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농산물 표준규격화, 물류 표준화와 관련된 연구는 다양한 연구자들 에 의해 19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에 선행된 연구들은 전체적인 큰 흐름상의 농산물유통에 관한 물류체계를 분석하고, 유통단계별 물류 효율화를 위한 거시적인 접근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절에서는 선행연구를 농산물 표준규격화, 농산물 물류체계 분야, 농산물 GS1 국제표준 관련 분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2.1. 농산물 표준규격화 관련 연구

徳田博美(1994)는 내부 품질을 규격 기준에 도입한 산지를 대상으로 규격 기준 과 가격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향후 청과물 규격 기준의 합리화를 제시하였다. 연 구 결과, 청과물의 규격화 기준은 판매가격 상승을 목표로 무리하게 기준을 도입

하기보다는 오히려 규격을 간소화하는 동시에 모든 농산물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매단계에서 표준규격품의 유통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표준규격 화 대상 농산물 총 94품목 중 27개 품목이 표준규격 농산물로 유통되는 것으로 파 악되었으며, 총 대상 제품 중 약 7.8%가 표준규격제품으로 출하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그러나 소비자 구매 시점에서 표준규격품의 품질표시가 적절히 관리되지 않는 다양한 요인들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표준규격 농산물의 소비 및 올바른 유통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2.2. 농산물 물류체계 관련 연구

전영길(1999)은 “농산물 물류 표준화 추진현황과 개선방안”에서 농산물 물류 표준화 추진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를 위해 농산물 포장센터의 기능 및 역할, 농산물 포장센터의 물류 표준화 현황 및 문제점과 농산물 포장센터 의 물류 표준화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건설된 포장센터의 시설 은 건설 당시 물류에 대한 개념이 거의 도입되어 있지 않아 현 상황에서 물류 표준 화를 도입하기에는 시기상조이며, 이후 건립될 포장센터의 경우 물류개념이 도입 된 시설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尾碕 亨(2001)은 “청과물의 환경보전형 물류에 관한 연구”에서 당근·상추·무 등의 채소를 대상으로 청과물 물류에 있어서 골판지 포장지 대신 용기형 포장지로 의 전환 가능성 분석과 함께 환경보전형 물류시스템 도입과 전개 조건에 대해 분 석하였다. 연구 결과, 향후 청과물 물류시스템의 효율화와 비용 절감을 위해서는 용기형 포장지로의 전환과 콜드체인 시스템의 적극적인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 였다.

김영민 외(2004)는 “농산물 물류기기 공동이용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 한 연구”에서 우리나라 농산물 물류의 관리는 물류기기를 이용한 도매시장의 출 하 저조와 거래 관행 문제 등 출하의 비합리성과 하역노조 비생산성, 물류기기 공 동이용관리 전산화 미흡, 물류기기 회수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연

구 결과, 물류기기 공동이용사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매시장 물류체계와

유통 주체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도매시장의 물류체계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물류

비용의 절감 및 거래시간 단축을 통해 도매시장 경쟁력 향상과 시장 혼잡도를 해소 하여 농산물유통 원활화를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하차거래 전환으로 인한 포장재비 증가와 적재율 하락 등의 비용부담이 커지는 문제는 정부와 모든 유 통 주체가 긴밀히 협의하여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2.3. 농산물 GS1 국제표준 관련 연구

김대영 외(2016)는 “스마트팜 및 농식품 서비스 생태계 실현을 위한 GS1 국제 표준 적용”에서, 글로벌시대 식품 생태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GS1 국제표준 의 현황과 이와 관련된 국내 표준안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산농산물의 글 로벌 식품시장 내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제시장에서 통용 가능한 국내 식품 생산 과 유통환경에 글로벌 표준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지적하였다.

김상태 외(2016)는 “GS1 표준 기반 식품 이력관리 시스템 제안”에서 최근 국내 에서 생산되는 농수축산물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수입 농축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 국내에서는 부처별 독립적인 이력 관리 체계를 유지하고 있어 상호 정보교류가 어렵고, 국제표준인 GS1 코드체계와 도 모두 상이하여 식품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운용에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글로벌 식품 이력추적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고, 그 방법 으로 GS1 EPCIS 저장소를 활용한 식품 이력관리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한국과학기술원(2017)은 “물류이력관리를 위한 표준코드 활용방안”에서 국내 외 농축산물 표준코드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GS1 국제표준 기반 농축산물 표준 코드 개선 및 생태계 구축 전략과 로컬푸드 직거래 및 학교급식 지원센터 중심의 GS1 표준 확산전략을 제시하였으며, 글로벌 GS1 농축산식품 생태계 구축을 위해 각국의 표준시스템에 대한 교류와 더불어, 주요 수출입품목에 대한 국가 간 표준 연계 수출입지원 사업 등을 통해 경험 및 사례를 축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 하였다.

표 1-1 농산물 물류 및 상품 표준화 관련 선행연구

본 연구는 농산물의 생산, 유통물류, 포장 규격화 등 표준 실태를 파악하고 스마트 물류시스템 발달에 따른 기술 수준을 파악하여 농산물유통 효율화를 위한 정책방 안을 제시하는 데 기존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는 산지 및 도매유통의 주체들에 대한 설문조사와 전문가 조사 및 계량 분석을 통해 정책개선 방안 등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으나, 본 연구 는 실제 농산물유통에 참여하는 주체들에 대한 심층 조사와 해외사례 등도 조사 및 분석하여 스마트 물류시스템 발달에 따른 농산물유통 효율성을 도출하는 데 차 별성이 있다.

기존에 선행되었던 연구는 주로 물류 효율성의 제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유 통단계별, 참여 주체에 따른 분석과 개별 품목의 효율화 방안을 강조하고 있으나, 이 연구는 전반적인 농산물 물류 및 표준규격화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정책과제 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