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학도서관 정보공유공간 분석 1. 정보공유공간의 의의

문서에서 제 2 회 대학(원)생 도서관 선진화 (페이지 33-44)

연구자들은 연구를 시작하기에 앞서 본 연구의 핵심인 정보공유공간과 도서관 이용률에 관한 조작적 정의를 내릴 필요가 있다.

우선, 본 연구에서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이라 함은, 도서관의 정보와 인력을 바탕으로 참고서비스와 정보기술을 결합하여 이용자들의 연구와 학습을 지원하는 통합이용자 서비스 공간을 말한다. 즉, 한 장소에서 연구 및 과제와 관련된 모든 작업을 수행하며, 연구와 과제해결에 있어 협력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공간이다. 즉, 도서관의 정보와

인력을 바탕으로 참고서비스와 정보기술을 결합하여 이용자들의 연구와 학습을 지원하는 통 합이용자 서비스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2)

또한, 본 연구에서 도서관 이용률이라 함은 이용자들이 도서관을 물리적으로 방문하는 빈도를 의미한다. 정보공유공간이 확장됨으로써 이용자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도서관 통계와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공유공간의 확장이 도서관 이용률 간의 상관관계를 찾아내고자 한다.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연구는 국외에서 특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1990년대 초 미국 대학도서관에 도입되기 시작한 정보공유공간은 약 15년의 기간을 거치면서 점차 대학도서관의 공간 활용 및 서비스에 있어서의 새로운 모델로 정착되어가고 있다. 또한, 1992년 Iowa 대학 도서관에 ‘Information Arcade’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치된 이래로 도입 및 확장하는 대학도서관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효과에 대한 성공 사례도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정보공유공간 설치 전후 이용자들의 도서관 이용률 증가를 비교한 조사에 따르면, Westminster대학 Giovale도서관의 경우 약 20%3), Indiana 대학도서관의 경우 약 20%, Iowa 대학도서관의 경우 약 15%4), New Orleans의 Loyola 대학도서관의 경우 13.8%5), 그리고 Western Ontario대학의 King's College 도서관의 경우 1997년 Information Commons 설치 이후 420%의 기록적인 이용률 증가를 보이고 있다.6)

그러나 국내의 경우 2000년대 들어 새롭게 도서관을 신축하거나 증 ․ 개축하는 대학도서관 을 중심으로 디지털 정보의 활용을 위한 서비스의 제공과 도서관 자료의 통합적 사용을 통한 학습 및 연구공간을 전면에 배치하는 경향들이 나타나고 있지만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소개와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7) 서강대학교 사서인 정재영의 연구가 거의 유일하다.

2) 정재영(Jae-Young Chung). 2007. “대학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정보공유공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70-71.

3) Chuck Malenfant, “The information Commons as a Collaborative Workspace,” Reference Service Review, Vol.34, No.2(2006), p.282.(정재영(Jae-Young Chung) 2007, 67-87).

4) Andrew Richard Albanese, “Campus Library 2.0,” Library Journal, Vol.129, No.7(April 2004). pp,32-33.

(정재영(Jae-Young Chung) 2007, 67-87).

5) Andrew Richard Albanese, “Deserted No More,” Library Journal, Vol.128, No.7(April 2003), pp.34-36.

(정재영(Jae-Young Chung) 2007, 67-87).

6) “King's College Library Wins Award,”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Vol.59. No.3(March 1998).

pp.150-151.(정재영(Jae-Young Chung) 2007, 67-87).

7) 정재영(2007), 대학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정보공유공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 학회지󰡕, 제38권 제1호, pp. 68.

정재영(2007)은 디지털 정보의 증가와 이에 따른 서비스 변화의 필요성, 그리고 이용자들의 도서관 정보 및 공간 활용 방식의 변화에 따른 대응 방안의 하나로 정보공유공간을 소개하고 국내 대학도서관에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보공유공간 적용을 위한 필수요소와 단계별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 사례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도서관 의 공간 활용과 서비스 모델의 발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외에 비교적 유사한 연구로는 도서관의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가 있다. 남영준, 문정현, 이정현(2009)은 C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리모델링 전 ․ 후의 이용자 만족도 변화를 설문조 사를 통해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는 이용자가 원하는 도서관 공간 활용 가운데 열람공간, 휴게공간, 스터디룸에 대한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2. 국내 대학도서관 정보공유공간 사례

본 연구에서는 2005년 이후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을 신설, 리모델링 혹은 확장한 네 개의 대학도서관을 선정하여 사례를 조사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하여 타 대학도서 관에서는 어떠한 모형의 정보공유공간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설문에 이 모형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E여대 학생들은 어떠한 모형의 정보공유공간을 선호하는지 알아보려 한다. 나아가, 이 사례들을 통하여 E여대 중앙도서관이 이용자들의 요구를 충족한다면 이용률을 얼마나 높일 수 있는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1) H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1) 정보공유공간 현황 및 특징

1998년 신축 이전한 H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은 2008년 리모델링을 통해 정보공유공간을 통합 및 확장하였다. 지상 6층, 지하 3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지하층은 자유열람실로, 지상 층은 각각의 자료실로 구성되어 있다. 백남학술정보관은 자료실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타 편의시설을 갖추어 쾌적한 연구·학습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정보공유공간의 측면을 중점적 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진 1 H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1층에 위치한 북까페 및 라운지의 모습

(출처 : 연구자 이한슬)

각 층별

정보공유공간 구성

해당 정보공유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물리적 자원 현황

인적 자원의 유무 지하

1층 그룹 스터디룸 소규모그룹별 스터디를 위한 공간 (4실 24명수용)

1층

통합 인포메이션센터

자료의 대출 반납 및 주요서비스를

이용하는 안내데스크.

더불어숲 장애학우의 학습 및 휴식을 위한 공간 전자정보검색실 TV, CD, DVD, Video Tape, Audio Tape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열람할 수 있는 공간 북까페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 표 1 H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의 정보공유공간 현황

(출처 : H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웹사이트 <건물 안내> 페이지8))

H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은 2008년 리모델링을 통해 시설적 측면에서도 다른 대학도서관에 비해 뒤처지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주목할 만한 부분은 정보공유공간이 건물 전체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타 대학도서관에 비하여, H대는 한 층에 주로 집약되어 있다는 것이다. 물론 그룹 스터디룸은 지하에 따로 위치하지만, 나머지 시설들은 주로 한 층에 집약적으로 위치한다.

2008년 도입된 지하 1층의 그룹 스터디룸은 학생들의 소규모그룹별 스터디를 위한 공간이다.

이용자들은 사전예약을 통해 이 정보공유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1층의 통합인포메이션센터는 자료의 대출 반납뿐만 아니라 주요서비스에 대해서 이용자들 에게 안내하는 정보제공데스크이다.

‘더불어숲’은 장애학우들의 학습 및 휴식을 지원하는 공간이며, ‘북까페’는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정보를 공유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문화공간이다. 또한 E여대의 ‘PC실’, ‘시청각 자료실’, ‘정보검색실’이 H대학에서는 ‘전자정보 검색실’이라는 공간으로 통합되어 이용자들이 한 공간에서 통합적으로 이용가능하게 하였다.

이 정보공유공간들을 모두 1층에 배치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면서도 자유 롭게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했다.

8) http://library.hanyang.ac.kr/paiknam/index.jsp

각 층별 정보공유공간 구성

해당 정보공유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물리적 자원 현황

인적 자원의 유무 1,2,4

그룹 스터디룸 소규모그룹별 스터디를 위한 공간 (27실 174명 수용)

3층 교육실, 화상회의실

멀티미디어 관련교육 및 학술정보관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교육공간으로 활용

(37명 수용)

2층

멀티미디어 열람실

TV, CD, DVD, Video Tape, Audio Tape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열람할 수 있는 공간

(296명 수용)

Group Presentation Room

중규모 집단의 세미나, 회의 등을 위한 공간 (18명 수용)

(2) 정보공유공간 확충에 따른 이용률의 변화

구분 2008 2009

인원 인원 증감비율

도서관

방문자 수 1,212,883 1,691,271 39.44%

표 2 H대학교 연간 이용자 수 (단위:명)

(출처 : 한국도서관협회. 2009, 2010 한국도서관연감)

위의 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듯이, H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이 리모델링한 2008년 이래로 2009년 한 해 연간 이용자 수는 39.44%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08년 내부 리모델링을 통해 인포메이션센터를 통합하고, 그룹 스터디룸과 교육실을 신설하였는데 이러한 변화가 2008년의 연간 이용자 수와 2009년의 연간 이용자 수를 비교해볼 때 연간 이용자 수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여겨진다.

2) K대학교 Centennial Digital Library (1) 정보공유공간 현황 및 특징

K대학교 Centennial Digital Library(학술정보관)은 2005년 5월 개관하였다. 지상 4층 지하 1층으로 이루어진 K대학교 분관이며 디지털 도서관이다. 따라서 일반자료실은 중앙도서관에 위치하며 이곳에는 정보공유공간과 국제기구자료실 등이 위치하고 있다. 정보공유공간을 중심으로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3 K대학교 CDL의 정보공유공간 현황

각 층별 정보공유공간 구성

해당 정보공유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물리적 자원 현황

인적 자원의 유무

1층

정보검색실 정보검색, 문서편집, 프로그램 개발 및 실습

(204명 수용)

Multimedia Production Lab

IT, 영상, 미디어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제작 및 시연, 시연실, 사진제작실, 영상 제작식,

영상시연실 등 (91명 수용)

지하 1층

국제원격회의실 화상회의 시설로 학술교류에 이용 (12명 수용)

삼성글로벌라운지

(휴게실) 휴식공간, 피아노 연주 가능

(출처 : K대학교 CDL 웹 사이트 <실별 이용안내> 페이지9))

K대학교 CDL은 지하1층부터 지상4층까지 총 다섯 층에 정보공유공간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보인다. CDL의 가장 큰 특징은 디지털 도서관으로서 일반 자료실이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일반 자료실의 자료를 필요로 할 시에는 중앙도서관에서 자료를 대출하여 이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디지털 자료를 이용함에 있어서는 대규모의 멀티미디어 열람실, 정보검색실, Multimedia Production Lab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큰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멀티미디어 열람실에서는 TV, CD, DVD, Video Tape, Audio Tape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열람할 수 있다. 정보검색실의 컴퓨터는 단순히 정보검색 단말기가 아니라 정보검색, 문서편집, 프로그램 개발 및 실습 기능을 제공한다. Multimedia Production Lab에서는 IT, 영상, 미디어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제작 및 시연실, 사진제작실, 영상 제작실, 영상시연실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물리적 자원을 바탕으로 약 500명의 이용자에게 한 건물 안에서 디지털 자료를 검색, 열람, 창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시설을 활발히 이용할 수 있도록 교육실에서는 포토샵, 프리미어, 인디자인, 사회과학자료원 통계분석 이용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 밖에 27실(174명 수용)이나 되는 그룹 스터디룸과, 중규모 집단 세미나를 지원하는 그룹 프레젠테이션룸 등을 제공하여 협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서관의 물리적 제약을 벗어나 화상회의를 할 수 있는 국제 원격 회의실도 설치하였다.

지하에는 휴게공간인 삼성글로벌라운지를 설치하여 피아노 연주도 자유롭게 하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였다.

9) http://cdl.korea.ac.kr/cdlintro/cdl.jsp?fileName=/cdlintro/1f&imgName=title_conduct&menuNum=1&sub Menu=conduct_1

문서에서 제 2 회 대학(원)생 도서관 선진화 (페이지 3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