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상품(B) 중품(C) 하품(D) 상품(A/B) 중품(A/C) 하품(A/D)

단감 277 1,783 1,191 589 15.5 23.2 47.0

부유 상품 가격의 16%, 중품 가격의 23%, 하품 가격의 47%이다. 따라서 중국 산 단감의 가격경쟁력이 높다.

2.7. 경쟁력 종합

사과 당도는 국내산이 중국산보다 1°Bx 높다. 착색률, 정형과율 등 외형과 식미감도 국내산이 중국산보다 다소 우수하다. 그러므로 한국산 사과의 품질 경쟁력이 중국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최근에 중국의 사과 재배기술 및 품질이 급속히 향상되고 있다.

중국 사과가 국내로 수입될 경우 국내 도매시장 판매 예상가격은 국내산 가격의 30%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사과의 수출가격과 현행 관세율 (45%)을 적용하여 수입 시 판매 예상가격을 산출하였으므로 DDA나 FTA 협 상에 의해 관세율이 낮아질 경우 국내산 가격경쟁력은 더 낮아질 것으로 예 상된다.

동남아 수출시장에서 중국산 사과가격은 국내산 사과 수출가격의 20% 수 준이다. 수출시장 가격과 국내 수입시 판매가격을 종합하면 중국산 사과 가 격은 국내산의 20∼30% 수준으로 추정되어 국내산 사과의 가격경쟁력이 매 우 낮은 편이다. 중국산 사과 품질이 국내산보다 크게 낮지 않고 중국산 사 과의 가격경쟁력이 매우 높으므로 중국 사과가 국내에 수입될 경우 국내 중․하품 수요를 대체할 가능성이 아주 높아 보인다.

현재 중국에서 재배되며 중국 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배 품종은 야리, 설 화리 등 북방형 동양배(청배) 계통이다. 이들 배 품종은 국내 소비자들의 기 호에 맞지 않아 품질 및 가격경쟁력을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다. 최근 에 산동성 일대에 대규모 기업형 동양배 재배면적이 크게 늘어났는데, 이들 과원에서 생산된 남방형 동양배(신고 등 갈색배) 품질이 매우 뛰어나다. 또 한 강우량 등 기후조건도 당도 증진에 적합하여 고품질 배 생산 잠재력이 높은 편이다.

중국산 배가 수입되어 국내 도매시장에 출하될 경우 예상 가격은 국내도

매시장 가격의 27%로 추정된다. 동남아 수출시장에서 중국산 배 가격은 국 내산 배 가격의 20% 수준이어서 중국산 배 가격경쟁력이 매우 높다. 중국산 남방형 동양배는 품질이 뛰어나고 가격경쟁력도 매우 높으므로 국내로 수입 될 경우 국내 수급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온주감귤은 국내산보다 당도는 높으나 산도가 낮아 국내 소비자들 에게는 국내산보다 기호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외형 및 식미감도 국내산 이 다소 우수하다.

중국산 감귤이 수입되어 국내 도매시장에 출하될 경우 예상 가격은 국내 도매시장 감귤 가격의 77∼130% 수준일 것으로 추정되어 중국산 감귤의 가 격경쟁력은 국내산과 비슷하다. 캐나다 수출시장에서 중국산 감귤 가격은 국 내산의 70% 수준으로 중국산 가격경쟁력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감귤의 품질경쟁력이 중국산과 비슷하고 오렌지에 비해서는 품질 경쟁력이 떨어지므로 국내산 감귤의 당도를 높여 품질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국내산 포도는 중국 포도에 비해 품질이 우수하지만 가격경쟁력은 매우 낮다. 중국산 포도가 국내 도매시장에 판매될 경우 국내산 가격의 39% 수준 으로 추정되며, 수출시장에서는 국내산 가격의 30∼40%로 추정된다. 국내산 포도의 품질경쟁력이 높으므로 앞으로 고품질 포도로 중국산과 차별화시키 는 것이 유효해 보이며, 낮은 가격경쟁력을 보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국내산 복숭아는 중국 복숭아보다 당도나 외형, 식미감 측면에서 품질이 나은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가격경쟁력은 매우 낮다. 중국 복숭아가 국내 로 수입될 경우 국내산 가격의 37% 수준일 것으로 추정된다. 수출시장에서 중국 복숭아는 국내산 가격의 14% 수준이다. 국내산의 품질경쟁력이 높으므 로 품질차별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산 단감의 품질은 일본산보다 떨어지고 중국산보다 우위적인 위치이 다. 중국산 단감은 가격경쟁력이 높으나 중국 내 단감 생산량이 매우 적은 편이다. 그리고 현재 중국으로부터 식물검역 해제 요청도 접수되지 않은 상 태이기 때문에 당분간 중국산 단감이 수입될 가능성은 매우 적어 보인다.

표 3-45. 한국x중국 과실 품질 및 가격경쟁력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