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박물관은 그 동안 수행해온 전통 적인 수집, 보관, 연구, 전시 등 여러 기능 등을 컴퓨터 기술 등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정리하여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 익적인 복합문화 공간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또한 컴퓨터 통신이라는 새로 운 매체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정보화 시대의 정보는 21세기를 살아가는 지금 그 어느 때 보다도 그 중요성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사회·문화 전 반에 걸쳐 그 파급 효과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의 발달

은 1960년대 이후로 정보를 관리하고 보급하는데 있어서 박물관으로 하여 금 한 조직으로써 더욱 효율적이 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동시에 컴퓨터 이용의 증대는 정보 표준화의 필요를 가속시켰다.

소장품의 정보화는 박물관의 자료를 근거로 실증적으로 구축된 시스템으로 뮤지엄문헌화시스템(Museum documentation system, MDS)25) 이라고 한 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자료를 수집하고 처리, 축적, 검색, 제공 등 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기계화하게 되었다. 그 결과 모든 자료를 보다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는 시대가 되면서 MDS는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26)

이러한 정보화의 목적은 대내적으로는 박물관이 수장하고 있는 자료를 체 계적으로 정리하여 박물관의 활동을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운용하는 데 있으며, 나아가서는 박물관의 전시,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향상시 키고, 성격 있는 박물관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대외적으로는 일반 대중들 이 검색 컴퓨터를 통하여 질적·양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인터 넷을 통해서 박물관이나 관련 기관 상호간에 이러한 정보를 교류·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소장품 정보는 그 원천이 소장품 자체에 있다고 할지라도 단지 소장품만 가지고는 그 정보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미흡한 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25) 경영정보시스템(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MIS)을 박물관/미술관에 적용시킨 것으로 박물관/미술관 경영정보시스템(Museu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MIMIS)을 크게 운영 업무를 위한 시스템(전시활동)과 경영 관리자를 위한 시스템(관리업무·의사결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26) 이영두, 뮤지업의 변천 기능과 현대적 기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99

소장품 정보화에는 소장품 이외에 여러 가지 형태의 자료가 필요하다. 이렇 듯 소장품에 대한 가장 바람직한 정보 서비스를 위해서는 소장품 자체를 가 장 원형에 가깝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처리 장치와 접목이 이루어 져야 하 며,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소장품 도큐멘테이션 과 화상정보 처리를 위한 새로운 기법을 연계 시켜 다양한 소장품 정보에 대한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다원적으로 충족 시킬 수 있는 화상 정보 데이 터베이스의 구축이 시급하다. 이 문제의 해결은 우선적으로 박물관의 도큐 멘테이션 활동과 소장품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최적의 데이터 요소 를 규명하여, 화상 정보 데이터 구축에 필요한 데이터 요소의 적정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선결 과제이다.27)우리나라 국립박물관의 경우 그 동안 수행 해 왔던 정보화는 소장품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이 중심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어느 정도 데이터베이스가 완성된 상태이므로 박물관 정보화 사업은 기반조성 단계에서 활용 단계로 한단계 도약할 수 있게 되었다.

27) Robert G, Chenhall, Museum Cataloging in the computer Age, Nashville, American Association for State and Local History, 1975, p 96.

<표10>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28)

박물관은 정보화를 박물관과 문화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매체로 활용 할 뿐만 아니라 온라인 상에서 양질의 문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정보·문 화의 수준을 높이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