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재생과 도시 브랜딩의 관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2-47)

I. 서론

3. 도시재생과 도시 브랜딩의 관계

살린 다리로, 커다란 아치 형태의 디자인 또한 독특하다. 사람과 자전거만 통행 이 가능하고, 다리보다 높은 배가 지나갈 때는 양쪽 끝 축을 중심으로 40도 각 도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배가 지나갈 수 있는 높이를 확보해준다. 이러한 모습은 마치 눈이 윙크를 하듯 움직이는 형상으로 ‘윙크하는 다리’ 혹은 ‘깜박이는 다리’

로 유명하다. 그리고 밀레니엄 브리지를 통해 게이츠헤드 시와 인접한 뉴캐슬 지 역을 물리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도시민들의 원활한 소통을 시도했다. 이렇듯 밀 레니엄 브리지는 단순히 기능적 요소뿐 만 아니라 미적 요소와 더 나아가 주변 환경이 잘 어우러져 있다.28) 이러한 장소의 개발은 지역 경제의 활성화 및 세계 적인 문화예술도시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리고 게이츠헤드 시는 “소장품 없는 21세기 미술관”이라는 추진전략으로 재해석하여 그 도시만의 독특한 이미지를 형성했다. 그리고 시민을 위한 갤러리와 작가들이 새로운 창조활동을 할 수 있는 작업실, 전망 공간, 어린이를 위한 교육 공간, 다양한 문화예술 참여 프로그램 등 시민을 위한 문화서비스를 창출하여 다른 미술관과 확연하게 차별성을 두었 다. 이러한 게이츠헤드 시는 성공한 도시재생으로 인한 새로운 일자리와 수입창 출은 경제 활성화를 이루었다. 뿐만 아니라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그 도시에 대한 홍보효과를 거두었다. 이렇듯 성공적인 문화예술 도시재생은 도시 브랜딩으로 가 는 과정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표-11>은 원제무(2011)의 저서 ‘창조도시 예감’을 토대로 도시 브랜딩 프로세스를 영국의 게이츠헤드 시 사례로 연구자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게 이츠헤드 시의 주요한 컨셉은 성공적인 문화예술 도시재생으로 이끌었다. 이는 도시 브랜드를 구축하여 사람들의 기억에 남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도 시 이미지를 각인시켰다. 그리고 발틱 현대미술관과 세이지 음악당은 다양한 전 시와 교육 및 문화 참여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진행함으로써 융 복합 교육 및 실 험적인 문화예술 프로젝트를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도시민들 의 정체성, 즐거움, 심미성29)을 충족시켜 줌으로써 성공적인 문화적 공동체를 창 조하였다. 또한 발틱 현대미술관은 신인작가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레지던스 프로 그램을 운영하여 예술가들 간의 교류의 장, 그리고 예술가와 시민이 소통하는30)

28)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 2018.09.02. am.2:51 29) Op.cit, p.244.

네트워크가 잘 형성된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도심내의 문화예술 시설들이 서로 가깝게 위치함으로써 시민들이 편리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렇듯 도시의 환경적 경제적 생활 문화적 자원은 문화예술의 차별화와 도시 브 랜딩의 중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도시 브랜딩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자 의 관점은, ‘도시재생과 도시 브랜딩은 세계도시로 가는 형성과정’이라고 주장한 다.

<표-11> 도시 브랜딩 프로세스

※원제무(2011), 창도도시 예감 , p.245를 토대로 연구자 관점에서 재정리함

30) Op.cit, p.1041.

<표-12> 세계도시로 가는 형성과정

이러한 관점을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도 파악할 수 있다.

선행연구자 Friedmann(1986)에 의하면 ‘세계도시(world city)’개념은 세계화에 따른 자본축적의 기점으로 제시하고, 도시를 중심으로 세계경제의 변화를 분석한 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선행연구자 King(1990)은 세계도시에 대해 법률, 금융, 보험, 기업서비스, 회계, 광고 등에 종사하는 고소득계층을 양산하고, 다른 한편 으로는 저급 저임금의 건물관리, 청소, 사무, 판매, 가사, 호텔, 식당 등의 직종에 있어 거대한 수요를 창출한다31)고 주장했으며, 이러한 세계도시 개념은 Sassen(1991)의 글로벌 시티(global city)로 발전되고, Friedmann(1995)에 따르면, 세계시민주의(cosmopolitanism)와 소비주의적인(consumeristic)문화는 세계도시로 연결된다고 주장한다. 세계시민주의는 세계의 다양한 문화(요리, 축제, 라이프스 타일)를 수용하는 태도32)를 말한다. 따라서 세계도시는 동일한 세계문화를 공유

31) King Anthony(1990), Global Cities: Post-Imperialism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London, p.28. 김준우(2003), 「세계도시의 문화적 특성: 한국도시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 Vol.5 No.1 p.108. 재인용

32) 김준우(2003), 「세계도시의 문화적 특성: 한국도시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 Vol.5 No.1 pp.108-110.

한다.

그 외에도 세계도시에 관한 선행연구는 다양하게 지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Taylor(2004)의 세계도시 네트워크(world city network), 권규상(2018)의 세계도시 의 형성에 있어서 영향33)에 관한 연구 등이다. 연구자는 이와 같이 도시 브랜딩 은 세계도시로 가는 형성과정임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다음 3장에서는 도시 브랜딩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33) 권규상(2018), 「세계도시 네트워크에서 위치 찾기: 네트워크 위치성과 도시 경제성장 간 관계 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 Vol.21 No.1, pp.19-20.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