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앞서 제시된 연구주제와 가설의 검증을 위해 연구모형에 적합한 변 수의 개념적 정의와 측정도구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실증 자료의 취합 및 통계적 분석과정을 진행하였다.

연구모형에 포함된 각각의 변수들의 측정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타당성과 신뢰 성이 입증된 문항에 대한 측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활용하였다.

1.1. 지식숨김행동

지식 숨김 행동을 개념과 측정도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대표적 연구인 Connelly et al.(2012)의 연구에서 지식숨김행동은 “다른 구성원에게 필요한 지식 을 의도적으로 숨기거나 전달하지 않으려는 의도적인 행동(an intentional attempt by an individual to withhold or conceal knowledge that has been requested by another person)”으로 정의되고 있고,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개념 적 정의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 숨김 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 또한 Connelly et al.(2012) 의 연구에서 제시된 12개의 설문문항을 활용하였는데, 해당 연구에서 지식 숨김 행동은 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된다. 모르는 척 하기(playing dumb), 회피적 숨 김(evasive hiding), 합리화된 숨김(rationalized hiding). 모르는 척 하기는 다른 구성원에게 지식을 요청받는 경우 해당 지식에 대하여 의도적으로 모르는 척하 는 행동을 나타내는 것이며, 회피적 숨김은 지식 제공자가 의도적으로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잘못된 결과를 나타낼 수도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합리화된 숨김은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 경우 해당 정보를 기밀 등의 이유로 제공이 불가능하다고 밝히거나, 이러한 상사 또는 다른 조직으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정보 제공이 어렵다고 이야기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앞서의 2가지 하위 요인은 지식의 숨김 행동 자체에 명백히 기만의 의도가 포함되게 되며, 마 지막 합리화된 숨김의 경우 실제로 지식을 공유하기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여 기

만의 의도가 없어도 지식을 공유하지 못하는 경우도 포함하고 있다.

12개의 설문문항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국내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측정도구 가 아니기에 원문과 한글번역을 동시에 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측정문 항은 모두 Likert-type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측정되었다.

<표 III-1> 지식 숨김 행동의 측정문항

측정 문항 측정 문항 원문 요인 연구자

나는 동료가 요청한 지식과

정보에 대해 알려주겠다고 했지만, 진정으로 그럴 의도는 없었다

I agreed to help him/her but never really intended to

회피적 숨김 (evasive hiding)

Connelly et al.

(2012)

나는 동료가 요청한 지식과

정보에 대해 알려주겠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다른 정보를 주었다

I agreed to help him/her but instead gave him/her information different from what s/he wanted

나는 동료의 정보 요청에

알겠다고 답했으나 도움을 최대한 지연시켰다

I told him/her that I would help him/her out later but stalled as much as possible 나는 동료가 요청한 지식과 정보

대신 다른 정보를 제공하였다.

I offered him/her some other information instead of what he/she really wanted

나는 동료가 요청한 지식과

정보에 대해 모르는 척을 하였다 I pretended that I did not know the infrormation

모르는 척 하기 (playing dumb) 나는 사실은 알고 있는 정보에

대해 '잘 모르겠다'는 대답을 하였다.

I said that I did now know, even though I did

나는 동료가 궁금한 지식이나 정보에 대해 말을 꺼냈을 때, 무슨 말인지 이해 못하는 척을 하였다

Pretended I did now know what s/he was talking about

나는 동료가 요청하는 자료에 대해 아는 바가 별로 없다고 말하였다

I said that i was not very knoledgeable about the topic 나는 정보를 제공하고 싶지만,

상황상 그럴 수가 없다고

설명하였다

I explained that I would like to tell him/her, but was not supposed to

합리화된 숨김 (rationalize d hiding) 나는 동료가 필요로 하는 정보에

대해, 기밀유지 문제로 일부

소수에게만 공개될 밖에

없다고 설명하였다

I explained that the information is confidential and only available to people on a particular project 나는 상사의 지시로 인해 정보를

공유할 수 없다고 말하였다

I told him/her that my boss would not let anyone share this knowledge

나는 동료의 요청에 대해

대답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I said that I would not answer his/her questions

1.2. 포용적리더십

포용적리더십은 리더가 구성원들과 장벽 없이 소통하기 위해 개방적으로 행동 하면서 리더에 대한 접근가능성을 높이는 행동(involving modeling openness and providing accessibility in interactions with followers)으로 정의하였다 (Nembhard & Edmondson, 2006).

포용적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Carmeli et al.(2010)에서 개발된 9개의 측 정문항을 활용하였으며, 해당 측정 도구는 차동옥 등(2013)의 연구 등 국내에서 이미 널리 활용되면서 우리나라의 맥락적 상황에 대하 검토가 충분히 이루어졌 으며, 측정도구의 번역에 따른 오류도 최소화되어 있어 별도의 번역 없이 이를 활용하였다.

<표 III-2> 포용적리더십의 측정문항

측정 문항 요인 연구자

나의 상사는 새로운 아이디어에 개방적이다.

단일 요인

Carmeli et al.(2010)

차동옥 등 (2013) 나의 상사는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한다.

나의 상사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항상 추구한다.

나의 상사는 문제가 발생할 때 언제나 의견을 구할 수 있다.

나의 상사는 팀원들과 언제나 함께 있는 사람이다.

나의 상사는 내가 상의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답변을 해줄 수 있다.

나의 상사는 나의 요청에 귀 기울일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이다.

나의 상사는 문제가 발생하면 언제든지 찾아오라고 나에게 말한다.

나의 상사는 문제에 대해 논의 할 수 있을 만큼 포용적이다.

1.3. 조직정치지각

본 연구에서 조직정치지각은 조직구성원이 그들의 직무환경에 조직의 정치적 관계가 연계되고, 이에 따라 불공정한 상황이 발생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 (Vigoda-Gadot& Talmud, 2010)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조직정치지각의 개념은 조직정치에 대한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 중 최근 조직 행동론 분야에서 주 로 다루어지고 있는 미시적 관점을 적용하였다.

조직정치지각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로는 Kacmar & Carlson(1997)의 연구에서 제시한 조직정치지각 측정도구 중 ‘일반적 정치인식’에 포함되는 9개 항목을 활용하였다. 해당 연구는 박지원(2013)의 연구 등을 통해 번안되고 국내 연구 환경에서 타당성을 검증받은 측정 문항을 활용하였다.

<표 III-3> 조직정치지각의 측정문항

측정 문항 요인 연구자

우리 조직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을 깎아내려서 자기들을 높이려고 한다.

단일 요인 (일반적 정치 인식)

Kacmar &

Carlson(1997) 박지원(2013) 우리 조직에는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유력한 집단이 있다.

우리 조직은 이미 결정된 일에 대해서는 문제제기하지 않는 분위기다.

우리 조직은 예스맨이 출세하는 분위기다.

우리 조직에서는 힘 있는 사람에게 동조하는 것이 좋은 처세술이다.

우리 조직에서는 괜한 분란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우리 조직에서는 시스템에 반발하기보다 가만히 있는 것이 좋다.

우리 조직에서는 진실보다 듣기 좋은 말을 하는 것이 더 좋다.

우리 조직에서는 자기 의견을 말하기보다는 시키는 대로 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1.4. 팀몰입

본 연구에서 팀 몰입은 -개인이 팀의 가치와 목표에 대해 강한 신뢰와 수용, 팀을 위해서 열심히 일을 하고자 하는 의지, 팀에 소속되고자 하는 욕구(Bishop

& Scott, 2000)로 정의된다. 팀 몰입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문항은 Bishop &

Scott(2000)의 연구에서 제시된 7문항을 활용하였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팀 몰입 에 대한 측정문항은 국내 연구에서 다수 활용되면서 타당성을 검토해왔기에 별 도의 원문에 대한 번역을 수행하지 않고 활용하였다.

<표 III-4> 팀몰입의 측정문항

1.5. 친사회적동기

친사회적동기는 Batson(1987)의 초기 연구에서 타인을 위해서 추가적인 노력을 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정의되었고, 이후 Grant(2008)의 연구에서는 타인의 이익 을 추구하고자 하는 바람으로 정의되었다. 두 연구의 개념정의가 표현상의 차이 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 개념을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정의를 본 연구에서도 활용하였다.

친사회적동기의 측정을 위해서는 Rioux & Penner(2001)의 연구에서 개발한 척

측정 문항 요인 연구자

내가 속한 팀에 도움이 된다면 나는 부가적인 업무를 할 준비가 되어 있다.

단일 요인 Bishop & Scott (2000)

나는 팀 동료들과 함께 있을 때 편안함을 느낌다.

나는 내가 속한 팀의 분위기를 좋게 만들기 위하여 노력한다.

나는 조직에서 팀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내 자신을 몰두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팀 내의 비공식적 모임에서 나는 주최자를 돕고자 한다.

내가 속한 팀이 내게 중요하다.

나는 우리 팀의 성공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도를 변국도(2008)의 연구에서 번안하여 사용한 10개의 문항을 활용하였다.

<표 III-5> 친사회적동기의 측정문항

1.6. 심리적경쟁분위기

본 연구에서 조절변수로 활용되는 심리적경쟁분위기는 구성원 개인의 보상수 준이 다른 구성원과의 비교를 통해 결정된다는 인식 수준으로 정의된다(Brown, Cron, & Slocum, 1998). 심리적경쟁분위기의 측정을 위하여 보다 최근 연구에서 활용된 측정도구를 검토하였으며, Fletcher et al.(2008)이 개발한 4개 측정 문항 을 활용하였다. 본 측정도구는 국내 연구에서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기에 원문과 번안문을 같이 제시하고 있다.

측정 문항 요인 연구자

나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돕는 것은 중요하다고 느낀다.

단일 요인

Rioux & Penner (2001)

변국도(2008) 나는 다른 사람에게 예의 바른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나는 다른 사람의 감정에 대해서 고려를 많이 한다.

나는 내가 할수만 있다면 동료들을 도와주고 싶어한다.

나에게 있어서 도움을 준다는 것은 쉬운일이다.

나는 동료들과 교류하는 것을 좋아한다.

나는 동료들과 재미있게 지내는 것을 좋아한다.

나는 내 동료에 대해서 더 잘 알고 싶어 한다.

나는 다른 사람과 친하게 지내고 싶어 한다.

나는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편이다.

<표 III-6> 심리적경쟁분위기의 측정문항

1.7. 통제변수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통해 일반적으로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수행과 태 도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 통계적 변수들과 소속된 조직의 특성을 통 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응답자의 성별과 연령, 직급, 담당직군, 조직 규모, 재직기 간을 통제변수에 포함시켰다. 그리고 상사와 부하 간의 사회적 맥락을 인식하고 관계 형성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현재 조직에서의 근무기간을 최소 3개월 이상인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