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절에서는 미국 농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의 대표적인 식생활교육인 ‘교실에서 농업(Agriculture in the Classroom: AITC)’과 보충영양지원프로그램(Supplemental Nutrition Assistance Program: SNAP) 연 계 교육 프로그램 SNAP-Ed(Supplemental Nutrition Assistance Program Education)를 중심으로 식생활교육 추진 현황과 성과지표 관련 사례를 검토한다.

2.1. 식생활교육 추진 현황: 농무부 중심

미국은 식생활의 틀 속에서 다양한 농업 및 영양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과 정책·사업들을 시행하고 있다. USDA의 대표적인 식생활교육에는 교양농업 교육 프로그램인 ‘교실에서 농업(AITC)’과 보충영양지원프로그램(SNAP)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추진되는 SNAP-Ed가 있다.

AITC의 주요 목적은 농업에 대한 이해 제고를 통한 학생들의 농업문해 (agricultural literacy) 증진이다.105 그러나 교육내용이 농업에 한정되지 않 으며, 식품, 건강·영양, 환경 등 다양한 영역을 농업과 연계하여 교육 프로 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06 USDA 산하 국가식품농업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e: NIFA)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SNAP-Ed는 SNAP 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SNAP 프로그 램 참가자들이 제한된 예산 내에서 ‘미국인을 위한 식이지침(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DGA)’과 ‘USDA 식품지침(USDA food Guidance)’

에 기초하여 건강한 식품과 활동적인 생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즉, 교육을 통해 SNAP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고품질의 영양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식품의 구입·가공·저장·조리 등의 식생활 행태 영역과 연계 된 교육을 실시한다. SNAP-Ed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USDA 식품영양국(Food and Nutrition Service: FNS), 주정부 SNAP 기관, 주정부 SNAP-Ed 제공자, 지역 SNAP 사무소 및 지역 SNAP-Ed 제공자가 연계하여 다양한 캠페인, 영양교육 등을 실시한다.107

105 방기혁(2015: 45) 참조.

106 농업문해(agricultural literacy)는 농업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를 의미하 며, 교양농업교육이라는 용어를 이용하기도 함(허영준 2008: 11-16).

107 USDA(2017)를 참조하여 정리함.

2.2.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성과지표 수립 및 활용 사례

2.2.1. AITC 프로그램

108

AITC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성과를 점검·평가할 수 있는 명시적인 성과 지표와 목표치를 제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주요 주제와 영역별로 농업교육 을 통해 연령대별로 달성해야 하는 국가농업문해결과(National Agricultural Literacy Outcome: NALO)를 제시하여 교육의 성과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간접적으로 제공한다. NALO는 어린이·청소년의 연령대별로 농업·환경, 동 식물, 식품·건강·생활양식, 과학·기술·공학·수학, 문화·사회·경제·지리 등 5 개 부문과 사회, 과학, 건강 등 3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제시되고 있다<표 4-11, 표 4-12, 부표 2>.

NALO는 대상 연령대를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중학교, 고등학교 등 4개 연령대로 구분하며, 부문(영역)별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보다 구 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식품·건강·생활양식 부문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은 농업의 역할과 건강한 식품의 유형을 인식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반면, 고등학교는 보다 구체적으로 식품비용, 식품표시와 식품안전에 관한 정책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108 Agriculture in the Classroom 웹페이지 자료 참조하여 정리함(http://www.agclassroom.org/

get/doc/NALObooklet.pdf: 2017. 5. 20.).

<표 4-11> 연령대별·영역별 NALO: 식품·건강·생활양식 부문

자료: Agriculture in the Classroom 웹페이지 자료 참조하여 정리함(http://www.agclassroom.org/

get/doc/NALObooklet.pdf: 2017. 5. 20.).

<표 4-12> 부문별·영역별 NALO: 저학년(유치원∼2학년)

2.2.2. SNAP-Ed 프로그램

109

가. 지표 수립 및 주요 지표

SNAP-Ed 프로그램이 확대되면서 프로그램 모니터링 및 평가의 필요성 이 증가하게 되었다. SNAP-Ed 프로그램은 연방정부와 주정부 연계 프로 그램으로 연방정부와 주정부 모두 SNAP-Ed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및 모 니터링의 의무를 가진다.

SNAP-Ed 프로그램은 성과를 측정·평가하기 위해 51개 성과지표를 설 정·제시한다. SNAP-Ed 프로그램 성과지표들은 개인적 요소, 환경적 요소, 영향 분야로 구분되고, 단기(준비와 능력)·중기(변화들)·장기(효과 및 유지 관리), 결과로 세분화되어 수립·제시되고 있다.

개인적 요소에서는 목표와 의도(단기)-행동변화(중기)-행동변화 유지(장 기)를 평가하며, 환경적 요소에서는 조직적인 측면에서의 동기 요인(단기)-채택 및 촉진(중기)-실행 및 효과(장기)를 평가한다. 영향 부문에서는 다양 한 분야에서의 수용력(단기)-정책·사회적 및 미디어 등의 측면에서의 변화 (중기)-영향(장기)을 평가한다. 또한 궁극적으로 개인·환경 및 영향에서의 영향이 궁극적으로 식품품질, 식품소비 행태 등과 삶의 질에 미친 영향을 결과에서 평가한다.

109 이계임 외(2016a: 69-79), USDA(2017)를 참조하여 재정리함.

<표 4-13> SNAP-Ed 평가 체계-성과지표

나. 지표 활용

하여야 하며, 취합된 보고서는 차년도 지침서 작성에 반영해야 한다.

연차보고서는 주정부에서 수행한 영양교육 및 비만 예방 프로젝트 내용 과 관련 성과들을 요약하고, 성과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SNAP-Ed 프로젝트 의 실효성 및 향후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도록 한다. 연차보고서는 두 개 부문(A, B)으로 구성된다. 부문 A는 전년도에 승인된 SNAP-Ed 활동 이행에 대한 정보를 요약하고, 부문 B는 중요한 평가 활동에 대하여 요약하 도록 하고 있다.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 종류가 주별로 편차가 있어, 주별 직접비교가 가 능한 데이터 및 정보의 수집을 위하여 교육행정보고시스템(EARS)을 개발 하였다. 연간 SNAP-Ed 활동에 대하여 정형화된 데이터와 정보를 수집하 며, 수집되는 데이터는 SNAP-Ed 혜택을 받는 참가자의 인구학적 특성, 개 입 전략 및 개발된 파트너십 등에 대한 사항을 포함한다.

<표 4-15> SNAP-Ed 연차보고서 주요 항목

2.2.3. 기타 사례

가. 농무부 전략계획 사례110

미국 USDA는 연도별 추진 정책·사업에 대한 전략계획(strategic plan)을 수립·제시하면서 식생활정책에 대한 전략목표 및 세부사업 목표과 함께 세 부사업 목표별 성과지표와 달성목표치를 제시한다. 2014∼2018 회계연도 식생활정책 전략목표는 ‘모든 어린이에게 안전하고 영양가 있으며 균형 잡 힌 식사 제공’이며, 세부사업 목표로 ‘영양가 있는 식품에 대한 접근성 향 상’, ‘건강한 식단과 신체활동 장려’, ‘식품안전성보장을 통해 공중보건에 기여’, ‘안전하고 영양이 풍부한 식품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해 주요 질 병·해충을 최소화하여 농업 보호’ 등 4개 목표를 설정하였다. USDA는 이 들 4개 사업목표에 대해 총 9개의 성과지표를 제시하고 있다<표 4-16>. 식 생활정책 성과지표는 식생활정책 업무추진계획에 명시하며, 연간 성과보고 작성에 실질적으로 활용된다. 이밖에 USDA는 성과지표로 설정되어 있지 는 않으나, 정책 기대효과인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 식량 불안정 출현율’

과 사업목표 중 ‘식품안전성을 보장함으로서 공중보건에 기여’ 부문의 성 과지표로서 ‘식품안전 및 검사서비스(FSIS) 제품 중 불량적발 건수’를 매 년 성과보고서에 명시하고 있다.

USDA는 식생활정책 성과지표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수립 하며,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거나 특정 산업 분야의 전 기업의 참여를 기 본으로 하는 정책의 경우 참여율이나 증가율을 지표로 활용한다. 예컨대 전국학교급식프로그램(National School Lunch Program: NSLP)의 경우 가 능한 많은 정책대상자의 사업 참여가 중요하기 때문에 사업 참여비율을 지 표로 제시한다. 반면 SNAP는 비사업대상이 수혜를 받거나 지원 받은 물품 을 유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업대상에 대한 정확한 집행 비율을 성

110 USDA 웹페이지 자료를 참조하여 재정리함(https://www.usda.gov/sites/default/files/docu-ments/usda-strategic-plan-fy-2014-2018.pdf: 2017. 8. 17.).

과지표로 제시한다.

자료: USDA 웹페이지 자료 참조(https://www.usda.gov/sites/default/files/documents/usda- strategic-plan-fy-2014-2018.pdf: 2017. 8. 17.;

https://www.obpa.usda.gov/budsum/fy16budsum.pdf: 2017. 8. 17.;

https://www.obpa.usda.gov/perfrpt/2015usdaperfrpt2017plan.pdf: 2017. 8. 17.).

나. 국가식품농업연구소(NIFA) 프로그램 사례111

NIFA는 어린이 비만, 환경변화, 식품안전, 세계 식량안보 및 기아, 지속 가능한 에너지 등 5개 영역으로 구분하며 다양한 연구, 교육 및 지도 사업 등을 추진한다.112 5개 영역들은 각각 영역별로 추진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성과와 이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들 5개 영역 중에서 일반 국민(소비자)이 주요 대상인 영역은 어린이 비만 영 역과 식품안전 영역이며, 특히 식생활교육과 관련이 있는 영역은 어린이 비만 영역이다. 어린이 비만 영역은 3개 기대 성과와 24개 성과지표를 제 시하고 있으며, 식품안전 영역은 4개 기대성과와 19개 성과지표를 제시하 고 있다<표 4-17>.113

어린이 비만 영역의 기대성과는 ‘건강한 식습관 실천’, ‘건강한 수준의 신체활동’, ‘가족, 어린이 및 청소년의 건강한 식품 접근성’이며, 기대성과 별로 성과지표를 수립·제시하고 있다. 성과지표들은 주로 교육에 의한 교 육수혜장의 지식·인식·행동의 변화 또는 주정부 및 지역(커뮤니티)에서의 정책·환경의 변화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111 NIFA 웹페이지 자료를 참조하여 재정리함(https://nifa.usda.gov/sites/default/files/re-source/Natl%20Outcomes%20%26%20Indicators%20Listing.pdf: 2017. 8. 17.).

112 NIFA는 USDA의 연구·교육 및 경제 분야 과학기금지원기관임.

113 어린이 비만 영역 이외에 식품안전 영역은 4개 기대성과와 19개 성과지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환경변화는 3개 기대성과, 19개 지표, 세계 식량안보 및 기 아는 4개 기대성과, 34개 지표, 지속가능한 에너지는 7개 성과, 34개 지표를 제시함.

<표 4-17> 어린이 비만 영역 프로그램 성과지표 자료: NIFA 웹페이지 자료 참조(https://nifa.usda.gov/sites/default/files/resource/Natl%

20Outcomes%20%26%20Indicators%20Listing.pdf: 2017. 8. 17.).

식품 안전 프로그램은 ‘식품 안전 향상을 위한 실행 가능한 기술 증가’, 자료: NIFA 웹페이지 자료 참조(https://nifa.usda.gov/sites/default/files/resource/Natl%

20Outcomes%20%26%20Indicators%20Listing.pdf: 2017. 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