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 국내 사례

국내 박물관의 소장품 정보화 작업은 1993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박물관 전산화를 위한 유물의 항목 분류와 코드 분류’의 기본안을 박물관 신문에 발표하고 그 필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후 1995년 국립중앙박 물관에서 유물관리 작업이 추진되고 1996년 통일된 전산화 방안이 필요하 게 되면서 한국문예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전국의 대학 박물관과 국립 박물 관 담당자, 전문가의 협력으로 유물분류 통일 방안이 1996년 출판되어 통 일된 유물분류 기준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국립중앙박물관의 박물관 종합정보 시스템 구축사업은 국내 박물관 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이의 정보화 추진 현황에 대해 살펴 보면 다음과 같 다.

(그림8). 통합DB Data Architecture

전시: 전시순위, 관련문헌, 크기, 현위치 등

연구: 전항목, 장르를 설정하여 일반 항목에서 분류되지 않은 특수항 목(기법, 형태, 장르별 유물의 종류나 주체, 상세 설명 등)

교육: 전항목, 특히 일반인들이 관심을 가지는 국보, 보물 등 문화재 지정 구분이나 지정 호수, 소장자, 제작 연도 등

② 분류 체계

(그림9). 항목별 분류체계

정보 검색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점이 필요하다. 또한 기초 데이터 항목이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세분화(자료정리, 검색, 입출력) 되어야 하며, 종합적인 항목과 특수항목, 코드검색, 비교항목으로 분류된다.

▪ 필수 항목

유물의 기본적인 내용으로 일반 박물관을 비롯하여 특수 박물관이나 소규 전체항목

전국박물관 공통항목

장르별항목

취사선택항목

필수항목 관리항목 이동항목

모 박물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항목이다.

<표12> 국내 유물데이터베이스의 필수항목

항목명 내 용

소장구분 유물의 소장기관이나 소장자, 유물번호와 함께primary key임.

유물번호 소장 구분에 종속된 각각의 구유 번호.

수량 유물의 수량. 1책12면 등 주수량과 부수량으로 구분됨.

수량단위 주수량, 부수량의 단위. 점, 책, 종 등10가지

명칭 색상, 명문, 재질, 기법, 문양, 부가물, 형태, 출토지, 소재 지 등

국적/시대 해당 유물이 제작된 시기. 국적, 국적별 시대, 상세연도 등3단계로 구분. 우리나라, 일본, 중국 3국만 국적별 시 대 구분.

작자/제작처 해당 유물의 작자/필자/제작처

재질 구성 재질, 복합적 재질인 경우 주재질과 부재질 모두 기 록.

용도・기능 취사, 건축물, 건축 부재, 가공, 생활도구 등

장르 유물의 비중, 학술적 특성, 관리체계를 고려한 유물의 그 룹.

문화재지정일자 국가지정 문화재로 등록된 날짜

문화재지정구분 유물의 국가지정문화재등록 여부와 그 구분. 국보, 보물

문화재지정호수 문화재지정구분과 같이 기록되는 지정번호

크기1(실측부위) 특정 장에 맞는 크기별 유물 선정시, 보관상자 크기에 맞 는 유물을 찾을 때 등에 필요함.

크기2(실측치) 단위:cm. 부위별로 실측한 실제 값

특징 균열, 파손, 부식, 변색, 퇴색 등 유물 상태와 특정적 내 용.

자료: 조현주. 문화유산 메타데이터 표준의 국내적용 연구.

▪ 관리항목

일반 박물관에서 활용하도록 포괄적으로 분류한 항목으로써 전시순위, 유 물상태, 입수연유 등 유물관리 차원에 필요한 항목과 출토지, 명문, 문양 등 특정 유물이나 특정 분야에 필요한 항목을 포함한다. 관리 항목은 일반적이 지는 않지만 분야별로 중요한 24개의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관리하는 기 관의 임의대로, 분야별 특수 유물만 소장하고 있는 박물관이나 소규모 관리 체계를 갖고 있는 박물관에서는 필수 항목만 사용한다.

▪ 이동항목

유물의 이동사항(유물의 현 위치 파악 및 이동 사항별 통계나 목록)작성 이 필요한 때와 보관 장소의 변경, 진열, 임시 이관, 대여, 해외전시 등의 이유로 유물이 이동될 때 필요한 항목이다. 항목으로는 이동 일자, 이동 수 량, 보관 구분, 보관처1, 보관처2 등이 있다.

▪ 장르별 항목

일반 항목에서 다루지 못한 필요 항목 및 세부 항목으로서 전문 학술 자

료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항목이다. 국립박물관 분류안으로는 도자기, 회화, 불상 등 12개 부분과 수정, 정리, 장르별 중요도가 높고 충실한 분류체계로 구성된 5개 장르에 60개 항목으로 결정된다.

▪ 코드화/비코드화

-코드화: 각 항목을 실질적인 내용대신, 간단하게 부호를 입력한다. 기초자 료를 서술 형식으로 정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내용의 생략이나 누락을 없 앨 수 있고, 잘 모르거나 애매한 내용을 보기에서 선택하게 함으로써 보다 확실한 데이터의 확보 기대가 가능하다. 또한 입력시간의 단축(타이핑 안함, 항목 선택)과 입력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비코드화: 실제적인 내용을 그대로 입력한다.

2) 시스템 개발 현황

국내의 국가적인 문화정보망 구축 문화예술정보화 전산화 관리 시스템을 통한 소장품 관리를 위한 노력의 시작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서도 Internet Homepage관리 시스템 개발 및 유물 관리 시스템, 국가 문화유산 종합정보 시스템 구축 사업 등이 추진 되었다. 1998년 정보화근로사업은 국내의 데 이터 시스템 기업이 사업자가 되어 추진한 정보통신부 지원 사업으로 공공 근로인력을 활용하여 지방9개 국립박물관 소장유물 자료를 정리, 사진 촬영 한 유물관리 프로그램과 텍스트 48,500건, 영상 48,500건의 데이터를 구 축하였다.

① Internet Homepage관리 시스템

1995년부터 2년 동안 인터넷 홈페이지 관리 시스템은 한국문화예술진흥 원과 한국컴퓨터 통신㈜이 사업자가 되어 진행되었다. 사업내용으로는 95초 고속 공공 응용서비스 개발 지원사업으로 개발한 전자 박물관 정보서비스와 박물관 관람 안내, 교육, 업무 현황 및 대표적인 소장 유물의 Text와 Image를 Multimedia정보로 가공하여 시범적으로 Internet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체제 구축 등이 있다. 가공 내용물 으로는 Text 870건, 영상 1,490 건, 동영상70건, 3차원30건 등이 있다.

② 유물관리 시스템

1998년 유물관리시스템의 도입으로 유물 표준화 체계는 Package Program이 개발되었고,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장유물 중 텍스트 130,000여 점, 영상자료 50,000여점을 입력하게 되었다. 또한 유물 카드, 유물대장, 각종 리스트가 출력 가능하게 되었고 명칭, 시대, 재질, 용도/기능, 출토지 등 다양한 항목의 연계검색이 가능하다. 유물관리시스템은 유물의 관리업무 및 학술 자료로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③ 국가문화유산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2000년도 문화관광부의 추진으로 문화재청,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 물관이 참여하였고, 현대정보㈜가 사업자로 선정되어 진행되었다.

-개발내용

국립중앙박물관에 전국박물관 통합관리시스템 도입

국립중앙박물관에 Center Server설치(전국 박물관의 Portal Gate역할) 이를 중심으로 지방 9개 국립박물관과 공,사립 대학 등의 25개 박물관을 연결하는net work구축.

표준유물관리시스템 구축, 전자 박물관 구축, 소장 유물정보DB구축(텍스트 15,000건, 영상정보 15,000건)

<표13> Database보유 현황

DB종류 용도 건수

소장유물 텍스트정보 유물관리, 대국민서비스 문화,교육 80,000건 소장유물 이미지 정보 유물관리, 대국민서비스 학술 자료 50,000건 박물관 신문 정보 대국민서비스 문화교육, 행정자료 345호 국립박물관 발간도서 정보 대국민서비스 문화교육, 학술자료 470여건

웹서비스 관련정보 대국민서비스 500여건

전시안내Multimedia정보 대국민서비스, 전시안내 15GB 전국박물관 종합안내 정보 대국민서비스, 전시안내 750MB

또한 고품질Multimedia DB구축과 박물관 지식관리시스템(KMS)개발, 전 시기획을 위한3차원 Simulation개발 등의 사업이 추진되었다. 이러한 국립 중앙박물관의 정보화 추진 사업 내용과 부분을 살펴보면 다음의 <표14>와

같다.

<표14> 추진사업부문

부문 내용

정보가공 유물정보: 14,000점 전문 학술 정보

시스템 개발

전자작물관 홈페이지 제작 전시장 파노라마 구현

3차원 가상전시계획Simulation개발 박물관 지식정보관리시스템 개발 홍보용 및 유물 주제별CD제작 시스템 도입 서비스 시스템

자료처리 시스템

④ 기대효과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러한 국립중앙박물관의 종합정보시스템구축 사 업은 박물관 측면에서 볼 때 유물자료 컨텐츠화를 통하여 국내 정보화산업 의 컨텐츠 기술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관련 산업 및 학 계의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유물정보의 글로벌화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응 할 수 있다. 또한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통하여 국내외의 유물 정보 및 컨 텐츠의 종합적인 정보 제공원으로 정보의 선진화 구현과 정보 선진국의 첨 병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밖에도 유물 자료의 효과적인 보존과 정보화 뿐만 아니라 업무의 효율화와 통합 관리, 그리고 박물관 이미지를 개선함으 로써 일반인들에게 쉽게 다가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반 사용자들은 시

간적, 공간적 제한 없이 유물관련 총체적 정보를 신속하고 손쉽게 이용 가 능하고, 이용자 요구 중심의 서비스에 따른 편리성과 문화산업의 사이버 교 육, 관련산업・학계의 체계적인 기초자료와 정보 이용을 위한 기반이 된다.

제 4 장. 박물관 운영에 대한 고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