있었던 시기

EU

주요국의 상위

3

개의 소매기업의 시장집중도 거의

50%

를 웃돌았다

.

이러한 조건들이 맞물리 면서 농식품 가치사슬에서 농업인을 보호하기 위한 규정들이 제정되기 시작했다

.

5)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6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