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보통신의 발달로 박물관 수장품의 인터넷상에서 공개움직임이 활발해지 고 소장품 관리의 시스템화가 추진되고 있다. 영국의 The Museum Documentation Association의 소장품 관리를 위한 시스템 개발 및 일본의 문화청이 추진하는 ‘문화재 정보시스템/미술관 정보시스템’ 활용이 이에 해 당한다. 이는 동일한 정보시스템으로 전국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문화재

28) 한국문화정책개발원, 국립지방박물관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1999

■ 세부전략

► 정보화를 박물관과 전통 문화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하는 계기로 활용.

► 온라인 상에서 공공적 성격을 갖는 문화콘텐츠 부족 문제를 개선하는 데 기여.

► 온라인을 통한 한민족 공동체 문헌 구현과 우리 문화의 세계화.

■ 주요사업

► 소장품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정보수준 제고.

► 가상 전시실 운영(cyber gallery)운영

► 비매품 교육자료 및 조사보고서의 온라인 보급.

► 인터넷을 통한 유물촬영 · 복제 · 열람 신청 절차의 간소화.

및 미술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 가능하고, 정보차원에서 통일된 시스템 활용 으로 소장품 관리를 일반화 시켰다.

이장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국외 박물관들의 정보화에 따른 소장품 관 리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영국, 미국, 일본의 사례를 통하여 다룬다.

이번 사례조사를 통하여 소장품 관리에 대한 영국 The Museum Documentation(이하MDA로 칭함)의 활동과 미국의 GRIPHOS, 그리고 일 본 문화청의 ‘문화재 정보 시스템/미술관 정보 시스템’의 내용을 알아보고, 아울러 일본 자국 내 기업이 개발하여 박물관 및 미술관에서 활용되고 있는 소장품 관리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았다.

(1) 영국

영국의 소장품 관리 시스템인 MDA는 영국 박물관의 Documentation의 중요성을 알리고 그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1977년에 설립되었으며, 영국 박 물관 미술관 위원회(Museums and Galleries Commission, 이하 MGC로 칭함)의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는 정부산하 비영리법인이다.

1978년 뮤지엄기록협회(MDA)가 뮤지엄의 복합적 기록 등을 처리하기 위 하여, 또한 뮤지엄협회가 양식화한 데이터 표준에 부합하기 위하여 GOS프 로그램을 개발하였다. GOS프로그램은 소장품을 운영하기 위한 정보화 구조 와 뮤지엄문헌절차(documentation procedure)를 개발한다는 취지를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정보의 구조와 절차라는 개념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에 있어 혁신적이었다

.

29) 1991년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행정서비스를 감 시하고, 국민세금의 효율적인 사용 여부를 확인, 감사하던 감사위원회가 공 립박물관/미술관의 활동에 관한 보고서 내용에서, 많은 공립 박물관의 미등 록 자료 서류를 지적하고 영국 박물관의 소장품 관리와 이에 대한 비용 내 역을 공개하고, 각 박물관과 관련이 없는 자료 및 Document가 없는 자료 는 타 기관에 양도 및 처분할 것을 촉구하였다. 문화/예술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줄게 되면 세금의 사용 내역에 대한 감시는 강화되 기 마련이며, 박물관과 같은 공익 시설은 박물관내의 모든 활동에 대한 문 제가 거론되고, 소장품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1988년에 도입된MGC가 인정한 박물관 등록 제도도 상기의 맥락에서 정 비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등록 제도는 박물관 기준을 명확히 하고, 영국 박물관의 수준 향상을 위해 실시되었으며, 1994년 말에는 약 1600개의 박 물관이 등록 인정을 받게 되었다. 등록에 따른 메리트는 MGC 및 Area Museum Council(이하 AMC로 칭함)등의 지원대상 자격을 부여 받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기타 자금지원 및 기부에도 등록 여부는 판단의 기 준으로 작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하여 documentation이 박물관 활동에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으며 MDA와 같은 조직은 영국박물관의 Documentation 수준 향상에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9) Andrew Roberts and Richard Light, The Cooperative Development of documentation in united kingdom Museums in museum documentation systems,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London, Butterworts, 1988, pp118~119

(1) The Museum Documentation Association의 활동

1994년에 발표된 SPECTRUM이라는 Documentation procedures는 소장 품 관리에 관한 20가지의 항목을 설정하고 있다. 다양한 박물관의 needs에

소재 및 이동관리 (Location & movement control) 목록작성 (Cataloguing)

전시회/전시 (Exhibitions & displays)

반출 (Despatch) 대여 (Loans out) 손해 (Loss)

방기 및 처분 (Deaccession & disposal)

역급 Documentation (Retrospective documentation)

1996/7년 연간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 박물관 중 67%가 SPECTRUM 에 따른 관리체계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MDA Data 기준

SPECTRUM보다 먼저 정해진 ‘MDA Data기준’은 SPECTRUM이 절차 부분을 표준화한 것이라면, 그 외의 Documentation에서 사용되는 레코드 구조 및 용어 체계를 규격화 시킨 것이 ‘MDA Data기준’이다. 박물관내 및 박물관간의 소장품 관리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표준화가 요구되며, 영국에서는 500여 곳 이상의 박물관이 이를 사용하고 있다.

MDA는 이러한 ‘표준’에 맞추어 박물관에서 쓰여지는 용지, 목록 작성 카드, 자료카드, 자료 이용권 등 일련의 Documentation용지를 제작/제공하고 있 다.

<표11> ‘MDA Data기준’에 따른 field 구조화 사례

ANYTM(any town Museum의 번호) 주전자

출처: Holm A.A, facts & Artfacts How to Document & Museum Collection. MDA, 1991

▪에니 박물관에 오래된 주전자가 수장되어 있다.

‘MDA Data기준’은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field구조, 문법, 어휘에 관한 규칙이다. 이러한 특정 규칙을 활용하여, 컴퓨터를 통한 검색작업이 정확하 게 이루어지도록 체계화 하고 있다.

씨소러스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를 관리하면, 필요한 자료를 간단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찾고자 하는 자료에 해당하는 수치 및 제목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검색이 이루어 진다. 이때 수치에 관한한 크게 문제 될 것이 없는 반면, 제목에 해당하는 단어는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므로 미리 사용하게 될 제목의 범주를 정하게 된다면 표현에 따른 문제를 어느 정도는 막을 수 있 으며, 또한 제목간의 관련성을 규정하여 보다 검색 분류를 단순화 하였다.

이러한 제목에 해당하는 ‘개념을 표현하는 단어를 규정하고, 단어간의 관계 를 상호 참조 또는 네트워크로 표시하는 사전을 씨소러스라고 한다.

영국에서는 전문 분야마다 학예연구원을 통하여 다양한 씨소러스가 고안되 고 있다

[Working Group]

고고학 자료명 씨소러스

Working Group

민속학 용어 통제

Working Group

의학계 박물관 용어

Working Group

박물관의 무기에 관한 용어통제

Working Group

장소 명칭에 관한

Working Group

사회사/산업분야

대영박물관 (런던) 호니먼 박물관 (런던) 런던 박물관(런던)

MDA는 용어 통제 및 씨소러스 작성에 관한 연수 등을 실시하여 그 이해와 보급을 꾀하고 있다.

(2) 컴퓨터를 통한 Documentation

영국의 경우 최근 10여년간 Documentation의 컴퓨터화가 급속도로 진전 되었다. MDA는 앞에서 설명한 수작업을 통한 Documentation 용지를 비롯 하여 MDA Data기준 및 SPECTROM 등의 소프트웨어를 개발, 판매하고 있다.

MODES(Museum Object Data Entry System)은 영국의 박물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으로, 1978년에 개발되었다. 1994년에는 이에 화상 인식 기능 등이 추가된 MODES Plus가 발표되었다. 또한 Catalist라는 초 보자를 위한 Database program은 130파운드(약 286,000)이라는 저렴한 가격에 제공되고 있다.

아울러 ADLIB 정보시스템주식회사의 수장품관리 시스템 ADLIB 등 MDA 의 컨설팅 주도하에 민간기업이 개발한 프로그램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2) 미국

미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소장품 정보를 전산화 하기 시작하였다. 이때

부터 박물관 정보시스템의 역사가 시작된 것이다. 최초의 소장품 전산화는 1965년에 워싱턴의 스미스소니언 뮤지엄이 소장품 통합관리 시스템으로 일 컬어진 ‘Self Generated Master(SELGEM)’,을 개발함으로써 시작되었 다.30) 동시적으로 박물관 사이의 네트워크 개념도 1970년에 ‘GRIPHOS’프 로젝트에서 시작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뉴욕 주립 대학의 컴퓨터 과학 교수 였고 박물관 컴퓨터 네트(Museum Computer Network: MCN)을 창시한 잭헬러 박사가 고안하였다.31)

60년대 말 뉴욕 박물관들의 협력체로 탄생한 MCN으로 인해 박물관 소장 품 전산화와 전국 네트웍을 구축하기 위한 전산화를 활발하게 추진해 나갔 다. 그 결과 오늘날 스미스소니언 뮤지엄을 찾는 일반 관람객들은 ‘더캐슬 (The Castle)’이라고 불리는 안내 데스크의 터치스크린 안내 시스템을 만 나면서부터 관심을 갖기 시작하게 되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뮤지엄의 정보화는 정부나 대학이 보유하고 있 는 메인프레임시스템(main frime system)을 이용하였다. 이로부터 박물관 들은 소장품 전산화의 중요성을 서서히 인식하게 되었으며, 1968년에는 뉴 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미술관 컴퓨터의 잠재적 이용에 대한 학술회의

30) Robert G, Chenhall, Museum Cataloging in the computer Age, Nashville, American Association for State and Local History, 1975, p 96.

31) Katherine Jones-Garmil, Museum in the information Age in Hands On Hypermedia and Interactivity in Museums, Pittsburgh: Archives &

Museum informations, 1995, pp 1~2.

를 열기에 이르렀다.

1970년대에는 많은 기관들이 GRIPHOS와 SELGEM을 사용하였는데 예 를 들어 GRIPHOS는 스무개의 MCN 참가 박물관과 기관들에 의해 미술 작품과 고고학의 정보를 기록하는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70년대 말에 이르 면 이 두 프로그램 모두 기술적으로 쓸모없게 됨으로써 MCN은 지금까지의 컴퓨터시스템을 개발하는 목적에서 계간지 spectra를 통해 관련정보를 보 급하는 방법으로 선회하게 되었다.

박물관 전산화가 시작된 60년대 중반에는 모든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크 용량과 처리 비용이 비쌌던 메인프레임 시스템 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중앙 처리장치(CPU)는 대개 박물관 외부의 기관, 즉 대학이나 정부 기관에서 보 유하고 있었다. 80년대에는 개인용 컴퓨터와 향상된 축적 방식이 가능해 지

박물관 전산화가 시작된 60년대 중반에는 모든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크 용량과 처리 비용이 비쌌던 메인프레임 시스템 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중앙 처리장치(CPU)는 대개 박물관 외부의 기관, 즉 대학이나 정부 기관에서 보 유하고 있었다. 80년대에는 개인용 컴퓨터와 향상된 축적 방식이 가능해 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