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결과 및 해석

2.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상담을 받은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하여 자아개념 전체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므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이 자아개념 향상을 위하여 매우 효과 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집단상담을 받은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하여 자아개념 하위요인(신 체적 자아, 사회적 자아, 인성적 자아, 학업적 자아) 4개의 영역모두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므로 집단상담은 자아개념 하위요인을 향 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보아 집단상담은 아동들로 하여금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지도록 하여 원만한 대인관계와 자기성장을 도모하도록 하며, 정신 건강을 증진시켜 학교 생활에서 좀더 능동적이고 생산적인 인간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된다. 결론적으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긍정적인 자아개념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추후의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 중에서 자아개념이 낮은 아 동들을 대상으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가정환경, 성격 등 아동의 제반 특성에 따라 적용효과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일반화 가능성이 높아 질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상담이 종료되는 날 얻어진 결과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난 뒤에까지 그 결과가 지속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 가 있어야겠다.

참 고 문 헌

김교육(1993).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어린이의 자아개념형 성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동주(1987). 만남의 집단경험이 고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여옥(1982). 심성계발 프로그램 Ⅰ·Ⅱ, 서울 : 배영사.

박진선(1998). 특수목적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 개념 수준과 스트레스 경 험 및 대응 행동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현한(1990).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긍정적인 자아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은희(1987). 심성계발훈련이 부적응 아동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풍연(1991). 심성계발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인섭(1989). 인간심리와 자아개념. 서울 : 양서원.

심후섭(1988). 자기 주장훈련이 아동의 우울 성향, 주장행동, 귀인성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 석사학위논문.

윤희준(1983). 현대생활 지도론. 서울 : 교육과학사.

윤희준(1984). 수업풍토와 아동의 자아개념과의 관계연구, 고려대 박사학 위 청구논문.

이관용(1987). 성격이론.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이상희(1985). 부모와 자녀간의 애정 관계가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성현(1997). 자기표현 훈련이 소극적인 아동의 자기 개념 형성 및 사 회성에 미치는 효과.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승구(1984). 주장훈련이 여중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완구(1983). 아동 심성계발 프로그램. 서울 : 배영사.

이장호(1983). 상담 심리학의 입문. 서울 : 박영사.

이장호(1998). 집단상담 프로그램. 서울 : 배영사.

이장호, 김정희(2001).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 법문사.

이준용(1985). 심성계발 프로그램을 통한 학급사회의 피배척자에 대한 인성 지도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형득(1979).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이형득(1992). 인간관계 훈련의 실제. 서울 : 중앙적성연구소.

이형득, 윤홍섭(1979). 자기성장을 위한 학습프로그램. 계명대학교 학생 생활연구소.

이훈구(1984). 성격심리학. 서울 : 법문사.

이휴성(1988). 소집단상담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원식(1989). 교육 심리학, 서울 : 교육출판사.

정종진(1996). 자아개념 진단검사 초등학교 4,5,6,학년용 실시요강, 서울 : 한국적성연구소.

진기정(1994). 인성 교육을 위한 지도자료. 서울: 서울시교육연구원.

최혜림,장성숙공역(1993).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하나의학사

Allport, G. W. (1961). pattern and growth in Personality. New York : henry Holt.

Cmobs, A. w. & Snytgg, D.(1959). Individual Behavior, 2nd. New York : Harper & Raw Publishers.

Colley, C . H.(1902). Human Nature and The Social Order. New York : Scribner

Gazda, G..C(1971), Group CounSeling : Adevelopmental Approacn Boston : Allyn and Bacom.

HanSen. J, C(1976)Group Counseling : Theory and Process Chicago : Rand.

Hartmman(1983).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The Self _ Worth.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New York: Wiley.

Hilgard(1949)

Hurlock ,E .B.(1974), personality Development, N. Y : Mcgraw-Hill.

James, W. (189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2. New York, : Henry Holt.

Lazarus, A. A.(1971). Behavior Therapy and Beyond. New-Yew : McGraw-Hill.

Mahler, C. A(1969).Mind, Group counseling in the school. Boston : Hough Mifflin

Marsh. H.W. (1996). Self - Description questi : onnaire -Ⅱ. The Psychogical Corporation Harcourt Brace JovanoVich.

Mead, G. H.(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 university Chicago Press.

Raimy, V. C.(1948). Self-reference in counseling interview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2.

Rogers, C. R.(1951), Client Centered therapy. Boston : Houghton Miffin.

Company, 483-498.

Shavelson, R, J. Hubner J. J. & Stanton , G.C.(1976). Self-concept : Validation

of Construct Integration. Review of Educational of Research, PP.46, 407-441.

song, I. S.(1982), The Dimentional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Home Environment,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rement.

unpublished ph, D. Thesis, University of New England.

Symonds .P, M.(1951). The Ego and The Self, New : Appleton.

ABSTRACT

The Impact of Group-Counseling Program on the Change of Passive Child Self-Concept

Kim, Jinhyu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00kmin University

Adviesd By Prof. Rhee, Ki-j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group-counseling program could improve the self-concept of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ho are poor at self-concep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First, does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group counseling gain a higher total grade in self-concept than it did before?

Second, does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group counseling gain a higher grade in self-concept subfactors than it did befo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5 six graders in D elementary school in Daebang-dong, Dongjak-gu, Seoul. After a self-concept group test was conducted, 52 students(20%) who were poorer at self-concept

were selected, and then 24 children who wanted to be involved in the program were divided into a 12-member experimental group and a 12-member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Yun Hui-jun(1984)'s child self-concept diagnosis test. And three different programs were reorganized by this researcher for use in this study: Jin Gi-jeong(1984)'s mentality training guide for personality education, Kim Li-ok(1982)'s mentality development program I and II, and Yun Heung-seop and Lee Hyeong-deuk(1979)'s group-counseling program for self-growth.

The experimental group took group counseling in 12 sessions for six weeks, twice a week, and no action was taken for the control group.

When the group counseling finished, the self-concept posttest was carried out in both groups at a different time.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were analyzed with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when both test results were analyzed, there appeared a significant gap at the p<.01 level of significance(t=-19.84), and the mean difference was 35.67. Therefore, the group counseling had an effect on improving the self-concept total score of the elementary schoolers who were poor at self-concept.

Second, when both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self-concept subfactor, the mean differences of physical ego, social ego, personality ego and academic ego were respectively 9.00, 9.25, 7.00 and 10.41(t=-7.28, -11.86, -6.89 and -9.87).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at the P<.01 level of significance. Accordingly, the group-counseling program served to positively change the poor four self-concept subfactors of the elementary schoolers, including physical ego, social ego, personality ego and academic ego.

Therefore, the group-counseling program was greatly effective for the children with poor self-concept, among the six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부 록

부록 1 자아개념 진단검사

부록 2 집단상담 프로그램

부록 3 집단상담 참가 희망서

부 록 1

자아개념 진단검사

어린이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이 검사는 여러분이 평소에 자신(나)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어떤 사람이라고 느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검사입니다. 여 러분이 생각하고 있는 정도와 일치하는 번호에 ○ 표를 해 주십시오.

다만 여러분이 생각하고 느끼는 그대로만 대답하면 됩니다. 여러분의 응답은 절 대 비밀이 보장됩니다. 이 검사는 여러분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자료로만 사용됩니 다. 모든 문항에 빠짐없이 성의 있게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 )초등학교 ( )학년 ( )반 (남, 여) 이름 ( )

<보 기>

아니다 아닌편이다 그런편이다 그렇다

1. 나는 몸집이 뚱뚱하다. ① 2 3 4

2. 나는 무슨 음식이든지 잘 먹는다. 1 2 ③ 4

<주의사항>

1. 학교. 학년. 반 번 이름 남, 여. 등을 잊지 말고 적어 주세요 2. 한 문제에 하나의 번호에만 ○ 표를 하십시오

3. 대답한 것을 고칠 때에는 먼저의 답은 지우고 다시 ○표를 하십시오 4. 한문제도 빠짐없이 답해 주십시오.

5. 말의 뜻이 어려우면 선생님께 질문하십시오 2001 년 7 월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김 진 현

문 항 아니다 아닌 편이다

그런

편이다 그렇다

1. 내 몸집은 튼튼하고 보기좋게 생겼다. 1 2 3 4

2. 나는 친구들과 놀이를 하면 늘 이긴다. 1 2 3 4

3. 나는 다른 아이들과 잘 어울린다. 1 2 3 4

4. 부모님은 나에게 늘 친절하게 대해 주신다. 1 2 3 4

5. 나는 한 가지 일에 집중할 수가 있다. 1 2 3 4

6. 나는 늘 즐겁게 공부한다. 1 2 3 4

7. 나는 모든 과목에 공부를 잘 한다. 1 2 3 4

8. 나는 책을 또박또박 빨리 읽는다. 1 2 3 4

9. 내 얼굴은 예쁘고 잘생겼다. 1 2 3 4

10. 나는 운동을 두루 잘한다. 1 2 3 4

11. 나는 친한 친구들이 많다. 1 2 3 4

12. 나는 부모님과 늘 즐겁게 지낸다. 1 2 3 4

13. 나는 늘 마음이 즐겁고 편안하다. 1 2 3 4

14. 나는 무슨 일이든지 잘 해낼 것 같은

기분이 든다. 1 2 3 4

15. 나는 머리가 좋고 똑똑한 편이다. 1 2 3 4

16. 나는 셈하기를 잘한다. 1 2 3 4

17. 나는 전국 어느 어린이와 겨루어도 공부

에 이길 수 있다. 1 2 3 4

18. 나는 친구들에 비해 잘생긴 편이다. 1 2 3 4

19. 내 몸은 튼튼하다. 1 2 3 4

20. 나는 어린이들이 나를 친구로 사귀려한다. 1 2 3 4

문 항 아니다 아닌

문 항 아니다 아닌

문 항 아니다 아닌 편이다

그런

편이다 그렇다

61. 나는 몸을 튼튼히 하는 좋은 버릇이 있다. 1 2 3 4

62. 친구들은 나를 인정많은 어린이로 여긴다. 1 2 3 4

63. 나는 선생님과 이야기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1 2 3 4

64. 나는 수줍어하거나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1 2 3 4

65. 나는 스스로 씩씩한 어린이라고 생각한다. 1 2 3 4

66. 나는 공부를 잘해 스스로 기특한 어린이

라고 생각한다. 1 2 3 4

67. 나는 글짓기를 잘한다. 1 2 3 4

68. 내 몸맵시는 남들이 보기 좋다고 한다. 1 2 3 4

69. 가벼운 병은 이겨낼 정도로 내 몸이 단련

되어 있다. 1 2 3 4

70. 나는 친구들 마음을 늘 즐겁게 한다. 1 2 3 4

71. 우리 집안의 어른들은 나를 좋아한다. 1 2 3 4

72. 나는 앞으로 공부를 잘해서 성공할 것이 라고 믿는다.

1 2 3 4

부록 2

집단상담 프로그램

2회기 나는(너는) 누구인가

진행절차 참 고

3회기 최근에 있었던 일

4회기 원안에 뛰어들기

5회기 우리 집 자랑

6회기 장 님 안 내

7회기 내 생애 최고의 멋

8회기 역 할 극

9회기 함께 토론하기

지도덕목 사회성(사명감, 근면성), 창조성

10회기 생 애 설 계

11회기 우리의 성장

12회기 나는 이런 사람이 되련다

부록 3 집단상담 참가희망서

프로그램명 : 집단상담프로그램

프로그램명 : 집단상담프로그램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