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농업인 반응 분석 모형

지속가능 농업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대안 모색을 위해서 는 농촌 현장에서 지속가능 농법을 실천하는 농업인의 반응에 대한 심층 분 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농업인의 지속가능 농업의 수용 정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농업인 설문조사 결과를 기초로 헤크만모 형(Heckman model)을 이용하였다. 헤크만모형은 1단계 최우도추정법 (Maximum Likeklihood Method)으로 표본선택 방정식의 파라미터를 추 정한다. 이 과정에서 역밀스비율(Inverse Mill's Ratio: IMR) ˆλ가 계산 되며 파라미터를 일관되게 추정하기 위해 2단계의 결과 방정식에서

ˆλ가 독립변수로 포함된다. IMR ˆλ는 식 (5-1)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 



(5-1)

식 (5-1)에서 φ는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를, Φ는 누적분포함수 를 나타낸다. 헤크만의 2단계 추정 절차에서 표본선택 방정식은 <식 5-2>

와 같이 표현된다.

   

  i f ≤  ∼

  i f  

(5-2)

식 (5-2)에서

는 농가의 관찰되지 않은 효용 수준을 나타낸다. 만약 효용 수준 가 0보다 크면 농가가 지속가능 농업을 수용할 의향()이 있음을 의 미한다. 헤크만의 2단계 결과 방정식은 다음 식 (5-3)과 같이 표현된다.

112 지속가능 농업에 대한 농업인 반응 분석

   

 i f  

   i f  

(5-3)

식 (5-3)에서 는 생산자의 지속가능 농업 수용 정도를 나타내며,

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의 벡터, 는 추정될 계수의 벡터이다.

분석 모형에 이용된 설명 변수에 대한 설명과 이들 변수의 평균값은 <표 5-26>과 같다. 우선 개별 농가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지속가능 농업을 선택 하는 의향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어 면적(ACR), 나이(AGE), 교육 수 준(EDU), 주 품목 화훼(FLOWERS), 산간 재배 지대(MOUNTAIN), 영농 경력(CAREER), 소득(INC), 주 품목 과수(FRUIT), 지역(REGION) 등을 설명 변수로 포함하였다. 여기에서 주 품목 과수는 주 품목이 과수인 농가 를 1로 그 밖의 농가를 0으로, 지역의 경우 전라남도 지역의 농가를 1로 그 밖의 농가를 0으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지속가능 농업의 실천 정도 및 인식과 지속가능 농업의 선택 의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인지(RECOG), 채택의 중요성 인식 정도 (IMP), 실천 정도(STATUS) 등을 설명 변수로 추가하였다. 여기에서 인지는 지속가능 농업을 인지하는 농가를 1로 그 밖의 농가를 0으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 농업 선택 의향과 지속가능 농업의 환경적․경제적․

사회적 측면의 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이웃과 갈등 경험 (CONFLICT), 소득 격차 완화 인식(INCDIFF), 경제적 문제 인식(ECOPRO), 환경․사회적 문제 인식(ENVSOCPRO), 공동 작업 이익 인식(COWORK) 등 을 설명 변수로 추가하였다. 여기에서 이웃과 갈등 경험은 지속가능 농업을 실천하다가 갈등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한 농가를 1로, 무경험을 0으로 설정 하였다. 경제적 문제 인식은 우리 농업이 직면한 문제로 경제적 문제가 가장 크다고 인식하는 농가를 1로, 기타를 0으로 설정하였으며, 환경․사회적 문제 인식도 경제적 문제 인식과 같게 설정하였다<표 5-26>.

지속가능 농업에 대한 농업인 반응 113

표 5-26. 분석에 이용된 변수의 설명 및 기술 통계량

변수명 변수 설명 평균 표준편차 표본 수

ACR 재배면적(3.3m2) 8667.6 10568.5 291

AGE 농가의 나이(세) 55.8 9.2 284

114 지속가능 농업에 대한 농업인 반응 분석

3.2. 농업인 반응 분석 결과

우선 1단계인 프로빗모형 추정 결과를 보면, 농가가 지속가능 농업을 선 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소득(INC), 채택의 중요성 인식 정도 (IMP), 이웃과 갈등 경험(CONFLICT) 등이 양의 부호로 유의하게 추정되 었다. 다시 말해, 소득이 높은 농가일수록 또 우리나라가 지속가능한 농법 을 채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그리고 기존에 지속가능 농업의 추진으로 이웃과의 갈등을 경험한 농가일수록, 지속가능 농업을 선택할 확 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 유의성은 낮지만 재배면적 규모(ACR) 가 클수록, 농사 경력(CAREER)이 짧을수록, 또 주 품목이 과수(FRUIT)인 농가가 그렇지 않는 농가에 비해 지속가능 농업을 선택할 의향이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 또 재배 지역이 전라남도(REGION)인 농가가 그렇지 않는 농가에 비해, 또한 지속가능 농업에 대해 들어서 알고 있는 농가(RECOG) 일수록 지속가능 농업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27>.

다음으로 2단계로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가 지속가능 농업 실천 의 향 비중에 미치는 영향을 가중최소자승법(Weighted Least Square: WLS)으로 회귀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주 품목 화훼(FLOWERS)는 음의 부호로, 실천 정도(STATUS), 환경․사회적 문제 인식(ENVSOC- PRO) 등은 양의 부호로 유의하게 추정되었다. 다시 말해서 주 품목이 화훼인 농가가 그렇지 않는 농 가에 비해 지속가능 농업 실천에 따른 이익이 낮기 때문에 지속가능 농업 실 천 의향 비중이 낮으며, 현재 지속가능 농업을 실천하는 농가일수록, 또 우리 농업에 대해 환경․사회적 문제가 크다고 인식할수록 지속가능 농업 실천 의 향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 유의성은 낮지만 소득 격차 완화 인 식(INCDIFF), 공동 작업 이익 인식(COWORK), 경제적 문제 인식(ECOPRO) 등이 양의 부호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지속가능 농업에 대해 소득 격차를 완화한다고, 그리고 공동 작업을 통해 지역의 화합이나 친목 도모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할수록, 또 우리 농업에 대해 경제적 문제가 가장 크다고 인식할 수록 지속가능 농업 실천 비중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 농업에 대한 농업인 반응 115

 -AGE 0.001 0.001 0.020 0.012

EDU  - -  0.073 0.082

FLOWERS  -  - -1.143*** 0.407

MOUNTAIN  -  - 0.00025 0.000

CAREER -0.004 0.008 -  - 

INC 0.132* 0.074 0.094 0.071

FRUIT -0.299 0.214 -  - 

 -INCDIFF 0.001 0.001 0.004 0.096

ECOPRO  -  - 0.430 0.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