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화콘텐츠의 개념과 발전과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0-73)

제3절 한류문화콘텐츠의 이해

수 있는 ‘문화콘텐츠’의 개발을 촉진하려는 것이다. 우리 정부가 문화콘텐츠의 생 산을 촉진하는 정책을 수립하게 된 배경에는 한국의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TV 드라마나 영화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고 그것이 동아시아 지역의 한류를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끼쳤다는 인식이 있다. 2003년 9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방 영된 TV 드라마 <대장금>, 2005년 12월에 개봉된 영화 <왕의 남자> 등은 조선 시대 궁중을 배경으로 한 영화는 한류를 이끈 콘텐츠였다. 결국, 한류문화콘텐츠 란 우리나라의 문화콘텐츠가 해외에서 대중적인 인기를 끌게 되는 것을 말하는 데 이는 한국문화 전반에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한류문화콘텐츠에 는 출판, 만화, 게임, 드라마, 영화, 음악 등이 있다. 이는 우리나라 산업의 새로 운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상당한 경제적인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다. 특히 한 류문화콘텐츠와 관련된 새로운 일자리를 공급하여 실업 문제를 해소할 뿐만 아 니라 관광, 무역 등 다른 연관산업의 부흥에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2) 한류문화콘텐츠의 발전과정

한류의 시작인 한류 1단계는 1993년 우리나라 드라마 <질투>와 <여명의 눈동 자>에서 시작하여 1997년 <사랑이 뭐길래>가 중국 CCTV를 통해 방영된 시점 으로 보고 있다.82) 당시만 해도 대중문화 교류가 활발하지 않았던 중국에서 드라 마의 인기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드라마와 함께 가요도 인기를 끌었다는 점에 서 한류의 시초로 보고 있다. 한류는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중국, 타이완, 베트남 등에서 본격화되었다. 한국 드라마의 가족애, 휴머니티, 순애보 같은 사랑의 주제는 아시아인에게 공감을 얻었고 역동적인 댄스 음악에 많은 아 시아 청소년들이 열광했다. 잠시 잠잠했던 한류는 2002년과 2003년에 우리나라의 정서와 전통문화를 주제로 한 드라마를 통해 대대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배용준·

최지우 주연 드라마 <겨울연가>가 일본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한류는 중 국을 넘어 일본에서도 불기 시작했으며, 이영애 주연의 사극 <대장금>은 한류를 전 세계로 확산시키는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이로 인해 일본, 타이완, 홍콩 등 새 로운 지역으로 확대되었다.83) 하지만 한류가 장르(드라마 위주), 연령(중년 위주),

82) 문화체육관광부. 한류백서. 3-7. 2013

83) 이상민. 한류 드라마의 특성과 경쟁력-<사랑이 뭐길래>, <겨울연가>, <대장금>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20(1). 59-84. 2012

지역(아시아 위주)의 한계에 부딪힌 것도 이때다. 한류를 새롭게 이끌어갈 새로 운 동력이 절실했고 때마침 등장한 것이 K-POP이다.

한류 2단계는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새로운 모습으로 변하였 고 그 중심에는 K-POP이 있었다. 물론, 1980년대 우리나라 몇몇 가수들이 일본 에서 상당한 인기를 끌었고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도 초반에도 타이완, 중국 등 지에서 활발한 활동을 한 적도 있었다. 그렇지만 한류 2단계는 아이돌 가수가 세 계무대에 진출하기 시작했고 지리적으로 가깝거나 문화적으로 유사한 중국, 일 본, 동남아시아를 뛰어넘어 미국과 유럽의 언론 및 대중의 관심을 뜨겁게 받았다 는 측면에서 이전의 형태와 차별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동영상 전문 사 이트와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를 통한 한류의 확산, 한국의 전통문화를 소재 로 한 드라마의 전 세계적인 관심, 드라마와 음악 이외의 다양한 예술 분야로의 한류의 확대 등이 한류 2단계의 또 다른 특징이다. 그러나 K-POP으로 다져진 한류 2단계는 갈림길에 놓였다. K-POP이 세계인의 관심을 받고는 있었지만 아 직은 마니아층의 전유물에 불과하다는 평가였다. 전문가들은 한류가 2단계를 뛰 어넘어 세계 주류 문화로 자리 잡는 ‘3단계’에 진입하려면 편중을 뛰어넘고 다양 화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84) 이에 각계각층의 다양한 노력으로 한 류 3단계가 전통문화, 문화·예술, 문화콘텐츠를 모두 포괄하는 K-Culture로 나타 났다. 기존의 한류가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일부 문화·예술 분야를 포함한 의미 라면 K-Culture에는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세 가지 구성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 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한류의 지역과 대상은 이미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이며 소수의 열성 팬을 넘 어 보편적인 세계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류의 교감 지역이 전 세계 인 것은 물론 ‘전 세계인이 함께하는 한류’라는 목표를 반영한 것이다.85) 위와 같 은 한류의 발전과정은 아래 <표 2-5>과 같이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84) 류은주. 변정민. K-Pop의 한류 지속을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방안에 대한 고찰. 문화와 융합. 41(3). 167-218. 2019

85) 손수진.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한 한류문화콘텐츠 인식조사 및 문화관광 활성화 방안:

멕시코와 아르헨티나 지역의 K-Culture 팬덤을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22(2). 49-65.

2020

구분 한류 1단계 한류 2단계 한류 3단계 한류 4단계

발전단계 생성 심화 주류문화로 정립 주류문화선도

기간 1993년-2000년대 중반

2000년 중반에서 2010년 초반

2010년 초반에서

2019년 까지 2020년 이후

핵심장르 드라마 K-Pop K-Culture K-방역

주요 지역 중국, 일본 대만, 동남아시아

아시아, 유럽일부, 아프리카, 중동, 중앙아시아, 미국

전 세계 전 세계

주요

소비자 소수의 마니아 10대-20대 세계시민 세계시민

주요 매체 케이블TV,

위성TV, 인터넷 유튜브, SNS 모든 매체 MICE 포함 모든 매체

<표 2-5> 한류문화콘텐츠의 발전단계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 2013. 참고

한류 4단계는 코로나19와 맞물려 뜻하지 않게 시작되었다. K-POP의 방탄소년단 (BTS)과 영화의 <기생충>과 <미나리>가 선전한 것도 있지만 의외의 분야인 K-방역에서 한류 4단계를 맞게 된 것이다. 이는 코로나19에 대응하는 대한민국의 선 진적인 의료와 보험체계뿐 아니라 한국인들이 보여준 절제와 배려의 도덕적 힘이 K-방역으로 나타나 세계의 본보기로 떠올랐기 때문이다.86)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는 빌보드 차트 1위 BTS와 함께 K-방역을 등에 업은 대한민국의 파고(K-WAVE) 가 전 세계에 한류 4단계를 더욱 다양한 영역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