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역사적으로 고대부터 중세를 거쳐 르네상스에 이르기 까지 인류는 여러 가지 형태의 박물관·미술관적인 기능을 수행해 오다가 근대에 이르러 프랑 스 혁명 이후 박물관은 일반 대중에서 공개되면서 귀중한 문화예술을 보여 주는 문화공간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근대적 개념의 박물관은 17세기 유럽에서 발전되었으며, 영국에서 ‘박물 관(museum)’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1682년이었는데 엘리아스 에쉬 몰(Elias Ashmole)이 트라데산트(Tradescant)의 수집품과 자신의 수집품을 옥스 퍼드 대학에 기증하면서 박물관이 형성되었고 이곳의 소장품을 일컫기 위해

‘박물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4)

공공 박물관의 발전은 유럽과 미국에서 다소 상이한 양상으로 발전하였다.

유럽의 경우는 개인의 소장품이 국가나 공공기관에 기증되면서 국가의 지원 과 중앙집권 방식의 통제 하에 박물관이 설립되었다. 예를 들어 프랑스의 경우, 대부분의 박물관들이 혁명 정부의 관습을 답습하고 중앙 집권적 정치 구조 속에서 설립 목적부터 관리상 세세한 원칙들까지 국가의 정책과 동일 선상에서 이루어졌다. 반면에 미국의 경우는 민간차원에서 미술품 애호가들 이나 개인 법인에 의해 박물관이 설립되었으며, 설립 초기부터 일반 대중에 게 봉사한다는 설립취지를 명시화 함으로써 소장품의 증가와 대중적인 접근 이 동시에 균형 있게 발전하였다.

4) 이보아, 박물관학 개론, 김영사, 2000, P 43

19세기에 박물관 활동의 가장 혁신적인 변화는 전문 박물관의 형성을 들 수 있다. 19세기 이전의 박물관은 대부분 종합 박물관의 성격을 띠고 있었으 나 19세기 이후 과학의 진보에 따른 수집품의 증대와 분류·정리가 이루어지 면서, 과학 박물관과 같은 전문 박물관이 설립되었다.

현대에 접어들면서 박물관은 소장품의 수집, 보관, 전시라는 전통적인 개념 에서 더 나아가 대중을 위한 교육이 더욱 강조되면서 일반 대중과의 효과적 인 커뮤니케이션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오늘날에는 평생 교육·

사회 교육이 강조되면서 박물관은 다양한 가치관을 추구하는 다원화된 현대 사회의 분절된 사회·문화구조를 통합하는 중요한 매개 기능으로 그만큼 교 육의 기능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현대의 박물관은 21세기 지식 정보사회를 이끄는 정보 시대·문화 시대를 맞이하여 현대적 기능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 해가고 있다. 오늘날과 같은 정보 시대에 접어들면서 박물관은 그 동안 수행해온 전통적인 수집, 보관, 전시, 연구 등 여러 가지 기능들을 컴퓨터 기술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정리하고 종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다 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익적인 복합문화 공간으로 발전해가고 있는 추세이 다.

위와 같이 박물관은 그 시설 자체가 원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임 을 알 수 있다. 그 정보의 원천이 바로 ‘박물관의 자료’ 이고 그 자료를 어 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정보의 양과 질이 결정된다5).

5) 황동열, 21세기 한국박물관 발전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연구, 21세기 한국 박물 관의 비전, 한국박물관 건축협회, 1997

이는 박물관 자료가 수집되어 정리·보관되는 행위만으로는 별 의미가 없 으며 박물관의 중심적인 기능인 연구·전시라는 활동을 통하여 전달될 때 비 로소 의미를 갖게 된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한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은 그 동안 박물관이 수행해온 전통적 기능들을 체계적으로 정리·종합하여 항상 가치 있는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해준다. 이제 박물 관은 동시대의 이념, 문화, 예술, 교육의 현실과 상호 교류하는 소통의 공간 으로 임무와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표1>. 21세기 박물관의 가치지향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9

1970년대부터 박물관 개념의 변화로서 이제 현대의 박물관은 단순한 문 화, 예술자료의 저장 공간이 아닌 문화적 관심을 충족시키는 실습을 통한 학습, 교육을 위한 장소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현대 박물관의 시대적 변화

20세기형 박물관의 가치지향 21세기 박물관의 가치지향 보존 중심 보존과 활용의 조화

공급자(전문가) 중심 이용자(지역사회) 중심

표준화 특성화

오프라인 중심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결합 정부지원 중심 재원의 다양화와 경영 합리화 학예연구원 중심 박물관 전문인력과의 네트워크 중심

에 따른 기능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장자료의 수가 늘어나고, 이러한 자료를 수용할 수장 영역이 늘어 나 지속적인 전시가 아니더라도 연구가 가능하게 되며, 이렇게 소장된 자료 를 기획전시를 통해 전시하게 된다. 또한 박물관이 사회 교육기능의 인식으 로 이러한 기획전시를 통해 교육적인 효과를 높이는데 이용하게 된다. 즉, 상설 전시보다는 하나의 주제를 갖는 기획전시를 통해, 전시의 교육적 측면 이 더욱 강조될 수 있다.

또한 1970년대부터 의사소통의 기술은 박물관 전시 프로그램의 일부가 된다. 즉 박물관의 전시자료와 일반 대중과의 의사소통이 중요하게 나타나 며 대중들이 관람에 대한 거리감을 없애고 좀 더 친밀해 질 수 있는 방안이 고안된다. 즉, 비전문가인 일반인들이 쉽게 관람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cinema, video rooms, audio-visual rooms등의 박물관의 정보를 전달하는 새로운 기능들이 덧붙여진다.6)

마지막으로 일반인의 박물관 이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방문객 편의 시 설이 박물관 내에 위치함으로써, 반드시 관람을 위한 방문이 아니라 다른 편의 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방문도 배려한다. 또한 단체 관람객을 위한 공 간 구성도 필요하다.

한 나라의 문화예술 수준을 가늠하는 대표적 기준은 문화예술 공급자와 수요자가 만나는 박물관이 어떤 위치에서 어떻게 활동하는지에 따라 달려있

6) The Museums of the Last Generation, Josep M. Montaner New Museums, Josep M. Montaner

다. 우리나라의 경우 1909년 이왕가박물관이 일반인에게 공개되면서 시작 된 박물관 역사는 지난 세기동안 많은 성과와 발전이 있었다. 이제 우리나 라도 많은 박물관들이 설립되고 있으며 신설되는 박물관들은 이러한 현대적 기능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추세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박물관은 시간이 지나면서 거듭 변화하며 그 기 능 또한 다양해졌다. 또한 이러한 박물관의 기능 가운데 박물관의 소장품 관리 기능은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사안이므로 다음 본문에서는 박물 관의 소장품 관리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소장품 관리 역사와 소장품 관 리의 분류를 통하여 그 방법과 절차를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박물관들의 소 장품 관리 기능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