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협력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형 R&D사업을 선정하여 진행하고 있다. 사회문제 해결형 R&D사업의 주요 현안으로는 생활안전, 재난재해, 에너지, 주거와 교통문제 해결을 위 한 ‘걱정 없는 안심사회’과 가족, 교육문제 해결과 사회의 소외계층 지원을 위한 평등 한 기회 제공을 위한 사회통합을 이슈로 다루는 ‘더불어 사는 어울림 사회’, 마지막으 로 건강과 환경, 문화, 여가 생활과 관련한 ‘지속가능한 활력사회’로 분류되어 진행되고 있다.82)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가 직면한 문제인 도시 인프라의 노후화와 재난발생 증가 등 으로 다양한 잠재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도시민들의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방재분야와 디자인 분야의 협력을 통한 혁신적인 문제해결 방안을 서비스 디자인 프로 세스와 방법론을 활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재난·방재 분야에 있어서는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킨 1995년의 한신대지진을 계기로 재해대응 전문가와 재해 자원봉사자 사이에서 통상적인 ‘재해방지’ 즉 ‘방재(’라는 개념 으로부터 ‘재해 자체를 막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불가피하게 발생된 재해 피해를 어느 정도는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재해경감(Disaster risk reduction)’ 개념으로 전환되었다. 방재가 피해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하는 종합적인 대책인 것에 비해, 경감은 재해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관리함으로써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고 감소시 키려는 의도이기 때문에 ‘재해 경감’이라는 용어와 더불어 ‘재해 리스크 경감 Disaster Risk Reduction’(DRR)이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어 사용되고 있다.84)

방재 시스템 공학 전문가 타키모토 코이치(2008)은 ‘리스크 관리’를 때와 장소를 가 리지 않고 발생하는 긴급사태를 예지·예방하는 것이며, 긴급사태 발생 시에 신속히 대 응하여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 또한 원만하고 신속하게 복구·부흥하는 것이라 하였다. 예기치 않은 긴급사태의 발생을 예지하고 예방하는 것,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신속한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재난 발생 이전의 상태 혹은 더 나은 상태로 복구하기 위한 정부와 기관, 커뮤니티, 개인의 노력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과정 이라 정의할 수 있다.

<그림 3-1> 재난 리스크 관리 단계별 키워드

방재 서비스 디자인이란 재난의 전후 전 단계에 관련된 이해관계자가가 재난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재난과 관련된 유·무형의 요소를 가시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이해관 계자의 욕구와 강등요인을 포착하여 안전하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실체화하는 디자인적 방법 및 분야를 의미한다. 결국 방재 서비스 디자인을 통해 포괄적이면서도 인간중심적 인 해결안을 도출 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 방재 분야는 상황, 환경, 현상의 다양성과

84) 이호숭, 「재해약자를 배려한 구호디자인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논문, 2014, p.14

복합성에도 불구하고 행정적인 절차와 공학적 해결책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재난 환경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인터랙션이 일어나는 과정과 그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최근에는 재난 발생원인과 피해유형이 복 합화 되면서 행정적, 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심리 등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 을 통한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85)

안전 디자인은 크게 생활안전영역, 공적영역, 정책영역으로 분류되어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어져 왔다. 위험은 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사회, 환경 등의 여러 각도에서 찾아 올 수 있다. 이러한 사회문제는 국가와 공공단체에서 사회 안전망의 하나로 서비스 되 어야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사회전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찾고 적합한 방식과 절차를 걸쳐 디자인해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공적영역 부분에서의 안전 디자 인은 주로 재난과 치안과 관련된 분야를 다루고 있으며, 재난관련 영역에서도 자연재난 과 사회재난 예방·대응을 안전시설, 장비, 운송기기 디자인을 비롯하여 재난과 화재 발 생 이후 대응과 복구 단계에서 필요한 소방·구급과 관련된 제품·공간·시각 디자인 및 정보공유를 위한 시각·조명·영상디자인이 다학제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연구, 개발되어 지고 있다.86)

대분류 소분류 다학제 영역

재난방재 디자인

자연재난 방재디자인 풍수해, 수해, 한파, 가뭄, 지진 토목, 조경, 환경공학, 도시설계, 교통공학, 문화재관리, 재난 방재학, 사회복지학, 기계공학, 제품·공간·시각 디자인 등 환경오염 방재디자인 수질오염, 대기오염, 토양오염

사회재난 방재디자인 화재, 붕괴, 폭발, 전쟁, 테러 소방방재

디자인 화재 화재경보, 화재진압 소방학, 전자, 전기공학,

제품·공간·시각 디자인 등

구호 재난사고 구급, 구난 응급의학, 의학, 약학,

제품·공간·시각 디자인 등 매체 정보매체, 상징매체 지시유도, 행정기능 시각·조명·영상디자인 등

정책 행정·정책/ 관련법규 법률, 조례, 정책학, 행정학,

공공디자인 등

<표 3-3> 공적영역의 방재 디자인 분야

자료: 이경돈 외, 2014

85) 하광수, 「재난사례기반추론 프로세스를 통한 방재서비스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논문, 2017, p.32 86) 이경동, 최정수, 「안전 디자인」, 서우출판사, 2014, p.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