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기초자료 분석

(1) 선행연구

지역단위 사회복지계획의 구성 및 내용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박광준(2000), 박태영 (2001) 등의 연구가 있다. 두 가지 연구에서 사회복지계획은 기본구상 부분, 구체적인 계획부분, 그리고 실행을 위한 지원 또는 평가계획 부분 등 대체로 3개의 부분으로 구 성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기본구상 부분에서는 먼저 사회복지계획의 이념이나 중요성 등에 대하여 언급하고, 바람직한 미래상 또는 목표를 설정하는 내용들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두 번째는 사 회복지계획의 핵심 부분으로 실제 각 사업영역별 또는 대상집단별로 실시되어야 할 사 업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 및 그 계획을 실천하기 위한 실행계획 또는 실시계획을 수립 하는 내용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마지막으로 박광준(2000)은 실행계획을 수행 하기 위한 방안 및 기반조성 계획을 포함하고 있는 반면에, 박태영(2001)은 사업 추진 후의 평가계획을 마지막 항목으로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를 종합하면, 사회복지계획은 대체로 1) 기본구상, 2) 구체적 계획, 3) 수행을 위한 계획(전략) 또는 기반조성 계획, 4) 사후관리(평가 등)의 구성체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보건복지부에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지역사회복지계획 을 수립하도록 하면서 지역복지계획에 대한 개략적인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이현주 외, 2002). 이 자료에 의하면 지역사회복지계획의 구성내용으로 1) 지역내 복지관련 문

107

등으로 구성된다.

109

먼저 제1장은 해당 자치구 지역복지계획에 대해 개괄적이고 간략하게 소개하는 총 론 내지는 서론 부분으로, 해당 자치구의 현안 과제나 본 계획을 통해 해당 자치구가 지향하는 목표, 그에 따른 계획의 주요내용 등을 개괄적으로 언급하고, 본 계획이 완료 되기까지의 진행경과를 소개한다. 자치구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성격이나 취지 등은 선 행연구 또는 사회복지사업법 등에서 이미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계획서에서는 이 부분은 다시 언급할 필요가 없다.

제2장은 기초자료분석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근거 자료들을 조사․분석한다. 검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인구, 지역특성 등 지역 일반현 황, 해당 자치구의 복지정책 및 복지사업에 대한 검토, 지역내 복지자원 공급 및 이용 실태, 주민 복지욕구조사 등을 포함한다. 또한 기존에 존재하는 관련계획에 대한 검토 도 필요하다. 관련 계획으로는 이전 단계의 지역사회복지계획, 자치구 지역보건의료계 획, 서울시 및 보건복지부의 관련계획 등이 포함된다. 이들 기초자료 분석을 토대로 해 당 지역의 문제점, 앞으로 보완 또는 개선되어야 할 과제, 더욱 강화되어야 할 영역이 나 과제들을 도출하는 작업도 이 부분에서 진행된다. 이는 이어서 제시될 부문별 계획 에 대해 종합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3장은 본 계획의 전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부분이다. 즉, 현황진단 및 여건변 화 전망을 토대로 해당 자치구가 지향하는 복지 비전, 또는 본 계획을 통해 도달하고 자 하는 자치구 지역복지의 목표를 제시한다. 기본방향(또는 비전, 정책목표)은 앞으로 진행될 사업계획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수행할 사업을 도출하고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 정하는 기준이 된다.

제4장 부문별 사업계획은 지역사회복지계획의 핵심부분으로 지역복지의 각 영역(부 문)별로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에서는 앞에서 실시된 기초 자료 분석을 토대로 각 부문별 과제를 먼저 요약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해야 할 사업과 추진목표를 제시한다. 부문별 계획에서는 구체적인 사업내용 및 서비스 공급량, 시설공급계획 등이 구체적으로 제시되도록 한다. 지역사회복지계획에 포함될 각 부문 은 노인, 여성, 장애인 등 복지대상집단별 구분도 가능하며, 사회복지시설, 재가복지사 업, 보건복지사업, 건강증진사업 등 사업영역별로 구분할 수도 있다. 포함되어야 할 부 문은 각 자치구별 특성에 따라 결정하고, 부문별 내용 구성 또한 각 자치구가 자율적

111

-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계획 대상 영역의 구분 및 범위는 다음 절에서 다시 상 세하게 제시하였다.

이어서 제5장에서는 부문별 계획에서 제시된 사업들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 조직, 재정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에 대한 행․재정계획을 수립하고, 제6장에서는 제 시된 공급목표 또는 사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제시하는 추진전략이 이어진다.

제6장 기반조성계획에는 지역복지 전달체계 정비방안, 각각의 역할주체간 기능분담 및 협조방안 등 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내용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그 외에 지역자원의 활용 및 발굴; 주민, 자원봉사단체, NPO 등의 복지활동 지원방안; 지역주민의 지역복 지 추진주체로 참가 촉진 방안; 지역복지 인재 육성방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계획의 마지막 부분은 평가 및 향후과제이다. 먼저 앞서 제시된 부문별 계획의 사 업 및 목표가 제대로 추진되는지를 점검하는 방법 등을 제시한다. 또한 일종의 계획 후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번 계획에 대한 자체평가를 실시한다. 이 부분에서는 다음 번 계획에 피드백될 수 있도록, 계획의 내용, 방법론, 진행과정 등에서 나타난 한계점 을 자체평가하고, 다음 계획수립에서 반영되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한다. 이는 이번 계 획의 한계점을 미리 제시함으로써 계획안의 추진과정에서 이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는 것과, 다음 번 계획 수립시에 미리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함으로써 계획수립의 효율성, 효과성을 제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계획서의 부록형태로 참고자료를 첨부한다. 첨부가능한 자료로는 자 원조사 및 욕구조사 결과표 등이 있다. 본문에서는 조사결과 나타난 시사점이나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고, 실제 통계표는 필요한 경우 첨부자료로 제시한다. 기타 조 사개요, 주요 회의록이나 토론회 자료 등도 첨부자료로 제시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