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바. 직업능력개발 성과 측면에서 본 실태

1) 성과

<표 Ⅳ-45> 분산분석 (지원환경 * 조직형태)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경영전략과 H RD전략과의 연계성

* 조직형태

집단-간 23 .452 4 5 .863 6.848 0.000 집단-내 123 .286 144 0.856

합계 146.738 148

인재육성에 대한 경영층의 지원과

인식

* 조직형태

집단-간 20.764 4 5 .191 5 .783 0.000 집단-내 129.263 144 0.898

합계 150.027 148 교육참여자의 요구 파악 및 반영

* 조직형태

집단-간 13 .951 4 3 .488 6.073 0.000 집단-내 82 .693 144 0.574

합계 96.644 148 직업능력개발 결과와 업무성과의 연

계성

* 조직형태

집단-간 10.827 4 2 .707 4 .207 0.003 집단-내 92 .004 143 0.643

합계 102 .831 14 7 직업능력개발 결과와 인사관리 연계

* 조직형태

집단-간 20.813 4 5 .203 6.092 0.000 집단-내 122 .986 144 0.854

합계 143 .799 148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투자

* 조직형태

집단-간 24 .4 77 4 6.119 8 .019 0.000 집단-내 109.886 144 0.763

합계 134 .362 148 교육훈련을 위한 전산망 구축

* 조직형태

집단-간 22 .728 4 5 .682 4 .212 0.003 집단-내 194 .238 144 1.349

합계 216.966 148 학습을 지원하는 조직문화

* 조직형태

집단-간 30.22 4 7.555 8 .584 0.000 집단-내 125 .854 143 0.88

합계 156.074 14 7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시설과 기자재

보유

* 조직형태

집단-간 33 .99 4 8 .498 8 .939 0.000 집단-내 136.882 144 0.951

합계 170.872 148

볼 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세부항목에서 살펴보면 (<표 Ⅳ-49>, <표 Ⅳ-50> 참조), 개인의 지식과 태도 향상, 개인 및 부서간 상호협력, 개인의 업무 수행에 있어서 조직규모가 클수록 성과를 높게 내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표 Ⅳ-46>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성과

개인

조직 구성원의 업무 지식 향상에 도움이 된다 3.66 (0.821)

3.66 (0.837)

3.65 (0.801) 조직구성원의 업무 기술 향상에 도움이 된다 3.69

(0.814) 조직구성원의 조직인으로서의 태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3.64 (0.874)

프로 세스

개인간, 부서간 상호 협력에 도움이 된다 3.51 (0.763)

3.55 (0.785)

조직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한다 3.53

(0.852) 개인간, 조직간 정보공유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3.59 (0.738)

성과

개인의 업무 수행에 도움을 준다 3.77

(0.733) 3.73 (0.781)

개인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3.73

(0.806)

회사의 경영에 이익을 가져다 준다 3.69

(0.805)

<표 Ⅳ-47> 조직규모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전체 성과평균

조직규모 평균 표준편차

49명이하 3.27 1.004

50~299명 3.25 0.759

300~999명 3.50 0.632

1000~4999명 3.75 0.567

5000명이상 3.78 0.531

합계 3.65 0.645

<표 Ⅳ-48> 분산분석 (성과 * 조직규모)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성과 * 조직규모

집단-간 5.306 4 1.327 3.414 0.011 집단-내 52.462 135 0.389

합계 57.768 139

<표 Ⅳ-49> 조직규모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성과

49이하 50~

299

300~

999

1000~

4999 5000~

조직 구성원의 업무 지식 향상에 도움이 된다

3 .10 (1.197)

3 .31 (1.032)

3 .53 (0.772)

3 .77 (0.763)

3 .83 (0.667) 조직구성원의 업무 기술 향상에 도

움이 된다

3 .10 (0.994)

3 .46 (1.050)

3 .63 (0.684)

3 .72 (0.796)

3 .88 (0.714) 조직구성원의 조직인으로서의 태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3 .30 (1.059)

3 .08 (0.862)

3 .37 (0.831)

3 .74 (0.791)

3 .90 (0.860) 개인간, 부서간 상호 협력에 도움이

된다

3 .20 (1.033)

3 .00 (0.707)

3 .26 (0.806)

3 .63 (0.723)

3 .71 (0.642) 조직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한다 3 .00

(0.943)

3 .15 (1.068)

3 .37 (0.831)

3 .65 (0.744)

3 .68 (0.850) 개인간, 조직간 정보공유를 활성화

하는데 도움이 된다

3 .20 (0.919)

3 .46 (0.519)

3 .4 7 (0.772)

3 .77 (0.708)

3 .54 (0.745) 개인의 업무 수행에 도움을 준다 3 .30

(1.059)

3 .38 (0.870)

3 .63 (0.684)

3 .93 (0.623)

3 .85 (0.691) 개인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3 .60

(1.174)

3 .15 (0.987)

3 .68 (0.885)

3 .80 (0.724)

3 .85 (0.654) 회사의 경영에 이익을 가져다 준다 3 .60

(1.350)

3 .23 (0.927)

3 .58 (0.902)

3 .75 (0.689)

3 .80 (0.679)

<표 Ⅳ-50> 분산분석 (성과 * 조직규모)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조직 구성원의 업무 지식 향상에 도움이 된다 * 조직규모

집단-간 6.94 7 4 1.737 2 .792 .029 집단-내 81.494 131 .622

합계 88 .441 135 조직구성원의 업무 기술 향상에 도

움이 된다 * 조직규모

집단-간 5 .667 4 1.417 2 .221 .070 집단-내 84 .201 132 .638

합계 89.869 136 조직구성원의 조직인으로서의 태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 조직규모

집단-간 9.865 4 2 .466 3 .467 .010 집단-내 93 .887 132 .711

합계 103 .752 136 개인간, 부서간 상호 협력에 도움

이 된다 * 조직규모

집단-간 7.439 4 1.860 3 .467 .010 집단-내 70.809 132 .536

합계 78 .248 136 조직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한다

* 조직규모

집단-간 6.409 4 1.602 2 .303 .062 집단-내 91.825 132 .696

합계 98 .234 136 개인간, 조직간 정보공유를 활성화

하는데 도움이 된다 * 조직규모

집단-간 3 .312 4 .828 1.558 .189 집단-내 70.133 132 .531

합계 73 .445 136 개인의 업무 수행에 도움을 준다

* 조직규모

집단-간 5 .794 4 1.449 2 .930 .023 집단-내 65 .257 132 .494

합계 71.051 136 개인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 조직규모

집단-간 5 .346 4 1.336 2 .134 .080 집단-내 82 .037 131 .626

합계 87.382 135 회사의 경영에 이익을 가져다 준다

* 조직규모

집단-간 4 .012 4 1.003 1.593 .180 집단-내 83 .112 132 .630

합계 87.124 136

담당조직형태에 의하여 분석하여 보면 모든 성과에 있어서 p<.05 수준에 서 담당조직형태가 클수록 높은 성과를 내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표 Ⅳ -51>, <표 Ⅳ-52>, <표 Ⅳ-53>, <표 Ⅳ-54> 참조). 이는 직업능력개발의 성과 는 조직의 규모보다는 직업능력개발의 조직형태에 의존함을 알 수 있다. 더 불어 성과항목 간의 비교에 있어서 지금까지의 직업능력개발이 개인에 초점

을 맞추고 있어서, 조직학습에의 기여나 조직성과 공헌에는 상대적으로 관심 을 적게 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능력개발의 추세나 역할의 요구에 있 어서도 기존의 학습 전문가에서 전략파트너, 성과컨설턴트의 역할이 강화되 는 것을 볼 때, 현재의 성과 측면은 보다 조직성과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의 미를 제시한다.

<표 Ⅳ-51> 조직형태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성과

조직형태 평 균 표준편차

다른 업무와 겸임하는 담당자 2.94 0.766

전담조직 없고 전임 담당자 3.35 0.693

전담 과장 및 담당자를 두는

과단위 조직 3.71 0.421

전담 부서장 및 담당자를

두는 부 (팀)단위 조직 3.74 0.654

전담 임원 및 담당자를 두는

인력개발원 3.94 0.471

합계 3.63 0.675

<표 Ⅳ-52> 분산분석 (성과 * 조직형태)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성과 * 조직형태

집단-간 14 .946 4 3.736 10.257 0.000 집단-내 52.456 144 0.364

합계 67.402 148

<표 Ⅳ-53> 조직형태별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성과

다른 업무와 겸임하는

담당자

전담조직 없고 전임

담당자

전담 과장 및 담당자를 두는 과단위

조직

전담 부서장 및 담당자를

두는 부 (팀)단위

조직

전담 임원 및 담당자를

두는 인력개발원 조직 구성원의 업무 지식 향상에

도움이 된다

2.85 (0.875)

3.33 (0.840)

3.68 (0.690)

3.88 (0.791)

3.91 (0.621) 조직구성원의 업무 기술 향상에

도움이 된다

3.11 (0.994)

3.33 (0.840)

3.56 (0.821)

3.86 (0.722)

3.97 (0.664) 조직구성원의 조직인으로서의 태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2.68 (0.749)

3.33 (0.767)

3.72 (0.737)

3.78 (0.856)

4 .06 (0.802) 개인간, 부서간 상호 협력에 도움이

된다

2.84 (0.958)

3.17 (0.786)

3.56 (0.651)

3.57 (0.728)

3.91 (0.702)

조직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한다 2.80

(0.894)

3.11 (0.676)

3.64 (0.638)

3.59 (0.963)

3.83 (0.664) 개인간, 조직간 정보공유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3.00 (0.882)

3.50 (0.707)

3.60 (0.500)

3.61 (0.874)

3.91 (0.562)

개인의 업무 수행에 도움을 준다 3.30

(0.923)

3.39 (0.778)

3.92 (0.572)

3.80 (0.722)

4 .06 (0.539)

개인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2.95

(1.026)

3.61 (0.850)

3.84 (0.688)

3.76 (0.815)

3.91 (0.612)

회사의 경영에 이익을 가져다 준다 2.95

(1.026)

3.39 (0.850)

3.84 (0.688)

3.82 (0.793)

3.89 (0.631)

<표 Ⅳ-54> 분산분석 (성과 * 조직형태)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조직 구성원의 업무 지식 향상에 도움이 된다 * 조직형태

집단-간 19.710 4 4 .928 8 .591 0.000 집단-내 82 .019 143 0.574

합계 101.730 14 7

조직구성원의 업무 기술 향상에 도 움이 된다 * 조직형태

집단-간 13 .4 72 4 3 .368 5 .539 0.000 집단-내 86.960 143 0.608

합계 100.432 14 7 조직구성원의 조직인으로서의 태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 * 조직형태

집단-간 26.362 4 6.590 10.282 0.000 집단-내 91.658 143 0.641

합계 118 .020 14 7

개인간, 부서간 상호 협력에 도움 이 된다 * 조직형태

집단-간 16.554 4 4 .139 7.357 0.000 집단-내 80.439 143 0.563

합계 96.993 14 7 조직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한다

* 조직형태

집단-간 17.173 4 4 .293 6.572 0.000 집단-내 94 .062 144 0.653

합계 111.235 148

개인간, 조직간 정보공유를 활성화 하는데 도움이 된다 * 조직형태

집단-간 10.458 4 2 .615 4 .831 0.001 집단-내 77.400 143 0.541

합계 87.858 14 7

개인의 업무 수행에 도움을 준다

* 조직형태

집단-간 10.536 4 2 .634 5 .400 0.000 집단-내 70.243 144 0.488

합계 80.779 148 개인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 조직형태

집단-간 13 .198 4 3 .300 5 .331 0.000 집단-내 88 .504 143 0.619

합계 101.703 14 7

회사의 경영에 이익을 가져다 준다

* 조직형태

집단-간 14 .893 4 3 .723 6.082 0.000 집단-내 87.540 143 0.612

합계 102 .432 14 7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군들이 p <.01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55> 참조).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조직규모나 담당조직 형태보다는 업무환경, 업무특성이 성과에 영향을 높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업무환경요인만을 성과영향요인으로 한정하여 분석하면, 업무환경요인 중에서도 직업능력개발결과와 업무성과와의 연계성,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투 자, 교육참여자의 요구 파악 및 반영,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시설과 기자재가 성과에 p<.01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 -57>, <표 Ⅳ-58> 참조). 성과와 업무특성과의 관련성만을 따로 살펴보면, 업 무 특성 요인 중 피드백과 성장성이 성과에 p<.01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59>, <표 Ⅳ-60> 참조)

하지만 전문성은 업무특성과의 상관관계가 α=.605, 업무환경과는 α=.572 로 높게 나타나 상호간에 상당한 영향을 줌으로 전문성도 성과에 영향을 줌 을 배제할 수는 없다. 현재역할도 전문성과 마찬가지로 업무특성과 상관관계 가 α=.650, 업무환경과 α=.705로 높게 나타나 상호간에 상당한 영향을 줌 으로 전문성도 성과에 영향을 줌을 배제할 수는 없다.

이어서 전문성, 업무환경, 업무특성의 세부 요인을 성과와 연계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나타난 것은, 전문성과 관련되어 직업능력개발 교육훈련프로그램에의 참여자의 요구 파악 및 반영, 정기적 사내외 교육참가 기회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업무환 경요인으로는 직업능력개발과 업무성과와의 연계체계,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투자와 지식경영시스템의 구축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특성에서는 충분한 학습 및 성장 기회의 제공과 경영자나 관리자, 조직 구성원으로부터 피드백이 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능력개발 담당자의 지원에 있어서는 성과와 연계되는 지원방안을 우선 적으로 실시하되, 전문성이 낮고 지원환경이 미흡한 기업을 우선적으로 지원 하는 것이 필요하다 (<표 Ⅳ-61>, <표 Ⅳ-62> 참조).

<표 Ⅳ-55> 성과, 조직규모, 조직형태, 전문성, 업무특성, 업무환경간, 현재 역할간 상관관계

구분 성과 조직규모 조직형태 전문성 업무특성 업무환경 현재역할

성과

조직규모 0.280**

조직형태 0.402** 0.514**

전문성 0.426** 0.367** 0.632**

업무특성 0.617** 0.303** 0.445** 0.605**

업무환경 0.710** 0.402** 0.497** 0.572** 0.640**

현재역할 0.583** 0.372** 0.394** 0.516** 0.650** 0.705**

** p <0.01, * p <0.05

<표 Ⅳ-56> 회귀분석 결과 Ⅰ

성과i = 0 + 1업무환경i + 2업무특성i + ei R2 =0.556, Adjusted R2=0.549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B 표준오차 베타

(상수) 1.096 0.210 5.223 0.000

업무환경 0.467 0.066 0.530 7.100 0.000 업무특성 0.261 0.067 0.289 3.870 0.000

<표 Ⅳ-57> 업무환경1)과 성과간 상관관계

성과

경영전략 H RD 전 략 연계

인재육성 에 대한 경영층의 지원과

인식

교육참여 자의 요구 파악 및

반영

직업능력 개발 결과와 업무성과

연계성

직업능력 개발 결과와 인사관리

연계

직업능력 개발에

대한 투자

교육훈련 을 위한 전산망

학습을 지원하는 조직문화

직업능력 개발을

위한 시설과 기자재

성과 경영전략과

H RD 전략 연계

0.593**

인재육성에 대한 경영층의 지원과 인식

0.518** 0.689**

교육참여자의 요구 파악 및

반영

0.639** 0.565** 0.528**

직업능력개발 결과와 업무성과의

연계성

0.704** 0.563** 0.434** 0.576**

직업능력개발 결과와 인사관리

연계

0.515** 0.468** 0.480** 0.404** 0.464**

직업능력개발

에 대한 투자 0.613** 0.596** 0.641** 0.563** 0.478** 0.511**

교육훈련을위

한 전산망 0.395** 0.420** 0.387** 0.395** 0.294** 0.466** 0.499**

학습을 지원하는 조직문화

0.600** 0.671** 0.672** 0.553** 0.459** 0.450** 0.682** 0.577**

직업능력개발 위한시설과

기자재

0.551** 0.507** 0.442** 0.460** 0.414** 0.510** 0.577** 0.568** 0.579**

** p <0.01, * p <0.05

1) 경영전략 H RD전략 연계, 경영층 지원인식, 교육참여자 요구파악, 직업능 력개발 결과와 업무성과의 연계, 직업능력개발 결과와 인사관리 연계, 직 업능력개발 투자, 교육훈련 전산망, 학습지원 조직문화, 시설과 기자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