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도 차례

1. 식품산업의 생산성

1.1. 분석방법 및 이용자료 1. 생산성 지표

생산성 분석방법에는 단일요소 생산성과 다요소 생산성이 있다. 이 연구 에서는 단일요소 생산성 지표로 노동생산성, 자본생산성, 자본장비율을 사용하였다. 노동생산성은 종사자 1인당 산출량을 의미하며, 산출량으로는 실질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한다. 자본생산성은 생산에 투입된 자본 한 단 위당 산출량으로 측정되며 ‘자본의 수익률’로도 해석될 수 있다. 자본장비 율은 종사자 1인당 자본량을 의미하며 이는 노동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 을 주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 다요소 생산성 지표로 총요소생산성(TFP: total factor productivity)을 활용하였으며, 이는 생산함수에 포함된 모든 생산요소를 동시에 고려하는 생산성 지표이다. 생산요소들의 소득분배율을 가중치로 하여 생산요소 투입규모를 단일지표로 구성하고 산출액 지표로 나누어 계 산된다. 즉,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율은 ‘산출량 증가율 중 생산 투입요소의 증가로 설명되지 않는 모든 요인들의 효과’를 의미하며, 여기에는 생산 기 술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총요소생산성 추정에

이용되는 방법은 성장회계방식과 다변지수방식이 있다.

1.1.2. 총요소생산성 - 성장회계방식

산출량 증가를 개별 생산요소의 투입규모 및 총요소생산성 증가에 의한 부분으로 분해하여 산출한다. 산출량은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계산되었으 며,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율은 산출량 증가율에서 개별 생산요소의 투입규 모 증가율을 감하여 추정한다. 이때 개별 생산요소의 투입규모는 2000년 기준 실질 수치로 산출한다.

성장회계방식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한다.

  ln     ln      ln      ln   

: 평균 자본 분배율 : 평균 노동 분배율

ln    :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ln    : 산출 증가율

ln    : 자본 투입 증가율 ln    : 노동 투입 증가율

1.1.3. 총요소생산성 - 다변지수방식

다변지수방식을 이용한 총요소생산성은 연도별로 ‘가상의 평균적인’ 사 업체를 상정하고 이들을 통하여 사업체 간 및 사업체 집단 간 총요소생산 성 비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식이다. 시점 의 사업체 와 시점 의 사업체  간의 총요소생산성 비교는 각 시점에서의 평균적인 사업체의 총 요소생산성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도별로 ‘가상의 평균적 인’ 사업체를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가상의 평 균적인’ 사업체란 동일 시점 내 모든 사업체들의 소득분배율의 산술평균을

ln



 ln

 ln

 

축물, 기계장비, 운반구만을 생산과정에 투입된 유형고정자산으로 고려하 였으며 기계장비에 공구기구 비품을 포함시켰다. 자본스톡의 규모는 연초 잔액과 연말 잔액의 단순평균을 사용하였다. 1985~1989년의 경우 연초 잔 액이 조사항목에 포함되지 않아 ‘연초 잔액 = 연말 잔액 - 연간 증가액 + 연간 감소액 + 감가상각액’ 식을 이용하여 연초 잔액을 추정하였다. 국민 계정의 자본재 형태별 고정자본형성 통계를 이용하여 계산한 2000년 기준 의 디플레이터를 이용하여 명목 자본스톡에서 실질 자본스톡으로 변환하 였다.

중간투입액은 광업·제조업 조사의 ‘직접생산비 합계’ 항목을 사용하였 다. 국민계정에는 명목 및 실질 총산출액과 국내 총생산이 포함되어 있다.

국민계정의 중간투입액은 각각 총산출액에서 국내 총생산을 차감하여 계 산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2000년 기준 중간투입 디플레이터를 계산하였 다. 실질 중간투입액은 계산된 중간투입 디플레이터와 직접 생산비를 곱하 여 변환하였다.

명목 부가가치는 광업·제조업 조사의 생산액에서 직접 생산비 합계를 차감하여 계산되었고, 실질 부가가치는 실질 생산액에서 실질 중간투입액 을 차감하여 계산되었다.

총요소생산성을 추산하기 위해서는 소득분배율이 필요하다. 성장회계방 식을 이용한 총요소생산성은 부가가치 기준으로 계산되었으며, 노동의 소 득분배율은 총부가가치에서 연간급여액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자본의 소 득분배율은 1에서 노동 소득분배율이 차감하여 계산되었다. 다변지수방식 을 이용한 총요소생산성은 생산액을 기준으로 계산되었으며, 노동의 소득 분배율은 생산액에서 연간급여액이 차지하는 비중, 중간투입 소득분배율 은 생산액에서 직접생산비가 차지하는 비중, 자본의 소득분배율은 1에서 노동 및 중간투입 소득분배율을 차감하여 계산되었다. 이때 소득분배율은 명목변수를 이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