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사회적기업 조직이론에 관한 논의

사회적기업도 조직의 목적을 실현하면서 하나의 조직으로서 지속적으로 존속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네 가지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앨리슨 (Alison, 1971)은 네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때 조직이 지속가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면서 경제적 가 치를 동시에 추구하면서도 정부의 지원에 대한 의존성이 높기 때문에 목표 달성기능과 유지기능이 더욱 중요하다.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모델을 구축 하고, 정부의 지원, 제도개선 및 육성 방안을 찾는 연구를 위해 근저에 깔 린 이론으로서의 가치가 있다.

네 가지 기능은 첫째, 목표달성 기능(goal attainment function)이다. 사회 적기업은 정부지원의 당위성 차원의 사회적 가치 추구가 기본 목표이며 동 시에 기업으로서의 수익창출이라는 경제적 가치를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적응 기능(adaptation function)인데, 사회적기업도 사회는 유기체로서 항상 변화하는데 이러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어야 존속이 가능하다. 셋째, 유지 기능(maintainenance function)으로서, 정부의 한정된 기간 동안의 지 원이 종료되거나 최소한의 지원환경에서 사회적기업이 지속가능할 수 있 는 기능을 말한다. 넷째, 통합 기능(integration function)인데, 이론적으로 통합기능은 개인의 목표와 조직의 목표가 통합되어야 조직으로서 강한 조 직이 될 수 있고 이런 조직이 지속가능성이 높다. 사회적기업은 특히 사회 적 가치를 실현하는 것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조직이 개인이라는 등식이 다른 기업보다는 훨씬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조직의 모습은 위에서 언급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 반면, 조직 으로서 사회적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소프트웨어가 더욱 성숙해 야 한다. 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아지리스(Argyris, 1971)의 성숙·미성숙 이론이 의미하는 바가 크다. 사회적기업 내부의 미성숙 조직 요소들(수동적

활동, 의존적 상태, 변덕스럽고 피상적인 관계, 단기적 안목, 종속적 지위에 만족, 단순한 행동, 자아의식 결여 등)을 성숙 조직 요소(능동적 활동, 독립 적 상태, 깊고 강한 관심, 장기적 안목, 대등 내지 우월적 지위에 만족, 다양 한 행동, 자아의식과 자기 규제 가능)를 가지는 사회적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육성 방안이나 제도개선을 유도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어떤 산업분야든 그 산업의 발전 단계에서 개별 조직을 강화·유지시키고, 내부 조직 간 또는 산업 외부 세력과의 관계를 지원하는 지원서비스가 있어 왔다. 중간지원조직(intermediary body)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비영리적 목적 을 띤 조직들을 위한 지원서비스 조직을 의미하는 용어로 통용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중간지원조직이라는 개념은 1919년 영국에서 설립된 전국사 회서비스협의회(National Council of Social Service: NCSS)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다. 1970년대 말 1980년대 초 조정자로서의 정부가 비영리기구 들을 파트너로 인식하면서 보편화되기 시작하였다(임승빈 2009). 공공과 시장의 실패가 존재하는 분야에 비영리조직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지역 별, 활동분야별 또는 기능별 영역에서 비영리조직 간의 조정 및 비영리조 직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와 민간의 중간단계의 지원 조직이 생겨나는데 이러한 조직을 중간지원조직이라 불렀다.

중간지원조직1의 개념과 관련한 다양한 접근이 있다. 유럽연합 차원의 연구프로젝트였던 RISO(The Role of Intermediary Support Structures in Promotion Third System Employment Activities at Local Level)에서는 중 간지원조직(Intermediary Support Organisation)을 ‘사회적 경제에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으로서 컨설팅, 코디네이션, 교류, 파이낸싱, 정보, 로비, 경영, 네트워킹, 연구, 훈련 등의 활동들을 통해 사회적기업과 사회 사이에서 매개자로서 활동하는 조직’이라 정의한다(Technologie-Netzwerk Berlin e.V., 2001). 한편 日本 內閣府(2002)에서는 NPO(Non-Profit Organization)

1 중간지원조직과 관련하여 영국에서는 umbrella body, second tier, secondary or-ganization, 미국에서는 (non-profit) infrastructure oror-ganization, 그리고 일본에서 는 中間支援組織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중간지원조직(中間支援組織)에 대하여 ‘다원적 사회에 있어 공생과 협동이 라는 목표를 향해서, 지역사회와 NPO의 변화와 요구를 파악하여, 인재와 자금과 정보 등을 제공하고, NPO 간의 중계는 물론 광의의 의미에서는 각 종 서비스의 수요와 공급을 코디네이팅 하는 조직’(강내영, 2008)으로 정 의하고 있다. 영국의 자선, 자원봉사, 지역개발 조직들 간의 교류 촉진을 위한 정보사이트인 Volresource(2011)에서는 중간지원조직을 ‘어떤 주체가 특정 지역에서 활동하거나 또는 특정 활동이나 기능을 하는 데 있어 겪는 어려움을 지원해주는 조직’으로 정의하고 있다.2

2.2. 사회적기업 유형화에 관한 논의

일반적으로 사회현상에 대한 유형화는 복잡한 현실을 보다 일반화하여 체 계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하는 분석방법이며 구조화된 관점이다. 유형화는 복잡한 현실에 대한 단순화라기보다는 복잡한 현실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 고 이론화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 유형화는 사회적기업의 분석에도 적 용된다.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이론을 심화 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유형론의 개발이 필요하다(Brouard et al., 2008).

우리나라의 경우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제정된 이후 인증제도를 통한 사회적기업뿐만 아니라 실제적 의미에서 사회적기업이라 할 수 있는 마을기업, 농어촌공동체회사, 커뮤니티비즈니스(시범사업) 등을 정책적으 로 육성하고 있다. 또한 2000년도부터 육성하고 있는 자활공동체 역시 실 질적인 사회적기업의 한 형태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관련 정책들은 대 부분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창출과 사회서비스 제공의 관점에서 조직의 숫자 늘리기에 급급했다. 이런 조직들이 어떤 특성을 가지며, 어떤 역할을

2 An organisation which supports others operating in a particular area(geographic, activity or function).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들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정책적 지원이 필요 한지 등에 대한 진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사회적기업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특성과 기능에 맞는 발전방안을 도 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유형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사회적 목적이나 업종, 사업내용 등 단편적인 기준에만 의존하여 사회적기업을 유 형화하고 있다. 관련 연구들 또한 관계 부처에서 구분하고 있는 사회적기 업 유형화의 폐단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인 농촌지역 사 회적기업은 물론이고 사회적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이론화를 위한

‘사회적기업 유형론’ 개발은 아직 요원한 형편이다.

해외의 경우에는 2000년대 들어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이론화하려는 유형화 연구들이 있어왔다. 대표적인 연구로 는 Fowler(2000), Dees 등(2001), Laville 등(2006), Alter(2007), Brouard 등 (2008) 등이 있다.

Fowler(2000)는 사회적기업을 비정부 개발조직(non-governmental development organizations)으로 이해하고 수입(earned income)의 차원에서 통합 사회적기업, 재통합 사회적기업, 그리고 보완적 사회적기업의 세 가 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통합 사회적기업은 해당 기업의 이윤창출을 위한 상업적 활동이 사회적 혜택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유형이며, 재통합 사회적기업은 비용을 절감하거나 수익을 증가 또는 다양화하는 방식으로 비정부 개발조직의 현 활동들을 추진하거나 창조적으로 개선하는 유형의 사회적기업이다. 보완적 사회적기업은 창출한 수입을 경제적으로는 자립성 이 없는 자체의 사회프로그램을 위해 투입하거나 다른 사회적기업의 사회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데 사용하는 유형의 사회적기업이다.

Dees 등(2001)은 사회적기업의 유형화를 위해 일반적인 동기 목적과 수 단, 주요 이해 당사자 등과 같은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다. 이를 통해 사회 적기업을 순수 박애주의 사회적기업, 복합형 사회적기업, 순수 상업적 사 회적기업의 세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순수 박애주의 사회적기업은 사회 적 임무 주도의 사회적기업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을 기업활동의 전면에 내 세운다. 반면 순수 상업적 사회적기업은 시장 주도의 기업으로 경제적 가

치 창출을 전면에 내세운다. 복합형 사회적기업은 이들 양자의 중간 형태

이러한 3차원의 매트릭스를 통해 <그림 1-1>과 같이 개념적으로 8가지의 사회적기업 유형을 도출했다.

그림 1-1. Brouard 등의 사회적기업 유형론

이처럼 사회적기업의 유형화는 매우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접근될 수 있 다. 우리나라와 같이 사회적 목적이나 사업내용, 업종과 같은 어느 하나의 단편적인 기준으로 사회적기업의 유형을 구분한다면 사회적기업의 유형화 는 오히려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해를 제한하고 정책적으로 적절한 발전방 안을 제시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다. 사회적기업의 유형화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이에 대한 이론화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 다. 이러한 관점을 고려하면서 본 연구의 3장에서는 선행연구들 중 보다 적 절한 유형론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농촌 사회적기업의 유형화를 시도한다.

2.3.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에 관한 논의

어떤 산업분야든 그 산업의 발전 단계에서 개별 조직을 강화·유지시키 고, 내부 조직 간 또는 산업 외부 세력과의 관계를 지원하는 지원서비스가

어떤 산업분야든 그 산업의 발전 단계에서 개별 조직을 강화·유지시키 고, 내부 조직 간 또는 산업 외부 세력과의 관계를 지원하는 지원서비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