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세계 수산물 무역현황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3-57)

<표 3-9>는 세계 주요 25개국 수산물 생산 국가의 생산현황을 보여주고 있 다. 2014년 현재 이들 국가들이 전 세계의 생산량의 82,1%(2003-2012 평균) 를 차지하고 있다. 2013년과 2014년도 비슷한 추이를 보이고 있다. 이 중 중 국은 2위 생산국인 인도네시아와 비교해서 거의 2.7배를 생산하고 있어 그 비 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중국의 한 국가가 세계 총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4년 현재 10.5%를 차지하고 있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빠른 증가율을 보이 고 있다. 수산물 생산에서 미국, 캐나다, 영국, 덴마크와 일본 등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국가도 10개 정도 포함되어 있어 상당히 부가가치가 있는 수산물이 생산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율은 낮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16위 수출국으로, 2000년 이후 2014 년까지 연평균 수출증가율은 상위권 수출국은 물론 세계 평균에도 크게 못 미 치고 있다.

<표 3-10> 상위 20개국 수산물 수출국

자료 : UN Comtrade(2017), 임경희 외(2017)

<표 3-11>에서 보듯이 주요 수산물 수입국은 미국, 일본, 중국 순으로 상위 5개국의 수입이 전 세계 수입액의 43% 가량을 차지한다. 상위 수출국가(37%) 에 비해 상위 수입국가의 시장 점유율이 높은 편이다. 상위 수입국 이외에도

스웨덴, 러시아, 폴란드 등의 동기간 수입 증가율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 다. 우리나라는 세계 10위 수입국으로, 2000년 이후 최근까지 수입 증가세가 세계 평균을 상회하면서 수입국으로서의 입지가 강화되고 있다.<표 3-13>에서 보듯이 세계 수산물 무역시장에서 주요 수출 품목은 새우, 연어, 다랑어 등으로 상위 5개 품목이 전 세계 무역액의 절반 가까이 차지한다. 상대적으로 고급 수 산물인 새우, 연어, 다랑어 등의 교역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연어 수 출이 크게 늘고 있다.

<표 3-11> 상위 20개국 수산물 수입국

자료 : UN Comtrade(2017), 임경희 외(2017)

<표 3-12>에서 보듯이 수산물 부류 중 세계 시장에서 거래가 많이 이루어지 는 품목은 2014년 기준 가공품(1604, 1605), 갑각류(0306), 어류 피레트 (0304), 냉동어류(0303), 신선냉장(0302) 순서이다. 갑각류 수출이 꾸준히 이 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어류(피레트, 냉동, 신선냉장)의 수출이 늘고 있으며, 가 공품 등과 같은 유통에 용이한 품목의 수출도 크게 증가되고 있다. 한편, 활어 (0301)의 경우 2010년까지 수출이 꾸준히 증대되어 왔으나, 이후 수출이 정체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12> 주요 부류별 수출시장 변화

자료 : UN Comtrade(2017)

<표 3-13>은 어종 중에서 상위 20개 품목의 수출액을 보여주고 있다. 2014 년 현재 주요 5개 수산물 수출품목은 새우, 연어, 다랑어, 대구와 오징어임을 알 수 있다. 이것들의 총수출액의 비중은 거의 50%에 이르고 있다. 2014년 20개 품목 전체 총수출액은 1,417억 달러로 2000년 총수출액 521억 달러와 비교하면 2.4배 정도 증가하였다. 여기서도 특정어종에 수출이 집중되어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13> 상위 20개 수산물 수출품목

자료 : UN Comtrade(2017)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