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보건복지통계포털 사이트 평가

제2절 조사결과분석

3. 보건복지통계포털 사이트 평가

가. 보건복지통계포털 사이트 전반에 대한 평가

「보건복지통계」포털 전반에 대한 사이트 평가는 총 11문항으로 구성 하였으며, 분류의 기준은 권위성, 시의성, 충분성, 최신성, 신뢰성, 접속 속도, 편의성, 정확성, 디자인적절성, 이해 용이성, 항해 용이성으로 구분 하였다. 평가는 ‘매우 그렇다’,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 다’ 등 4점 척도로 이루어졌다.

포털사이트에 대한 평가 결과 <표 4-12>와 같이 분석되었는데, 각 문

문항 내용 만족도

2012 2013

권위성 제공하는 통계정보가 보건․복지에 대한 이해를

돕는 창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3.34±0.55 3.25±0.50 시의성 최신통계 업데이트 수준이 높다 3.15±0.68 3.13±0.64 충분성 자료의 주제별 구성이 다양하다 3.12±0.67 3.06±0.67 최신성 제공하는 정보의 양은 적절하다 3.07±0.67 3.03±0.64 신뢰성 제공하는 통계 정보는 신뢰할만하다 3.26±0.64 3.23±0.62 접속속도 포털의 접속속도에 만족한다 3.07±0.72 3.06±0.72 편의성 포털에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3.00±0.71 2.99±0.69 정확성 처음에 입력한 키워드로 만족할 만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다 3.00±0.78 2.96±0.68 디자인

적절성 포털의 디자인은 적절하다 3.04±0.67 3.02±0.66 이해

용이성 포털의 메뉴(디렉토리)용어가 이해하기 쉽다 2.97±0.68 3.02±0.68 항해

용이성

포털 내 이용자의 위치가 어느 단계에 있는지

명확하게 파악된다 3.00±0.71 2.95±0.68

항에 대한 응답 결과는 보건복지통계 포털에 대한 권위성이 3.25점으로 전년과 동일하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신뢰성이 3.23점, 시의성 3.13점, 충분성 3.06점 접속속도 3.06점 등의 순위로 나 타났다(표 4-12, 그림 4-2 참조).

〈표 4-12〉 2012년 및 2013년 「보건복지통계」 사이트에 대한 평가

〔그림 4-3〕을 보면 사이트 평가지표 중에서 이해용이성(포털의 메뉴나 디렉토리 용어가 이해하기 쉽다)지표만 전년대비 점수가 높아졌다. 반면 에 사이트 평가지표 중에서 권위성(제공하는 통계 정보가 보건․복지에 대 한 이해를 돕는 창구로서의 역할을 한다)은 2012년과 비교하여 다른 측 정지표에 비해 가장 많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항해용이성(포털 내 이용자의 위치가 어느 단계에 있는지 명확하게 파악된다)이나 충분성 (자료의 주제별 구성이 다양하다) 등의 지표도 전년과 비교했을 때 다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4-3 참조).

항목 구분 권위성 시의성 충분성 최신성

항목 구분

신뢰성 접속속도 편의성 정확성

평균 P-value 평균 P-value 평균 P-value 평균 P-value

성별 남자 3.2

평균 P-value 평균 P-value 평균 P-value

성별 남자 3.0

항목 구분 디자인 적절성 이해 용이성 항해 용이성 평균 P-value 평균 P-value 평균 P-value

학력

항목 구분 상호 운영성 만족도

평균 P-value 평균 P-value

성별 남자 3.0

통계포털 사이트의 상호운영성과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응답

1순위 2순위 3순위

복지지원(27.8) 보육아동(16.0) 사회보험(11.9)

보육아동(11.8) 사회보험(12.5) 국민건강(10.2)

사회보험(10.2) 여성가족(10.1) 보육아동( 9.9)

기초생활보장( 7.6) 기초생활보장( 9.7) 복지지원( 9.1) 여성가족( 7.3) 복지지원( 8.6) 기초생활보장( 8.7)

청소년( 6.7) 노인( 7.7) 복지재정( 7.1)

복지재정( 5.8) 국민건강( 7.7) 장애인( 6.5)

국민건강( 5.6) 복지재정( 6.2) 노인( 6.3)

장애인( 4.3) 청소년( 5.6) 청소년( 5.1)

노인( 4.0) 장애인( 4.5) 보건자원( 5.0)

총인구( 2.5) 인구동태( 2.9) 보건의료비( 4.1)

보건의료비( 2.1) 보건자원( 2.6) 빈곤( 3.9)

인구동태( 2.0) 빈곤( 1.9) 여성가족( 3.6)

빈곤( 1.2) 보건의료비( 1.9) 인구동태( 3.0)

보건자원( 0.6) 총인구( 1.6) 보건환경( 2.7)

보건환경( 0.4) 보건환경( 0.6) 총인구( 2.1)

금, 공공연금, 기초노령연금, 노인장기요양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등)가 10.2%, 기초생활보장(공공부조, 기초생활보장, 의료급여, 자활) 7.6%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역 구분이 2012년과 2013년이 동일하지 않아 2012년과 단순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2012년 도 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1순위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한 순서대로 국민건 강(33.6%), 인구(23.0%), 사회복지서비스(15.5%), 보건의료인력 및 시설 (11.1%)과 비교하면 중요도의 순위가 완전히 바뀐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표 4-18〉 응답자가 생각하는 보건복지통계 영역별 중요도

다. 콘텐츠의 평가

위에서 살펴본 통계포털 사이트의 평가 측정지표의 충분성은 3.16점 으로 전체 응답자의 82.3%가 ‘그렇다’이상이라고 대답하였다(표 4-11

순위 콘텐츠 응답자 수(%)

1위 복지통계 217(12.5)

2위 정보마당 216(12.5)

3위 지역통계 192(11.1)

4위 보건복지동향 184(10.6)

5위 이용자마당 154( 8.9)

6위 복지재정통계 151( 8.7)

7위 빈곤통계 137( 7.9)

8위 조사통계 105( 6.1)

9위 웹진서비스 101( 5.8)

10위 국제통계 95( 5.5)

11위 북한통계 70( 4.0)

12위 비정형통계 54( 3.1)

13위 마이페이지 30( 1.7)

14위 보건통계 12( 0.7)

15위 마이크로데이터 12( 0.7)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건복지통계포털이 서비스하고 있는 콘텐츠 에 있어서 현재보다 강화되어야 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조사한 결과, <표 4-18>과 같이 분석되었다. 가장 강화되어야 한다는 통계는 복지통계 (12.5%)와 정보마당(12.5%)이다. 여기서 정보마당 메뉴 안에는 보건복 지통계뉴스와 국내외통계자료, 통계용어 등이 포함되었다. 그 다음은 지 역통계(11.1%)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고, 보건복지동향 (10.6%), 이용자마당(8.9%), 복지재정통계(8.7%) 빈곤통계(7.9%) 등의 영역에서도 강화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응답자들이 가장 많이 이 용한 경험이 있는 보건통계(0.7%)에 대해서는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작았다(표 4-19 참조).

〈표 4-19〉 「보건복지통계」 포털의 통계나 서비스 강화가 필요한 영역 순위

(단위: 명, %)

개선사항 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