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적 측면의 분석

3.1. 사회적 측면의 구성요소

지속가능 농업의 사회성을 구성하는 요소 파악을 위해 요소(component) 와 조건(condition)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소는 어떤 사 물을 구성하거나 효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없어서는 안 될 근본적인 조건 이나 성분을 의미하며, 조건은 어떠한 일이 진행되거나 성립되는 데 갖추 어야 할 상태를 뜻한다(김창길 외 4인 2013). 곧 요소는 지속가능 농업이 지속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농업 내부적 요인이며, 조건은 농업이 지속 되기 위한 제반 사회적 여건이다. 여기에서는 지속가능 농업의 사회적 측 면을 지속가능 농업의 사회적 요소로 파악하였다. 지속가능 농업의 사회적 요소들은 생산자의 가치‧인식‧태도, 조직(내부 네트워크‧외부와의 네트워크 포함), 교육, 농민 충원, 농법, 판로 등으로 분석된다. 지속가능 농업을 실 현하기 위해서는 농업 활동의 주체인 농민들이 농업의 사회적‧환경적 중요 성을 인식하고 농사에 대한 자긍심과 보람, 의지를 가지면서 생명과 안전 을 주요 가치로 삼아 농업 활동에 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파 악된다.

지속가능 농업의 중요한 사회적 요소 중의 하나로 ‘교육’을 들 수 있다.

지속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앞서 기술한 생명을 중심에 둔 생산자의 가치‧인식‧태도를 배양할 수 있고, 아울러 지속가능 농업을 실현해갈 수 있 는 농법을 전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속가능 농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농사를 짓는 농민이 지 속적으로 충원되어야 한다. 이때 지속가능 농업의 사회적 요소로서의 농민 충원은 두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는 기존 관행 농업을 실천하는 농 민이 지속가능한 농업을 실천하도록 꾸준히 유도해가는 것과, 다른 하나는 농업 이외의 분야에 종사하는 구성원을 농업인으로 바꾸어 수용하는 것이다.

지속가능 농업이 아무리 이상적이라 할지라도 경제적으로 수익을 창출

지속가능 농업의 실증 분석 55

할 수 없다면 실현될 수 없다. 판로는 지속가능 농업의 경제적 측면과 사 회적 측면이 중첩되는 부분으로 지속가능 농업을 구성하는 요소이자 지속 가능 농업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조건이기도 하다(김창길 외 4인, 2013).

지속가능 농업의 구성요소로서 판로는 단순히 경제적 관계뿐만 아니라 생 산자와 소비자 간 신뢰를 기초로 안정적인 판매가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관계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그림 3-2. 지속가능 농업의 사회적 요소와 사회적 조건(농가)

자료: 김창길 외 4인(2013: 71).

지속가능 농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가치‧인식‧태도가 바뀌도 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농업의 사회적‧환경적 가치를 인정하고 농업과 농 민의 역할에 대한 존중이 요구된다. 지속가능 농업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이를 주도해나가는 지도자가 필요하다. 대안 농업에 대한 가치와 농법을 선도적으로 실천하고, 이를 주변 농민과 지역에 확산시킬 수 있는 의식 있는 지역 지도자가 필요하다.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여가면서 지속가능 농업을 만들어가는 데 있어

56 지속가능 농업의 실증 분석

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현재 사회적 관계를 압도하고 있는 경제적 관계 를 사회적 관계에 의해 지배받는 것으로 전환해가는 것이다(김창길 외 4인 2013). 사회적 관계란 신뢰와 호혜(mutual benefits)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 다. 또 사회적 관계는 농민과 농민, 농민과 (지역 내) 비농민, 농민인 생산 자와 소비자 간 관계가 신뢰에 기반을 두어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 관계가 확장되고 강화될 때 농업의 지속가능성이 확보될 수 있다. 더욱 든든한 신뢰와 호혜를 바탕으로 가치를 공유한 조직이 필요하다. 그 런데 여기에서 조직은 그 자체의 중요성보다는 다양성이 더욱 중요하다.

내부 네트워크는 조직 내 농민과 농민의 네트워크뿐만이 아니라 농민과 농민 이외 지역 주민이나 조직 외 농민과의 네트워크까지 포괄해야 한다. 외부와의 네트워크는 비단 소비자단체만이 아니라 지방정부나 중앙정부와 의 네트워크까지 포함한다. 더 나아가 지역공동체라는 요소가 사회적 요소 에 추가될 필요가 있다. 지역공동체가 건강하고 튼튼해야 지속가능 농업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3.2. 사회적 측면 분석의 시사점

친환경 농업을 실천하는 농가를 조사한 결과, 지속가능 농업의 사회적 요소들은 생산자의 가치‧인식‧태도, 조직(조직의 다양성), 내부 네트워크, 외 부와의 네트워크, 지도력, 교육, 농민 충원, 농법, 판로(소비자와의 관계), 지역공동체 등으로 분석되었다(김창길 외 4인 2013). 또, 지속가능 농업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조건으로는 소비자의 가치‧인식‧태도, 교육, 정책‧제 도, 판로(유통구조), 농촌사회 서비스 등으로 분석되었다.

위의 사회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주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산자와 소비자의 가치‧인식‧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친환경 농업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생산자들과 소비자들의 이익을 수렴하고 대변할 수 있는 조직(생 산자단체와 소비자단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생산자단체와

지속가능 농업의 실증 분석 57

소비자단체 간에 자발적으로 연계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소비자단체는 생산 지원금을 모금하여 생산자단체를 지원하고, 생산 자단체는 안전하고 품질 좋은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하여 소비자단체에 지 원함으로써 상호 윈윈(win win)할 수 있다.

셋째, 정책 담당자와 농민‧소비자 간 신뢰 관계도 중요한데, 이를 위해 정부는 친환경 농업 관련 정책을 추진해가는 데 있어서 공청회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피드백(feedback)을 반영해가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넷째, 농민(생산자)과 소비자 간 관계가 신뢰에 바탕을 두어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연결 고리가 되는 친환경농산물 인증 시스템(certificate system)이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올바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친환경 농업생산자와 일반 농업생산자 간 이해관계의 대립을 조정하 기 위해 농촌 지도자의 리더십(leadership)을 지금보다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림 3-3. 수정된 지속가능 농업의 사회적 요소와 사회적 조건(전문가)

자료: 김창길 외 4인(2013: 75).

58 지속가능 농업의 실증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