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

문서에서 2. 연구 내용과 방법 ···3 (페이지 6-9)

Ⅰ. 서 론

3. 선행연구

읽기와 쓰기의 통합 지도를 포괄하고 있는 통합언어 교육 운동이 우리 나라에 소개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한국 교육 개발원(1983)이 통합 교육

과정의 이론과 실제를 소개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그 이후로 10년 정도 별다른 소개나 연구가 없는 듯하다가, 이화자(1993)가 Kenneth S. Goodman의 “전체(whole) 언어에서 전체란 무엇인가”를 편역 하고, 이성은(1994)이 총체적(whole) 언어교육을 실제 교실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중심으로 폭 넓게 소개하면서 흐름이 이어졌다.

또한 신현재·이재승((1994)은 통합 언어 교육이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라고 의의를 두면서’ 그에 대한 체계적인 소개를 하였다.

통합언어 교육의 관점 하에서, 국어과의 언어사용 영역(말하기, 듣기, 읽 기, 쓰기) 간의 관련성을 논의하여 통합 지도를 주장한 연구로는 노석기 (1985), 박주영(1992), 이재승(1992), 김정숙(1996) 등이 있다.

노석기(1985)는 글짓기 지도를 독서지도와 함께 실시함으로써 효과를 거 둘 수 있음을 주장했다.

박주영(1992)은 소설과 희곡 지도를 할 때 읽기와 쓰기를 함께 지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중등교육에서 읽기와 쓰기의 통합지도 상황을 점 검하고 그 필요성을 제기한 것에 의의를 두지만, 소설과 희곡을 집중적으 로 연구하여 그 외의 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재승(1992)은 이해 영역인 듣기와 읽기의 하위 기능을 토대로 듣기와 읽기의 차이 기능을 상정한 후 이들 간의 공통 기능을 상정하고 나서, 상 관 연구를 통해 공통 기능의 상관도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듣기와 읽 기의 하위 기능간에 상관이 높다는 것을 밝혀내고, 듣기와 읽기만이 아니 라 듣기와 쓰기, 듣기와 말하기, 읽기와 쓰기 등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김정숙(1996)은 문자언어 교육의 초기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들에게 문자 지도와 어휘력 지도를 할 때 읽기와 쓰기를 통합한 다양한 학습환경을 만 들어 실시해야 함을 논하고 있다. 주로 문식성 교육의 입문기 학습자에게 적응할 수 있는 통합 학습 환경을 제시하였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서는 백봉자, 이규희, 손연자, 이희경, 조항록, 조 현선, 전나영, 황인교 등이 있다. 이들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인 ‘한 국어 읽기’(1999)를 집필하였고 이 책에서 통합학습을 시도하였다.

외국의 경우에도 읽기와 쓰기의 관계를 중심으로 통합연구에 대한 연구 를 많이 해오고 있다.

Niles(1965)는 읽기와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변인의 하나로 구 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논의하였다. 그는 학생들은 자신의 쓰기를 위 해 읽기에서 학습한 개념의 구조를 사용하는 방법을 학습해야 한다고 주장 하고 있다.

Tierney(1983), Chew, Charles R.(1984), James R. Squire(1983) 등은 읽 기 과정과 쓰기 과정을 세분하여 그 과정들 간의 유사성을 논하고 있다.

읽기를 하는 과정과 쓰기의 과정이 유사한 인지작용을 통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B-H. Suzanne(1984)는 음성언어의 특성과 문자언어의 특성을 비교하면 서 각 언어를 사용하는 독자(청자)와 필자(화자) 사이의 상황요소가 중요하 다고 설명하고 있다. 독자가 필자의 의도를 파악하면서 문제해결 과정을

거치듯이, 필자도 독자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글을 생산하게 된다. 즉, 독 자의 필자의 서로의 상황에 대한 상호작용이 읽기와 쓰기 활동에서 매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여 관련성을 논하고 있다.

이상에서처럼 많은 연구들이 통합교육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고 있으며 특 히 문식성 교육의 대상이 되는 읽기와 쓰기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문서에서 2. 연구 내용과 방법 ···3 (페이지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