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 론

문서에서 2. 연구 내용과 방법 ···3 (페이지 122-131)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지도할 때에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각 언어 영역을 구분하여 지도하는 것보다는 통합적으로 지도해야 더 효율적이라는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특히 문자 언어를 공통성으 로 하는 읽기와 쓰기는 동시에 발달하며 상호 보완적이기 때문에 통합적으 로 지도해야 한다는 이론에 그 타당성의 근거가 있다.

그리고 통합적인 지도의 합리성을 살피기 위하여 읽기 교육, 쓰기 교육 을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언어의 각 기능간에는 공유하는 점이 많고 이들은 여러 모로 상호 보완적이며 서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리고 실제 언어사용 과정에서 언어 기능들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국어로 서의 한국어에서 언어사용 신장을 위해서는 언어 기능들을 통합적으로 지 도해야 효과적이고 자연스럽다.

읽기는 독자와 작가가 만나는 과정이며 독자가 배경 경험과 문화적 체험 을 구성하여 의미를 재창조·재구성하는 과정이다. 쓰기는 작가와 독자가 만나는 과정이며 독자를 고려하여 의미를 생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이처럼 읽기와 쓰기는 인지적 사고 과정이며, 언어 처리 과정과 언어 처 리 단위가 유사하며, 두 기능 모두가 의미 구성 과정이다. 또한 의사 소통 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 습자들에게 읽기와 쓰기를 통합적으로 지도함으로써 읽기와 쓰기 능력을 모두 신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읽기와 쓰기의 통합을 기하기 위해서 먼저 의미 있는 상황에서 실제적인 언어 활동을 통해 통합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여 읽기와 쓰기의 언어 활동을 통해 통합시키려는 것으로 개별학습의 통합 모형과 집단학습의 통 합 모형 중 상호 비교 평가를 구안하였는데 이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 다.

첫째, 현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를 보면은 초급(1-2급), 중급(3-4 급) 그리고 고급(5-6급)으로 나뉘어 각 급에 소속된 학습자들은 지정된 교 재의 학습을 지정된 교재로 학습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인데 본고의 개별 학습의 통합 모형을 구안하면 지정된 각 급에 소속된 학습자라고 하더라도 수준에 따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본다.

둘째, 학습자의 사고와 지식 및 경험을 바탕으로 한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의 통합 모형은 글의 구성 원리를 읽기를 통해 익히면서 단계성, 응집성, 통일성의 학습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셋째, 각 개별 및 집단 구성원들 간의 상호 작용으로 학습에 대한 욕구 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자신이 읽으며 쓴 글과 다른 글과 비교·평가해 보 고 자기 점검 학습에 따라 쓰기 기능을 학습하는데 큰 효과가 있을 것이 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론이 예상되지만, 이 지도 방법이 외국어로서의 한 국어의 읽기와 쓰기의 통합지도 방법의 최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앞으로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교사들의 꾸준한

교수-학습 방법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때 보다 나은 통합적 지도 방법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통합적 모형이 실제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서 적용하지 못한 점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통합교육의 실제에서 교재의 적용에서 초급과 중급만 적용하고 고급은 제외된 점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 가도 하다. 그리고 본 연구가 다소 이론에 치중한 면이 있는데 이것 또 한 본 연구의 취약점이기도 하다고 생각한다.

끝으로 본고에서는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으로 주로 개 별 및 집단학습 모형에서 그 일부분만을 구안하였는데, 실제 외국어로서 한국어 학습 현장에서는 좀더 넓은 영역에서 통합 교수 활동이 실시될 수 있도록 외국어로서 한국어 관련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다.

참 고 문 헌

1. 단행본 및 자료

연세대학교 출판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3급. 1999.

연세대학교 출판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4급. 1999.

연세대학교 출판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5급. 1999.

연세대학교 출판부, 한국어 독본 고급. 1999.

연세대학교 출판부, 한국어 독본 중급. 1999.

연세대학교 출판부, 한국어 독본 초급. 1999.

연세대학교 출핀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읽기 2급. 1999.

노명완·박영목·권경안, 국어과 교육론, 서울. 갑을출판사. 1991.

박수자, 독해와 읽기 지도, 서울, 국학자료원. 1994.

원진숙, 논술교육론, 서울, 박이정. 1995.

이성은, 총체적 언어 교육, 서울, 창지사. 1994.

이화대학교 출판부, 말이 트이는 한국어Ⅰ. 1998.

최길시, 한국어 교육의 실제, 서울, 태학사, 1998.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 개론, 서울, 삼지원. 1996.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의 이론화 탐색, 서울, 도서출판 박이정. 1997.

최현섭 외, 창의적인 쓰기 수업 어떻게 할까?, 서울, 박이정, 2001.

한국 교육 개발원 편, 통합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83.

2. 논문

윤정옥, 읽기와 쓰기의 통합에 의한 설명적 글 지도 방법 연구, 한국교원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7.

이성영, 읽기 기능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0.

이재승, 듣기기능과 읽기 기능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 학원 석사 논문. 1992.

정현경,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9.

3. 외국 논저

Barrett, T., Taxonomy of reading comprehension, In R. Smith and T.

Barrett(eds.)

Teaching reading in the middle grades,

MA Addison-Wesley. 1976.

Berkowitz, S.J.(1986). Effects of instruction in text organization on

sixth-grade students' memory for expository reading. Reading

Research Quarterly, 161-178

Blake, R.(1990).

Whole language, whole teachers, whole kids:

foundations of whole language. In Robert W.(ed), Whole language: explorations and applications, New York State English Council.

Bloom, D.(1987). Literary theory, rhetoric, and stylistics : Implications theoretical issues in reading comprehension, Hillsdale, N.J.

Lawrebce Erlbaum Associates.

Carrell, P.L., Contents and formal schema in ESL reading, TESOL Quarterly 21. 1987

Goodman, K, S(1976). Reading : `A psycholinguistic guessing game, Language and Literacy, Boston : Routlege and Kegar.

Goodman, K. (1986). What's whole language?. N.H. : Heinemann Educational Books, Inc.

John Langan(1984), Reading and Study Skills : MaGraw-Hill, inc May. F. B.(1990), Reading as communication an interactive Approach

: Merrill Publishing.

Miller, K. (1988). Effects of Expository passage Organizers on sixth

graders' 'reading and Writing of tex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Raphael, J.L.(1977). Developing comprehension of context material

through strategies other than questioning. Ed 141 786

Susan Lehr.(1990).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 Creating Whole language classroom contexts for learners : An Overview. Blake In Robert W.(ed),

Whole Language

: Enplorations and Applications, New York State English Council.

Tierney, R.J. & Shanahan, T.(1991). Research on the Reading-Writing

relationship

: Interactions, transactions, and Outcome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2.

ABSTRACT

A study on the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method of reading and writing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IM, HYOUNG GEUN Major in Korean Languag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reading and writing to the integra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writing are important skills of language using school educ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hen teaching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they have taught reading and writing separately until now. It is not desirable because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e competence of language use is based upon thinking and thinking reinforce of language use.

In order to see the rationalness of integrative teaching-reading method, this study made clear the teaching of reading and writing theoretically. Each function of language own many things ajoint, and it

is related reciprocally. Practically, in the course of language, functions are made up with integration, likewise in order to teach and lear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t is effective to teach and learn in the method of integration.

Reading is the course of meeting for reader and writer, so reader constitutes background experience, experience of culture and it is the course for recreation, reconstruction of meaning. Writing is the course of meeting for writer and reader, so it is the course of creation for considering readers. Thus reading and writing are cognitive language process courses and language process units and they are all meaning constitution courses. Reading and writing are commonness of communication. So for the learners of Korean as a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y can be extended by virtue of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with integration.

This study, in order to integrate reading and writing, intends language operations at meaningful circumstances for integrative reading and writing. Language operations of reading and writing have an object, on the assumption the active, positive participation, the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 consequence of integrative models is as follows

First, now the text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re classified as a primary grade, intermediate grade, high grade and generally each

learners with each text teach and learn with assigned texts. But it is not good method because of many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re adults and they have a lot of curiosity, so they are likely to choose their texts.

Second, integrative models based on the thought, knowledge, experience of learners are learned through reading related the principle of learning's constitution. It has merits to have the nature of stage, cohesion, unity to study continuously.

Third, Learning of integrative models calls to mind of learning's desire caused by the reciprocal interaction of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constituents. Each individual letters written spontaneously can compare and appreciate with other's letters, and then the function of writing will become higher.

Though such consequence is anticipated, this doesn't become the supreme method. Now to the teach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t is necessary to do continual endeavor, reading and writing can also develop better integrative models.

Integrative models of this study have limits from the point of view not applying the learning scene, and this study may set value on theoretically a little. This side will progress by many Korean teachers as a foreign language after this.

문서에서 2. 연구 내용과 방법 ···3 (페이지 12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