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64 신흥동 옛 시장관사

공사내용만 보면 1935년 관사 개축을 위한 예산 신청서와 관련된 도면으로 보인 다. 기록물에 대한 주기가 정확하다면 도면의 생산시기가 예산 신청서보다 앞서게 된다. 이는 두 가지로 가능성으로 해석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1935년에 개축을 요청한 관사와 1933년에 작성된 도면의 관사가 서로 다른 건축물일 가능성이고, 둘 째는 1933년 인천부 청사 신축공사의 연장선에서 관사 이축과 개축이 계획되고 시 행은 2년 후에 이뤄졌을 경우이다.10) 현재로서는 이축과 개축이 어떻게 진행된 것인 지 명확히 결론지을 수는 없지만, 한 가지 확실한 점은 인천부 소속의 관사가 부윤 관사 외에도 다수가 세워져 공급되었다는 점이다.

끝으로 이 글을 준비하면서 느낀 아쉬움을 밝혀두고자 한다. 글쓴이의 능력 부족 이 큰 이유이기는 하지만 인천 이사청과 인천부와 관련된 자료가 생각만큼 체계적 으로 정리되지 않았고, 규명되지도 못하고 있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 인천부윤의 관사는 이 글에서 밝힌 바와 같이 1906년 이사청의 설치와 함께 지어진 이사관의 관사에서 출발하여 해방 이후까지 줄곧 유지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동안 인천부 윤 관사 자료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상당히 많이 개진되어왔다는 점은 기존 연구의 아쉬운 점이라 할 수 있다.

국가기록원의 조선총독부 건축도면 컬렉션은 해제에서 스스로 밝히고 있는 바 와 같이 전체 도면 중 일부일 뿐이다. 철에서 분리되어 낱장으로 떨어진 도면은 정 리되지 못한 상태이다. 인천 이사청과 관련된 누락 도면과 관계 공문서, 인천부청 관사의 개축과 이축과 관련된 도면 등 생산되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확인되지 않는 자료는 아마도 정리되지 못한 자료 속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 확인된 관 련 자료도 국가기록원의 제공방식의 한계로 정밀한 고증이 어려운 점도 상당히 아 쉬운 부분이다. 이후 이와 관련된 자료의 추가 수집과 자료의 품질향상은 인천 근 대사 연구에 새로운 전개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66 신흥동 옛 시장관사

참고문헌

1. 단행본

안길정, 『관아 이야기 1, 2(한국문화총서 11,12)』, 사계절출판사, 2000.

『인천부사: 1883~1933』, (사)인천문화발전연구원, 2004.

허경진·김선주·송인호·박정혜, 『숙천제아도-하버드 옌칭도서관 학술총서 11』, 민속원, 2012.

2. 연구논문

백윤진·전봉희, 「1905~1945년에 지어진 일본 관사의 온돌 수용 : 국가기록원 소장 일제시기 관영 건축도면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21, n.6, 2010.

백소훈, 「지방관아 건축 “동헌(東軒)”명칭의 유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33, n.7, 대한건축학회, 2017.

신상섭·이승연,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 본 조선시대 읍치(邑治)의 공간구조와 관아(官衙) 조경-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을 중심으로」, 『문화재』 v.49, n.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3. 인터넷 사이트

규장각한국학연구소 지리지 종합정보 http://kyujanggak.snu.ac.kr/geo/main/main.jsp 인천광역시교육청화도진도서관 향토·개항문화자료관 https://history.ice.go.kr/

국가기록원 조선총독부기록물 https://theme.archives.go.kr/next/government/viewMain.do 국가기록원 일제시기 건축도면 컬렉션 https://theme.archives.go.kr/next/place/subject07.do

4. 기타

국립중앙박물관 《화도진도》

신흥동의 형성과정과 시장관사

이연경 (인천대학교)

68 신흥동 옛 시장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