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8.1.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일반적 논의

독거노인이나 조손가족과 같은 취약계층의 문제는 개별 가족의 힘만으 로는 해결할 수 없으며, 가족을 보완 또는 대신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체

계가 불가피하게 요구된다.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는 취약계층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유지하 고 지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회적 지지는 가족, 친척, 이 웃, 친구, 사회복지사 등과의 접촉을 통하여 지속적인 정서, 정보, 물질 및 서비스 등을 상호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사회적 지지의 유형은 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정서적 지지는 고립감과 불안을 해소하고 인격적·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 며,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도구적 지지는 개인이 필요로 하는 어떤 것 을 직접 도와주거나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지칭한다.

노인의 생활만족이란 ‘노인 개개인이 자신의 생활에서 느끼는 주관적 만 족감과 그에 대한 태도이며, 과거의 삶을 비롯하여 현재 처한 상황에 대한 종합적이고 보편적인 만족’을 의미한다(최성재, 1986).

선행연구들(고보선·유용식, 2003;김수현 외, 2008; 최용민·이상주, 2003) 에 따르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요인으로는 성 별, 연령, 배우자 유무, 동거 형태, 경제적 수준, 경제활동 여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등이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 정도는 생활만족도와 정(正)의 관 련성을 나타낸다.

8.2. 사회적 지지

□ 사회복지사나 종교단체·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지지는 미미함

독거노인 주변사람들의 사회적 지지(지원)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전반 적으로 사회복지사나 종교단체 및 자원봉사자의 지지는 아직까지 많지 않 았다. 경제적 도움을 주거나 아플 때 간호를 해주는 경우 등 어려움에 처 할 때는 가족·친척과의 교류가 많고, 물건을 사러 가거나 빌리는 경우 등 과 같이 교류하며 의사소통을 하는 대상은 친구·이웃이 많았다.

한편, 은행·관공서 일을 대신해 주거나, 일자리를 소개해 주는 일, 길을

안내해주는 일 등 독거노인의 사회생활을 지원해주는 경우(도구적 지지)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11>.

그림 2-11. 주변 사람들의 사회적 지지

□사회복지사 가족 친척 ■친구, 이웃 ■종교단체, 자원봉사 해당없음 은행일 등을 봐줌

식사, 집안일 도움 모르는 길 안내해줌 아플 때 간호해줌 필요한 물건 빌려줌 경제적 도움을 줌 물건을 살 때 함께함 부업, 일자리 소개해줌 속사정 얘기를 들어줌 나를 존중해 줌 걱정하고 관심 가져줌 같이있는 시간이 소중함 오가며 친하게 지냄

8.3. 생활만족도

□ 다른 사람보다 다복한 편이지 못하고 괴로운 인생을 살았다는 응답 이 많음

생활만족도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대체로 다른 사람보다 다복한 편이지 못하고 괴로운 인생을 살았다고 응답한 사람이 많았다. 또한 현재 생활에 불만족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 쁘고 의미 있는 생활을 하고 있다는 측면도 부정적인 사람이 많았고, 살아 가는 데 희망이 있다는 측면 역시 부정적인 사람이 많았다.8 Likert형 5점

척도9를 100점 척도로 환산해보면(전혀 그렇지 않다 = 0점, 그렇지 않다 =

8.4.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상자별 사회적 지지 중에서는 가족·친지의 지지가, 사회적 지지 유형별로는 정서적 지지가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지역, 성별, 연령, 경제활동, 소득, 건강상태, 주변인과 접촉, 사회적 지지를 설정하였다. 각 변인의 측정은 지역은 대도시근교를 기준으로 농촌과 어촌을 더미변인화하고, 성별은 남성을 0, 여성을 1로, 경 제활동은 농어업 및 농어업외 활동 여부를 기준으로 경제활동 집단과 비경 제활동집단으로 나누고, 소득은 월평균소득 총합액으로, 건강상태는 평소 건강상태에 대한 응답결과(1=1개월 이상 앓는 만성질환이 있다 2=만성질 환은 아니지만 잔병치레를 한다, 3=건강한 편이다)를, 주변인과 접촉은 자 녀, 친척, 친구·이웃과의 접촉빈도(1=전혀 연락 안함, 2=거의 연락 안함, 3=1년에 1~2회 정도, 4=월 1~2회 정도, 5=주 1~2회 정도, 6=거의 매일) 를, 사회적 지지는 사회복지사, 가족·친척, 친구·이웃, 종교·자원봉사자 등 이 평소에 도구적 지지 8개 항목, 정서적 지지 5개 항목을 제공하는지 여 부의 총점을 토대로 하였다.10

종속변인인 생활만족도는 노인의 생활만족과 관련한 9개 항목의 진술문 에 대한 5점 리커트 문항의 반응(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

보통이다, 4=대체로 그렇다, 5=매우 그렇다)의 총점으로 측정하였다. 종속 변인인 생활만족도는 9개 만족도 문항의 합계 점수로 측정하였다. 생활만 족도 척도의 신뢰도계수(α)는 0.860였다.

10 대상자별 사회적 지지는 13개 사회적 지지 항목의 제공 여부의 합으로 범위는 0~13이다. 사회적 지지 유형(도구, 정서)별 사회적 지지는 4개 그룹의 대상자 별 사회적 지지의 8개 항목(도구적 지지), 5개 항목(정서적 지지)에 대한 제공 여부의합이다.

회귀분석 결과 모형의 유의도는 0.001 이하였으며 대상자별 지지의 경우 27.8%, 도구·정서적 지지의 경우 24.5%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지역, 연령, 성별, 건강상태, 경제활동 여부, 소득, 주변인 접촉 등을 통제한 상황 에서 보면 대상자별 사회적 지지 중에서는 가족·친지의 지지가, 사회적 지 지 유형별로는 정서적 지지가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른 변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자녀 접촉빈도와 친척 접촉빈도가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7>, <표 2-8>).

  B Beta t sig

(Constant) 2.478   4.808 0.000

지역 (근교=0)

농촌 0.182 0.154 2.452 0.015

어촌 0.098 0.072 1.124 0.262

연령 -0.014 -0.137 -2.605 0.010

성별 0.026 0.016 0.307 0.759

건강상태 0.109 0.121 2.330 0.020

경제활동 -0.046 -0.035 -0.661 0.509

소득 0.004 0.125 2.282 0.023

접촉

자녀 0.087 0.159 2.810 0.005

친척 0.091 0.188 3.685 0.000

친구·이웃 0.044 0.066 1.228 0.220

사회적 지지 (대상별)

사회복지사 -0.067 -0.099 -1.968 0.050

가족·친지 0.035 0.206 3.609 0.000

친구·이웃 -0.010 -0.052 -0.944 0.346

종교자원봉사 0.027 0.069 1.338 0.182

R2=0.278 AR2=0.245 F=8.588(df=14, 313) Sig=0.000

표 2-7. 대상자별 지지가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B Beta t sig

(Constant) 2.159   4.163 0.000

지역 (근교=0)

농촌 0.183 0.155 2.393 0.017

어촌 0.074 0.055 0.838 0.403

연령 -0.013 -0.125 -2.346 0.020

성별 0.064 0.039 0.763 0.446

건강상태 0.115 0.128 2.446 0.015

경제활동 -0.021 -0.016 -0.295 0.768

소득 0.003 0.111 1.994 0.047

접촉

자녀 0.133 0.243 4.803 0.000

친척 0.098 0.204 3.952 0.000

친구·이웃 0.028 0.043 0.803 0.423

사회적 지지 유형

도구적 0.006 0.030 0.504 0.614

정서적 0.022 0.100 1.693 0.091

R2=0.245 AR2=0.216 F=8.518(df=12,315) Sig=0.000

표 2-8. 사회적 지지 유형이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