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말하기 수행평가의 방법

2. 말하기 수행평가

2.3 말하기 수행평가의 방법

2.3.1 말하기 수행평가 작성 원리

말하기 평가 과제를 작성하기 위해 먼저 평가의 타당도, 신뢰도, 실용 성, 역류 효과와 실생활에서의 의사 소통과의 연계성을 고려해야 한다3). 아울러 다음 사항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김영숙 외, 1999:628-629).

1) 말하기 과제는 교과서 내용을 반영하되 단순한 암기가 아닌 피험자 자 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한다.

2) 실생활에서의 언어 사용과 유사할 수 있도록 특정 목적을 위한 발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평가 과제를 구성한다.

3) 피험자의 실생활, 흥미, 인지 및 정서적 수준, 문화적 배경 등을 고려하 여 과제를 작성한다.

4) 담화 수준의 말하기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3) Lado(1961)는 타당도, 신뢰도, 실용성 이외에 검사 결과를 점수화하는 데에 있

어서의 간편성(scorability),경제성(economy), 그리고 시행 처리의 용이성

(administrability)을 평가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들고 있다.

5) 조별 과제인 경우, 조 구성은 피험자들 스스로 결정하도록 한다. 왜냐하 면 서로 잘 아는 조원들과 과제를 수행하면 평가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줄어들어, 좀더 일관된 언어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6) 평가 이전에 미리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지게 함 과 동시에 피험자 스스로 자신의 말하기 능력을 평가해보고 과제 수행 을 준비하도록 한다.

최연희(1999)는 Morrow(1979), Heaton(1988), Weir(1990), Bachman(1991) 이 제시한 의사소통적 언어 평가의 특성을 종합하여 11가 지를 소개하고 있으며 이것에 대해 이완기(1995: 46-48)는 의사 소통 능력 의 평가가 갖추어야 할 요건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언어 사용 행동을 평가한다. 둘째, 직접적인 평가 방법을 사용한다. 셋째, 통합적으로 평가한다. 넷째, 절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한다. 다섯째, 주관적으로 평가 한다. 여섯째, 학생이 실제 사용할 내용을 평가한다. 이와 같은 요건들은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말하기 평가 문항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반드 시 고려해야 할 요소라 할 수 있다.

2.3.2 말하기 수행평가의 방법

영어과 말하기의 특징은 어떤 명제, 사실, 생각을 서로 교환하되, 의사 소통 시 화자와 청자간에 의미의 협상을 요구한다. 말하기 기능은 크게 communicative language function 과 academic language function으로 나 눌 수 있으며, 전자에 속하는 의사소통기능으로는 인사하기, 요구하기, 정 보 묻고 답하기 등이 있으며, 후자에 속하는 의사소통기능으로는 설명하기, 묘사하기, 비교하기, 토론하기, 평가하기 등이 속한다. 이러한 말하기의 언

어 기능의 특징에 비추어 볼 때에 말하기 평가의 방향은 실제적인 커뮤니 케이션 상황에서 학생들이 대화의 의미를 파악하고 전달하는 능력을 평가 하되 대화의 자연스러움과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하여 정확도와 유창도를 채점 기준의 근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4). 대표적인 말하기의 수 행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대전교육과학연구원, 2000:37-38).

1) 면접방법(Oral Interview)

면접방법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주제나 task를 주고 interview를 하는 방법으로서 수행 단계 따라 난이도가 틀린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의 performance를 채점 기준표에 의거하여 채점하는 방식이다. 면접 방법은 훈련된 평가자와 평가자간 신뢰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나 학급단위에서 교사가 충분히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oral interview를 할 때에 는 녹음 테이프에 녹음을 하거나 비디오 촬영을 하기도 하지만 반드시 요 구되어지는 사항은 아니다.

2) 역할극( Role Play)

역할극은 채점 기준표의 수준에 맞는 여러 가지 역할카드를 준비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역할을 수행하게 한 뒤 채점 기준표를 사용하여 채점한 다. 역할극은 두 명이 함께 하거나 한 명이 할 수 있다. 각 수준에 맞는 다 양한 역할 카드를 준비하여 처음에는 낮은 수준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높은 수준의 역할 카드를 제시하여 수행하게 한 후 채점 기준표를 따라 채 점한다.

4) 낱말 발음하기, 소리내어 읽기, 문장 반복하기 등도 발음중심의 직접 평가로 활

용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비맥락적 평가는 지양되고 있는 추세이다(김

영숙 외, 1999, p.628).

3) 대화를 통한 제한된 정보 찾기(Information-Gap Activity)

대화를 통한 제한된 정보 찾기 활동은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 업 활동으로서 이 활동을 평가에 활용하면, 수업 활동과의 연계는 물론 학 생들의 실제적 의사 소통 능력을 특정하는 참 평가가 된다. 대화를 통한 제한된 정보 찾기는 두 명 이상의 학생들이 서로 다른 정보를 가지고 있는 한 세트 이상의 그림이나 도표를 서로에게 보여 주지 않은 채 대화를 통하 여 다른 점을 찾아내는 활동이다.

4) 그림보고 묘사하기(Picture-Cued Description)

그림보고 묘사하기 방법은 주어진 일련의 그림을 보고 그 내용을 말하 는 방법이다. 면접 방법이나 대화를 통한 제한된 정보 찾기는 두 명 이상 이 대화를 하는 중에 평가를 하지만 그림보고 묘사하기 방법은 주어진 일 련의 그림을 피 평가자가 혼자 설명하므로, 어학 실습실 같은 곳에서 시험 을 실시하며 각자 테이프에 녹음을 할 경우 비교적 한 번에 많은 사람을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대화를 통한 평가가 아니므로 진정한 의미의 의사 소통 능력을 측정하는 데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5) 구두보고(Oral Reports)

구두보고는 구두보고 시 다른 학생들에게 질문하고, 의견에 동의하거나 반대하고 특정한 목적으로 듣기를 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발표자 뿐 아니 라, 듣는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는 평가 방법이다. 구두보고는 보고 자료의 준비 및 보고 시 발표 태도 등 언어외적 점수도 반영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6) 대화/설명 듣고 응답을 녹음하기

학생들은 미리 준비한 대화나 설명 녹음을 듣고 지시에 따라 답하고 그 내용을 어학실습실에서 녹음하여 이후에 교사가 평가한다.

박기화(1999)는 영어과 수행 평가 정착을 위한 토론에서 다음 세 가지 의 말하기 평가 방법을 제시했다.

첫째는 별도의 시험 기간을 두지 말고 수행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으로, 수업 중 의사 소통 활동이나 교수ㆍ학습 과제 등의 수행을 교사가 관찰하여 판단하게 한다는 것이다. 평가가 교육의 중요한 과정이며 수업 활동과 평가 활동이 분리될 수 없을 뿐 아니라, 학습자가 평가받는다는 사 실을 모르는 가운데 평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평가라는 점을 고려할 때 수업 중 관찰 평가는 이러한 조건에 가장 잘 들어맞는다. 이를 위해서 는 수행 평가를 전적으로 교사의 전문성에 일임할 필요와, 이에 대한 학생 과 학부모의 인식 전환이 요망된다.

두 번째는 수행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영어로 수업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행 평가가 실제 언어의 사용을 전제로 하므로, 수업 자체가 실제 언어사용이자 평가 도구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뜻에서의 제안이라고 생각 되지만 이에는 무리가 따른다. 교실에서의 상황이 전적으로 실제 상황 (real/authentic situation)과 같을 수는 없으며 어느 정도의 인위적인 통제 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자가 교육 과정의 성취 기준은 수행 가능 하나 교사의 설명이나 지시를 이해하지 못하여 성취 기준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평가는 참여 정도를 중심으로 실시하라는 제안인데, 언어 수 행 평가에 대한 지금까지의 논의에도 불구하고 이런 제안이 제시된 것은

우리나라 대입 실상과 평가의 객관성 문제를 고려한 결과라고 보여진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