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ourdieu, Coleman, Putnam과 함께 그 이후에는 다양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들이 시도되면서 사회적 자본에 대한 개념과 사회적 자본이 실 재로 어떤 모습을 취하는지에 대한, 즉 사회적 자본의 근원에 대한 논의 가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Fukuyama(1995)는 Coleman의 논의를 발전시켜 ‘신뢰’를 사회 적 자본의 핵심적 측정 기준으로 제시하고, 신뢰는 시민 참여 네트워크 내의 상호 호혜적 규범 및 성공적 상호 협력 관계를 통해 축적되어짐을 강조하였다. 이런 관점을 취함으로써 사회적 자본이 사회에 기능주의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하여 동조하면서 신뢰를 사회적 자본을 실제를 파악하기 위한 근원으로서 설명하였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Fukuyama는 사회의 형태를 유지하고 잠재적 으로 지속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문화와 사회적 자본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도 제공하였다. 그는 상호호혜성, 시민적 임무, 도덕적 의무 등은 안정적 사회의 형성과 유지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 하였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은 문화에 대한 존중하는 인식을 확산하고 확 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이는 결국 사회의 형태를 결정하게 하는 힘 을 갖는다는 점에서 사회적 자본은 문화적 자본과 연계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회의 모습을 결정하는 강력한 힘을 보유한다는 것이다.

한편 Uphoff(2000)에 따르면, 사회적 자본이란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ㆍ 심리적ㆍ인지적ㆍ제도적 자산 및 이와 관련된 자산의 축적체로써 서로에 게 이익이 되는 협력적이고 생산적인 행위의 총량(혹은 가능성)을 증진시 킨다. 그는 사회적 자본이 경제적 측면에서 새로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즉, 협력적이고 생산적 인 활동인 생산과정에서 새로운 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투입자본

이라는 것이다.

사회적 자본의 다른 측면에 주목한 North(1990)와 Olson(1982)은 신뢰, 규범, 네트워크 뿐 만 아니라 규범과 사회적 구조를 형성하는 사회ㆍ정치 적 여건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시민적ㆍ정치적 자유 등과 더불어 정부, 정치 기구, 시장, 법률, 법정 체제(court system)와 같은 보다 형식화 된 제도적 관계를 포함하는 것이다(Grootaert, 1998).

상보성과 대체(substitution)의 역동성에 대해 검증한 Narayan(1999)은 사 회적 자본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국가를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 하여, 개인과 집단을 이어주는 시민 참여뿐만 아니라 국가의 효율성에도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Colleta & Cullen, 2000).

Woolcock(1998)은 사회적 자본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하면서 4차원 구 조를 제시하였다. 이는 수평적 연합의 정도, 지역사회 내에 존재하는 사회 적 유대의 특성, 시민사회와 국가의 관계가 갖는 특성, 행정 제도의 질 등 을 의미한다. 이러한 4차원 구조에 기초하여 Woolcock(1999)은 사회적 자 본을 집단 행동을 촉진하는 규범과 네트워크로 파악하고, 세 가지 개념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가장 전형적 유형인 ‘결속’(bonding)은 가족 구성원 과 인종 집단 간의 관계를 뜻하며, ‘연결’(bridging)은 친구나 동료들과의 관계, ‘연계’(linking)는 서로 다른 권력, 사회 계층, 부를 소유한 집단 간의 관계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사회학, 인류학, 정치학, 경제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쳐 제기된 사 회적 자본 논의에 있어서 관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되는 합의점은

‘사회적 자본은 관계적(relational)이다’는 것이다. 즉, 사회적 자본은 인간 간의 관계가 중심이 되는 자원이라는 점에서 광범위한 공감을 얻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개념 정의에서는 네트워크에서의 멤버십과 집단 구성원들 의 상호작용을 관장하는 규범에 초점을 두고 있다. 결국 사회적 자본은 지식의 축적과 신뢰의 형성을 통해 호혜성과 협동을 촉진시킴으로써 경제

저 자 사회 자본의 정의들

저 자 사회 자본의 정의들

Loury(1992

사람들 사이에 사회적 관계를 자연스럽게 발생시키거나 시 장(marketplace)에서의 중요한 기술과 특성의 습득을 돕는 ...

사회적 불평등을 지속시키는 원인인 재정적인 유산만큼 중 요한 하나의 자산

Schiff(1992) 일련의 사회구조적 요소들로써 인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생산 및 효용 기능을 위한 투입요인이나 전제들

Woolcock(1998) 한 사람의 사회적 네트워크 안에 포함되어 있는 상호 관계 의 정보, 신뢰, 규범들

자료 : Adler, & Kwon.(2000).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사회적 자본은 개인과 집 단의 행동을 촉진시키는 관계 구조, 네트워크, 상호 호혜적 규범, 신뢰 등 을 의미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홍영란 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