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말하기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2.1 말하기 능력의 중요성

언어의 지식뿐만 아니라 언어의 사용능력까지도 연구대상으로 삼은 Widdowson(1979), Chomsky의 이론을 비판, 발전시켜 의사소통능력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제안한 Hymes(1972), Chomsky 의 이론을 부정하고 기능 적, 사회언어학적 접근을 시도한 Halliday(1978), 의사소통능력을 네 개의 하위 능력으로 다시 분류하여 제시한 Canale & Swain(1980), 언어를 의사 소통 능력으로 설명한 Bachman(1990) 등의 연구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은 언어를 이해하는데 있어, 언어에 대한 지식과 더불어 실제 생활에 서 의사소통을 하는데 요구되는 사용 능력을 중시하고 강조하고 있다는 점 이다(심규남, 2000).

Brown & Yule(1983)은 말하기의 기능을 발화의 목적이 정보의 이동 과 관련된 처리 기능(transactional function)과 사회적 관계를 유지 발전시 키는데 관련된 상호 작용 기능(interactional function)의 두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정보 처리 기능의 말하기는 그 목적에 따라서 기본적으로 전달하려는 내용 중심으로 발화가 일어나고, 상호 작용 기능은 대인관계를 위한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발화의 중심이 된다.

Byrne(1986)은 구두 의사소통의 본성은 화자와 청자간에 양방향으로 진 행되는 과정으로서 말하는 발화적 기능과 이해하는 수용적 기능을 포함하 게 됨을 지적하였고, Widdowson(1979)은 언어기능과 의사 소통 능력의 개 념에 대해 언어 기능은 말로 표현하는 기능만을 말하며, 의사 소통 능력은 의사 소통 상황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한편, Bygate(1987)는 말하기를 운동 신경 인지 기능과 상호 작용적 기능으로 나누었는데, 상호 작용 기능은 언어의 구조와 소리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운동 신경 인지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Nunan(1989:27, 1991:42)은 말하기의 기능을 기본적으로 혼자 말하기와 대화하기로 구분하고 여러 명의 듣는 사람 앞에서 주어진 주제에 대하여, 단절되지 않는 발표를 하는 능력은 두 사람 이상이 정보를 주고받거나 인 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것과는 분명히 다른 기능이며 학습과 연습을 통해 서만 길러질 수 있다고 보았다.

McCarthy(1991:136-137)는 말하기를 기본적으로 듣는 사람이 필요로 하는 내용을 말하여 결과적으로 듣는 사람의 구체적인 행동에 영향을 주거 나 듣는 사람이 현실적으로 어떤 일을 하게 만드는 정보 교환 기능과 사회 적 관계의 윤활유로서 정보의 교환보다는 사람과 사람간의 사회적 관계와 역할을 성립·유지·공고히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인간관계 유지 기능 으로 나누었다.

2.2 말하기 평가의 어려움

말하기는 언어평가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위치에 있으나 그 기능이 갖는 복잡한 특성으로 인하여, 의사소통 능력 평가의 영역 중 타당성과 신 뢰도를 갖추고 실제로 실시하기에 용이하게 평가를 구안하는 것은 가장 힘 들고 어려운 일이다(Brown, 1994:267).

말하기 기능을 정확히 평가한다는 것은 지극히 어려우며, 게다가 평가 의 준비, 관리, 채점하는 일이 힘들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 기능의 평가와도 중복된 경우가 많으므로 어느 면으로 보아 복합기능임에 틀림이 없다1) 이완기(1991:137-141)는 한국에서의 의사 소통 능력 평가의 어려움을

1) Harris 1969:81; Hughes 1989:114; 김민주 1991:217.

타당성 측면에서의 어려움, 신뢰도 확보의 어려움, 실용성의 문제 등 세 가 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Heaton(1975: 88-89)은 말하기 능력의 평가는 언어 평가의 가장 중요한 측면임을 전제하면서도, 객관성 있는 직접 평가 를 하기에 매우 복잡한 기능이므로, 흉내내기와 반복하기 같은 기초 수준 을 뛰어넘는 단계의 말하기를 평가하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기술임을 밝히 고 있다.

말하기 평가의 내적인 문제는 평가과제를 평가 취지에 맞고 평가 의도에 부합하는 대표성 있으며 동시에 수험자의 수준에 맞게 설정해야 한다는 것 과, 설정된 과제가 학생들의 진정한 말하기 능력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Hughes, 1989:101). 또한 평가과제는 뚜렷한 목적과 함께 실제 맥락을 제공해야 하며, 수험자에게 재미를 느끼 게 하고 동기를 유발하여 그 결과로 수험자의 상호작용을 촉진시켜 긍정적 인 역류효과(wash-back effect)2)를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Weir, 1990:73-74).

평가의 외적인 문제로는 평가를 하기 위하여 학생 개인 당 소요되는 시 간의 양이 많고 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평가 계획의 수립도 현실적으로 어 렵다는 사실이다(Muller, 1987:126). 말하기 시험은 다수의 수험자가 동시에 평가에 참여하지 못하고 소수의 인원이 일정한 시간을 갖고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며 평가자가 수험자와 같은 시간, 같은 공간에서 실시되므로 일반적인 교실을 사용하기도 어렵다. 또한 평가자는 주어진 시 간 한도 내에서 수험자의 말하기 능력을 판단해야하므로 최대한 빨리 평가 하게 되고 대개의 경우 평가 후 점검을 위해 녹음기 등 보조장치의 도움을 받아야하는 어려움이 있다(Heaton, 1988: 88-89). 그러나 무엇보다도 말하

2) 교수과정에서 유용한 feedback의 개념을 Hughes(1989)는 역류효과라고 부르는

데 이것은 교수와 학습과정에 평가가 미치는 효과(“effect of testing on

teaching and learning"(p.1)를 의미한다.

기 평가를 어렵게 하는 것은 어떻게, 어떤 기준으로 , 누가 채점하느냐에 따른 신뢰도에 대한 문제이다(Weir, 1990:73-74). 말하기 평가는 다른 기능 시험과 달리 평가자인 사람이 채점을 하므로, 주관적인 판단이 채점 결과 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평가자가 두 명 이상일 때에는 평 가자간의 신뢰도 유지의 문제가 있으며 동일한 평가자 내에서도 채점하는 시기에 따라 같은 사람을 다르게 평가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것이다. 따 라서 평가자에 대한 훈련도 필요하다.

2.3 말하기 수행평가의 방법

2.3.1 말하기 수행평가 작성 원리

말하기 평가 과제를 작성하기 위해 먼저 평가의 타당도, 신뢰도, 실용 성, 역류 효과와 실생활에서의 의사 소통과의 연계성을 고려해야 한다3). 아울러 다음 사항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김영숙 외, 1999:628-629).

1) 말하기 과제는 교과서 내용을 반영하되 단순한 암기가 아닌 피험자 자 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한다.

2) 실생활에서의 언어 사용과 유사할 수 있도록 특정 목적을 위한 발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평가 과제를 구성한다.

3) 피험자의 실생활, 흥미, 인지 및 정서적 수준, 문화적 배경 등을 고려하 여 과제를 작성한다.

4) 담화 수준의 말하기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3) Lado(1961)는 타당도, 신뢰도, 실용성 이외에 검사 결과를 점수화하는 데에 있

어서의 간편성(scorability),경제성(economy), 그리고 시행 처리의 용이성

(administrability)을 평가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들고 있다.

5) 조별 과제인 경우, 조 구성은 피험자들 스스로 결정하도록 한다. 왜냐하 면 서로 잘 아는 조원들과 과제를 수행하면 평가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줄어들어, 좀더 일관된 언어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6) 평가 이전에 미리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지게 함 과 동시에 피험자 스스로 자신의 말하기 능력을 평가해보고 과제 수행 을 준비하도록 한다.

최연희(1999)는 Morrow(1979), Heaton(1988), Weir(1990), Bachman(1991) 이 제시한 의사소통적 언어 평가의 특성을 종합하여 11가 지를 소개하고 있으며 이것에 대해 이완기(1995: 46-48)는 의사 소통 능력 의 평가가 갖추어야 할 요건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언어 사용 행동을 평가한다. 둘째, 직접적인 평가 방법을 사용한다. 셋째, 통합적으로 평가한다. 넷째, 절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한다. 다섯째, 주관적으로 평가 한다. 여섯째, 학생이 실제 사용할 내용을 평가한다. 이와 같은 요건들은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말하기 평가 문항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반드 시 고려해야 할 요소라 할 수 있다.

2.3.2 말하기 수행평가의 방법

영어과 말하기의 특징은 어떤 명제, 사실, 생각을 서로 교환하되, 의사 소통 시 화자와 청자간에 의미의 협상을 요구한다. 말하기 기능은 크게 communicative language function 과 academic language function으로 나 눌 수 있으며, 전자에 속하는 의사소통기능으로는 인사하기, 요구하기, 정 보 묻고 답하기 등이 있으며, 후자에 속하는 의사소통기능으로는 설명하기, 묘사하기, 비교하기, 토론하기, 평가하기 등이 속한다. 이러한 말하기의 언

어 기능의 특징에 비추어 볼 때에 말하기 평가의 방향은 실제적인 커뮤니 케이션 상황에서 학생들이 대화의 의미를 파악하고 전달하는 능력을 평가 하되 대화의 자연스러움과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하여 정확도와 유창도를 채점 기준의 근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4). 대표적인 말하기의 수 행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대전교육과학연구원, 2000:37-38).

1) 면접방법(Oral Interview)

면접방법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주제나 task를 주고 interview를 하는 방법으로서 수행 단계 따라 난이도가 틀린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의 performance를 채점 기준표에 의거하여 채점하는 방식이다. 면접 방법은 훈련된 평가자와 평가자간 신뢰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나 학급단위에서 교사가 충분히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oral interview를 할 때에 는 녹음 테이프에 녹음을 하거나 비디오 촬영을 하기도 하지만 반드시 요 구되어지는 사항은 아니다.

2) 역할극( Role Play)

역할극은 채점 기준표의 수준에 맞는 여러 가지 역할카드를 준비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역할을 수행하게 한 뒤 채점 기준표를 사용하여 채점한 다. 역할극은 두 명이 함께 하거나 한 명이 할 수 있다. 각 수준에 맞는 다 양한 역할 카드를 준비하여 처음에는 낮은 수준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높은 수준의 역할 카드를 제시하여 수행하게 한 후 채점 기준표를 따라 채 점한다.

4) 낱말 발음하기, 소리내어 읽기, 문장 반복하기 등도 발음중심의 직접 평가로 활

용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비맥락적 평가는 지양되고 있는 추세이다(김

영숙 외, 1999, p.628).

3) 대화를 통한 제한된 정보 찾기(Information-Gap Activity)

대화를 통한 제한된 정보 찾기 활동은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

대화를 통한 제한된 정보 찾기 활동은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