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은 어떤 방법으로 말하기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는가에 대한 결론으로 면접 방법이 24.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 으로 대화를 통한 제한된 정보 찾기 20.9%, 구두보고 17.2%, 그림보 고 묘사하기 16.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행평가 도구를 살펴본 결과는 기준안에 의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는 교사가 72.4%로 가장 많았으 며, 다음으로 녹음기, 일일 기록장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연구 대상 자의 일반적 특성별로 알아본 결과 변인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 었다.

둘째, 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은 말하기 수행평가의 교육적 활용가치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결론으로는 영어 전체 성적에서 수행평 가가 차지하는 비율에 대해 수행평가가 30%이상 차지하는 학교가 31.3%로 가장 많았고, 40%이상 차지하는 학교도 25.3%에 달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수행평가 중에서 듣기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 장 많고 다음으로 말하기 평가가 차지하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 대부분이 수행평가가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 식하였으며, 80%이상이 수행평가의 결과를 기록하여 성적에 반영하 고 교수·학습 개선자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평가로 인한 교수방법의 개선이나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는 낮은 인식도를 보였으나, 수행평가의 확대실시에 대하여 높은 인식도를 보임으로써, 수행평가 결과의 교육적 활용가치가 높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은 말하기 수행평가를 실시하는데 있어서의 문 제점과 개선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결론으로는 먼저 문제점으로는 교사의 업무과다로 인하여 학생들의 평가가 제대로 이 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학급당 인 원수의 과다와 지필 고사 위주의 대학 입학 시험 등을 문제점으로 보았다.

아울러 이에 따른 가장 시급한 개선방안으로는 학급당 학생수의 감 축으로 적절한 학급당 인원으로 20명 이내가 가장 적당하다고 인식 하였으며, 학교·교실에 맞는 적절한 기준안 마련, 객관도와 신뢰도, 타당도가 높은 수행평가의 도구를 제작해야 한다고 인식한 교사가 각각 20%이상을 차지하였다.

이 연구의 설문 결과와 결론을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이 수행평가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면접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인식한 것은 수행평가의 방법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객관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은 말하기 수행평가 결과의 교육적 활용가치가 높다고 인식한 반면 여러 가지 문제점과 개선점이 많다고 응답한 것 에 비추어 볼 때 학급당 학생수의 적절한 조정과 교사의 잡무경감이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경기도내 영어전담 교사 304명으로 제한하여 연구하였으 나, 후속연구는 조사연구 대상을 전국에서 표집할 필요가 있다고 본 다.

넷째, 앞으로 고등학교 수행평가가 원활하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서는 영어교사 뿐만 아니라 관리자와 학부모 학생들의 인식변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교육부 (1997), 외국어과 교육 과정(I).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교육부 (1998), 수행평가의 이해. 교육홍보자료. 서울: 신일문화사.

김성숙, 남명호, 지은림(2000), 수행평가 - 이해와 적용 -. 서울: 문음사.

김숙영 (2001), 말하기 영역의 수행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숙, 최연희 차경애 외 3명 (1999), 영어과 교육론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문화사.

김재규 (2001), 영어과 수행평가 방법과 효과적인 적용에 관한 연구. 연세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진규 (1999), 수행평가의 실시현황 분석과 발전 과제. 한국교원대학교 교 과교육학술 세미나 자료.

대전교육과학연구원 (2000), 고등학교 수행평가의 실태분석 및 개선 방안:

영어과. 대전교육과학연구원.

문성수 (1999), 영어과 말하기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현장연구논문, 130-34.

박명애 (2001), 중등학교 영어과 수행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한준 (2000), 소집단 인터뷰를 통한 초등학교 영어 말하기 평가 모형 연 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배호순 (2000), 수행평가의 이론적 기초. 서울: 학지사.

백순근 (1999),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천 방안. 한국열린교육학회. ‘99 춘계 학술대회발표회 발표논문.

백순근 외 (1999), 고등학교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 가원.

________ (2000), 중등학교에서의 수행평가 정착 방안. 현장교육탐구보고 1,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행정연수원.

백순근 편 (1998), 중학교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원미 사.

석희선 (2000), 영어교과 교육론. 전주대학교 출판부.

손옥기 (2000), 중·고등학교의 수행평가 실태 조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신성철, 박의재, 이정원 (1999), 현대영어교육. 대전: 문경출판사.

심규남 (2000), 과제해결형 초등학교 영어 말하기 평가 모형 연구. 서울교 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오영규 (1999), 고등학교 공통영어의 수행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말임 (2001), 수행평가가 영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은현승 (1999),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 의한 수행평가 문항 모형 개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기수 (1999), 고등학교 공통영어 수행평가 계획 및 실제. 열린교육연구, 7(1), 333-50.

이길영 (2000), 21C의 영어교사, 무엇이 요구되는가? 영어교육연구, 12, 337-69.

이소영, 진경애 (1998),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고등학교 공통영어.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영식 (1999), 영어과 영역별 수행평가 유형 및 평가 기준표 개발 : 영어 말하기 시험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7(1), 245-65.

이완기 (1991), A Task-Based Approach to Oral Communication Testing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박사 학위 논문, 영국 맨체스 터대학교. 서울: 한신문화사. 137-41.

이찬규 (2000), 고등학교 수행평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양숙 (2001), 수행평가를 통한 중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신장 방안. 인 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연희, 권오남, 성태제 (1998), 열린 교육을 위한 중학교 영어·수학 수행 평가의 적용과 효과에 대한 분석 연구. 교육부 초등교육정책과 열 린 교육 연구 결과 보고서.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최연희 (2000), 영어과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대안적 평가의 제작-. 서 울: 한국문화사.

최윤경 (2000),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 준한 수행평가 방안 연구. 아주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진황 외 (2001), 영어교육학 신론. 서울: 문음사.

허경철 외 (1999), 수행평가 정책시행 실태분석과 개선 대책 연구. 연구보 고 CRE 99-2. 서울: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a), 고등학교 영어과 수행평가의 실제. 서울: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__________________ (1999b), 중학교 영어과 수행평가시행방안 및 자료개 발. 연구보고 CRE 99-1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Bachman, L. F. (1990),

Fundamental Consideration in Language Testing. Oxford: Oxfoord University Press.

Bachman, L. F. (1991), What does language testing have to offer?

TESOL Quarterly 25(4), 671-704.

Baron, M. A., & Boschee, F. B. (1995), Authentic assessment : The key

to unlocking student success. Pennsylvania : Technomic.

Blum, R. E. & Arter, J. A. (Eds.) (1996), A Handbook for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in an Era of Restructur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Virginia.

Brown, H. D. (1994),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Prentice Hall Regents. 267.

Brown, G. & Yule, G. (1983),

Teaching the Spoke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Bygate, M. (1987), Speak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Byrne, D. (1986), Teaching Oral English. Essex: Longman.

Canale, M. & Swain, M. (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Applied Linguistics, 1(1). 1-47.

Halliday, M. (1973), Explorations in the Functions of Language. London:

Edward Arnold.

____________ (1978), Language as Social Semantics. Edward Arnold.

Heaton, J. B. (1975),

Writing English language Tests.

London:

Longman.

Hughes, A. (1989),

Testing for language Teacher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ymes, D. (1972),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C. J. Brumfit and K. Johnson. (Eds). (1979).

The communicative approach to language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Lado, R. (1961), Language testing. London: Longman.

Morrow, K. E. (1979), Communicative language testing. In C. J. Brumfit

& K. Johnson(Es.), The communicative approach to language

teaching (pp. 1-13).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McCarty, M. (1991),

Discourse Analysis for language Teach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unan, D. (1989), Designing Tasks for the Communicative Classroo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_________ (1991), Communicative tasks and the language curriculum.

TESOL Quarterly 25(2). 279-95.

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 (1992), Testing in American Schools : Asking the Right Questions.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Stiggins, R. J.(1999), Evaluating classroom assessment training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18(1), 23-7.

______________ (1994),

Student-Centered Classroom Assessment.

New-York: Merrill.

Weir, C. J. (1990), Communicative Language Testing. Prentice Hall:

London.

__________ (1993), Understanding & Developing Language Tests.

Hertfordshire: Prentice Hall.

Widdowson, H. G. (1978), Teaching language as communic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_________________ (1979), Directions in the teaching of discourse. In C.

J. Brumfit and K. Johnson. (1979). The Communicative Approach

to Language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ABSTRACT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High School

English Department

Kim, Mi-Eun

Major in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high school English department.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made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and theoretical context by researcher.

This questionnaire has described at 304 high school teachers in Kyeonggi-do. So, data collected were male teacher 56.6%, female teacher 43.4%, in public and private high school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to get mean(M) and standard

deviation(SD).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response about how to do performance assessment, there were lots of how to interviews(24.8%), looking for an limited information through conversation(20.9%), oral reporting(17.2%), description to see the painting(16.7%).

Also,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that has being used now was checklist(72.4%), tape-recorder, and daily notebook. But to see individual teacher's factor on the practice subject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ere was not differences each factors.

Second, the teacher's perception in high school on the educational practical use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was generally perceived not as average level(31.3%). And listening part was more than any other parts. Also, most of the teacher were generally expected to get positive as averaged level.

And magnification execu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was generally satisfaction degree.

Third, What is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performing

assessment? In that question, to see individual teacher's factors on the conclusion was extension of business.

Next, in each class students was over staffed and one sided entering examination university.

In the educational efficiency, the male-teachers than female-teachers were generally expected to get positive in educational effect. In according to most of teachers were very expected to get positive in the extensional enforce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method of assessment, high school teachers were generally expected positive and satisfied.

In the extens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high school teachers were generally expected positive results.

In conclusion,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High School English Department” Satisfaction

degree of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are generally

satisfied level, the male teachers are generally being satisfied and

the female teachers are normal satisfied level. Those teachers

working for the small scale school have more satisfied than those

teachers in charge of class over classes.

【부 록】

고등학교 영어과 말하기 수행평가의 실태에 관한 질문지

안녕하십니까?

이제 2002학년도 고등학교 1학년부터 7차 교육과정이 적용되어 선생님들의 노고가 더욱 크실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렇게 급변하는 교육 환경 속에서도 교육발전과 학 생 교육에 헌신하시는 선생님께 진심으로 경의를 표하며 다음 몇 가지 부탁의 말 씀을 드립니다.

먼저 저는 국민대학교에서 영어교육을 전공하는 김미은입니다.

초면에 이렇게 서면으로 인사를 드리게 되어 대단히 죄송스럽게 생각하며 선생님 의 고견을 저의 이번 연구에 반영하고자 합니다. 부디 설문 내용에 답변을 해주시 어 보내주시면 본 연구에 소중한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하고자 하는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과 수행평가의 실태 및 교사인식에 관한 연구입니다.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하시면서 수행평가에 관한 많은 실태와 문 제점을 인식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선생님께서 응답하신 자료는 본 연구목적 이외에 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2002년 2월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김 미 은 올림

※ 답변하실 문항은 총 26문항입니다.

해당 사항에 “ Ⅴ ” 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1. 성별 : 1) 남___ 2)여___

2. 연령 : 1) 20대___ 2) 30대___ 3) 40대___ 4) 50대___

3. 교직경력 : 1) 5년 이하___ 2) 6∼10년___ 3) 11∼15년___ 4) 16∼20년___

4. 학교설립별 유형 : 1) 공립 ___ 2) 사립 ___

5. 학교소재지 : 1) 대도시___ 2) 중·소도시___ 3) 군·읍·면___

6. 학급규모: 1) 12학급 이하___ 2) 13∼18학급___ 3) 19∼24학급___ 4) 25학급 이상___

7. 출신학교별 : 1) 사범대학 졸___ 2) 비 사범대학 졸___

1. 말하기 수행평가 운영실태에 관하여(13문항)

1. 선생님께서는 현재 사용하고 계신 말하기 수행평가기법은 무엇입니까? (모두 선택) ____1) 면접방법(Oral Interview)

____2) 역할극( Role Play)

____3) 대화를 통한 제한된 정보 찾기(Information-Gap Activity) ____4) 그림보고 묘사하기(Picture-Cued Description)

____5) 구두보고(Oral Reports)

2. 선생님께서는 현재 사용하고 계신 말하기 수행평가 도구는 무엇입니까?

____1) 기준안에 의한 체크리스트 ____2) 일일 기록장 (관찰 노트) ____3) 녹음기 ____4) 비디오 카메라 ____5) 컴퓨터

3.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의 시행시기는 주로 언제입니까?

____1) 교수-학습활동 전 ____2) 교수-학습활동 후

____3) 교수-학습활동 중 ____4) 교수-학습활동과 병행하여 ____5) 그때그때 필요에 의해서

4. 선생님께서는 작년도 학기 당 말하기 수행평가를 몇 회 시행했습니까?

____1)1∼2회 ____2)2∼3회 ____3)3∼4회 ____4)4∼5회 ____5)5회 이상

5. 선생님께서는 학교에서 영어전체성적에 수행평가가 차지하는 비율은 얼마입니까?

____1)10% 이상 ____2)20%이상 ____3)30%이상 ____4)40%이상 5) ____50%이상

6. 선생님께서는 학교에서 영어수행평가에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평가가 차지하는 비율은 어느 정도입니까?

1) 듣기 ( ) % 2) 말하기 ( ) %

3) 읽기 ( ) % 4) 쓰기 ( ) %

7. 선생님께서는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와 관련하여 연수를 받으신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몇 회 정도입니까?

____1) 연수를 받은 적이 없다 ___2) 1∼2회 ____3) 2∼3회 ____4) 3∼4회 ___5) 5회 이상

8.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 도구(문항)개발을 어느 방법으로 하십니까?

____1) 개인적으로 개발하여 직접 작성 ____2) 동료교사와 협동하여 공동 작성 ____3) 개발된 도구를 그대로 활용 ____4) 개발된 도구를 재구성하여 활용 ____5) 타학교 교사들과의 모임을 통하여

9.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하실 때 가장 많이 참고하시는 자료 는 무엇입니까?

____1) 교과서 ____2) 일반 문제집이나 참고서 ____3) 수행평가 관련 서적 ____4) PC통신이나 에듀넷 등 인터넷자료 ____5) 외국저널이나 EBS 자료

10.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 문항 개발에 관한 자료를 얼마나 보유하고 계 십니까?

___1) 1∼3 개 ___2) 4∼6 개 ___3) 7∼10 개 ____4) 11∼15 개 ___5) 16개 이상

11.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 채점 기준표 작성은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

____1) 평가문항과 함께 작성한다. ____2) 평가 기준표를 작성한 후 보완한다.

____3) 학생들 답안을 들은 뒤에 작성한다. ____4) 가 채점후 작성한다.

____5) 작성하지 않는다.

12.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채점하여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 간은 대략 얼마입니까? (실시대상 전체학생을 기준으로 1회당)

____1) 5∼10시간 ____2) 11∼15시간 ____3) 16∼20시간

____4) 21∼25시간 ____5) 26시간 이상

13.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의 결과 처리를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

____1) 결과 기록 및 성적에 반영 ____2) 교수·학습 개선 자료(피드백) ____3) 교육과정 및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____4) 학생의 학습동기 강화 ____5) 학습결과 확인

Ⅱ. 말하기 수행평가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하여 (13문항)

1. 선생님께서는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말하기 평가기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____1) 면접방법(Oral Interview) ____2) 역할극( Role Play)

____3) 대화를 통한 제한된 정보 찾기(Information-Gap Activity) ____4) 그림보고 묘사하기(Picture-Cued Description)

____5) 구두보고(Oral Reports)

2. 선생님께서는 학생들이 가장 부담스러워하는 말하기 평가기법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

____1) 면접방법(Oral Interview) ____2) 역할극( Role Play)

____3) 대화를 통한 제한된 정보 찾기(Information-Gap Activity) ____4) 그림보고 묘사하기(Picture-Cued Description)

____5) 구두보고(Oral Reports)

3. 선생님께서 말하기 평가기법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시는 것부터 우선 순위 대로 3개를 골라 1, 2, 3으로 답해 주십시오.

____1) 면접방법(Oral Interview) ____2) 역할극( Role Play)

____3) 대화를 통한 제한된 정보 찾기(Information-Gap Activity) ____4) 그림보고 묘사하기(Picture-Cued Description)

____5) 구두보고(Oral Reports)

4.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 문항작성을 위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1) 매우 그렇다 ____2) 대체로 그렇다 ____3) 보통이다 ____4) 조금 그러하지 못하다 ____5) 매우 그러하지 못하다

5.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가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1) 매우 그렇다 ____2) 대체로 그렇다 ____3) 보통이다 ____4) 조금 그러하지 못하다 ____5) 매우 그러하지 못하다

6.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 시 모둠별로 채점하는 경우 모둠원 모두에게 동일 점수를 부 여하는 것에 찬성하십니까?

____1) 매우 그렇다 ____2) 대체로 그렇다 ____3) 보통이다 ____4) 조금 그러하지 못하다 ____5) 매우 그러하지 못하다

7.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를 통해 교수방법이 개선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1) 매우 그렇다 ____2) 대체로 그렇다 ____3) 보통이다 ____4) 조금 그러하지 못하다 ____5) 매우 그러하지 못하다

8.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이 실제로 향상되 었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1) 매우 그렇다 ____2) 대체로 그렇다 ____3) 보통이다 ____4) 조금 그러하지 못하다 ____5) 매우 그러하지 못하다

9. 선생님께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말하기 수행평가가 확대 실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____1) 매우 그렇다 ____2) 대체로 그렇다 ____3) 보통이다

____4) 조금 그러하지 못하다 ____5) 매우 그러하지 못하다

10.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가 녹음자료 등을 통해 근거를 남겨야 한다고 생 각하십니까?

____1) 매우 그렇다 ____2) 대체로 그렇다 ____3) 보통이다 ____4) 조금 그러하지 못하다 ____5) 매우 그러하지 못하다

11.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 십니까?

__1) 수업진도, 과외활동, 평가업무의 과다로 인해 평가가 소홀해지고 형식에 치우치게 된다.

__2) 학급당 인원수의 과다로 평가의 많은 시간 요구와 성적 처리가 복잡하여 노력 소모가 많다.

__3) 교사의 주관적 판단이 많이 작용하여 평가의 객관성과 정확성이 떨어진다.

__4) 지필 고사 위주의 대입시험으로 말하기 수행평가는 암기위주로 될 수밖에 없다.

__5) 평가 실시를 위한 시설 및 설비의 부족이나 수행평가 자료 보관의 어려움이 있다.

12. 선생님께서는 말하기 수행평가의 실시상의 개선 방안 중 우선 순위대로 3개를 골라 1, 2, 3으로 답해 주십시오.

____1) 학교, 교실 상황에 맞는 말하기 수행평가 기준안을 마련해야 한다.

____2) 객관도, 신뢰도가 높은 말하기 수행평가 도구를 제작해야 한다.

____3) 말하기 수행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수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____4) 교사 1인당 학생 수를 줄여야 한다.

____5) 말하기 수행평가와 관련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어야 한다.

13. 선생님께서는 현장 경험으로 볼 때, 말하기 수행평가를 본래의 취지대로 시행 하기 위해서 학급 인원은 어느 정도가 적절하다고 생각하십니까?

___1) 20명 이내 ___2) 20∼25명 ___3) 25∼30명 ___4) 30∼35명 ___5) 35∼40명

* 질문 내용은 여기서 끝입니다. 끝까지 성실하게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