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례조사를 통해 국내 대학교의 정보공유공간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 H대학교 도서관은 통 합인포메이션센터, 스터디룸, PC실, 시청각자료실, 휴게공간 등 일반적 정보공간 이외에 특징 적인 정보공유공간으로 북카페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들은 한 층에 집 약된 모습을 보였다. Y대학교 도서관은 스터디룸, PC실, 시청각자료실, 정보교육실 이외에 라운지형식의 휴게공간, 주제전문사서실, 학습지원센터를 갖추고 있으며 두 층에 걸친 분포를 보였다. S대학교 도서관은 스터디룸, PC실, 시청각자료실, 정보교육실 외에 카페가 있는 휴게 공간을 가지고 있었으며 세 층에 걸친 분포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K대학교 도서관은 스터디 룸, PC실, 휴게공간 이외에 멀티미디어 열람실 및 프로덕션 Lab을 갖추고 있으며 다섯 층에 걸친 넓은 분포를 보였다.

위 네 개의 대학교 도서관들은 대부분 공통적으로 PC실, 스터디룸, 휴게공간, 시청각자료 실을 갖추고 있었으며 특징적인 공간으로는 휴게공간의 형태(북카페, 라운지, 카페)와 멀티 미디어 프로덕션 Lab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하는 정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분포에 있어서도 한 층에 집약되어 있어서 집약도가 높은 곳부터 다섯 층에 걸쳐 넓은 분포를 보이는 곳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였다. 또한 사서들이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에 있어서도 주제 전문사서실을 운영하는 등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네 개 대학교 모델에 대한 이용자들의 설문 결과, 연구자들은 이용자들의 선호 이 유를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었다. 먼저, 정보공유공간의 분포 측면이다. 이용자들은 정보공유공간이 한 층에 집약되어 있으면 이동이 편리하고, 한 층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만족스럽다고 응답했다. 뿐만 아니라, 정보공유공간의 분포가 두 층에 걸쳐 이루 어지는 것 역시 나쁘지 않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하지만, 정보공유공간이 세 층 또는 다섯 층에 걸쳐 있게 되는 경우, 이용자들은 동선이 너무 길어지게 되므로 그에 따른 선호도가 점차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 생각해 보아야 할 점은 특징적인 정보공유공간의 측면 이다.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사실은, E여대 중앙도서관의 이용자에게 독서와 휴식을 함께 향유할 수 있는 정보공유공간이 필요하다는 사실이었다. 응답자들은 타 대학

도서관의 북카페, 라운지 형식의 휴게공간, 카페가 있는 휴게공간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독서만 하는 갇힌 도서관의 모습에서 벗어나 점차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며 열려있는 도서관의 모습을 선호하는 이용자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설문을 통해 현재 이용자들의 도서관 이용빈도와 E여대 중앙도서관이 이용자들이 원 하는 정보공유공간을 갖춤으로써 달라지는 이용빈도를 비교하여 이용률의 증감을 예측해 보 았다. 이용자들의 도서관 이용을 최소와 최대로 나누고, 1인당 연간이용횟수와 설문결과로 얻은 이용자들의 수를 서로 곱하여 현재와 정보공유공간의 확장 및 통합이 이루어진 후의 이용자 들의 이용횟수를 예측한 결과, 이용횟수는 최소 72.45%, 최대 79.84%, 평균 76.75% 증가한다는 예측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는 국외의 성공적인 정보공유공간 도입 사례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간 헐적인 정보공유공간 도입 사례조사에 그쳤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지닌다. 국내의 사례에서 더 나아가 국외 대학도서관의 모범적인 정보공유공간의 확장 및 통합 사례를 찾아보고, 잘 운영되고 있는 사례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국내 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 통합 및 확장으로 인 한 이용률 변화가 확실한 인과관계에 인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물론, 정보공유공간의 통합 및 확장이 각 도서관의 연간 이용자 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지만, 단지 그 이유 하 나 때문이 아니라 복합적인 요소들이 결합되어 연간 이용자수가 증가했을 수 있다는 데에 한 계가 있다. ‘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이라는 물리적 시설에 초점에 맞췄다는 점, 즉 인적자원, 사서들의 정보봉사가 합쳐졌을 때 정보공유공간의 시너지 효과가 발휘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부재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들을 보완할만한 추가적인 조사 및 연구가 지속 적으로 필요하다.

참고문헌

고려대학교 Centennial Digital Library 홈페이지.

<http://cdl.korea.ac.kr/cdlintro/cdl.jsp?fileName=/cdlintro/1f&imgName=title_cond uct&menuNum=1&subMenu=conduct_1> [인용 2010. 5. 12].

남영준(Young-Joon Nam), 문정현(Jung-Hyun Moon), 이현정(Hyun-Jung Yi). 2009.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전·후의 공간구성에 관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205-222.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홈페이지. <http://lib.skku.edu/guide/Guide.SL.Floor.ax>

[인용 2010. 5. 13].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홈페이지.

<http://library.yonsei.ac.kr/main/sub.do?menuCode=0008> [인용 2010. 5. 13].

윤주영. 2010. 2010년 5월 25일 이메일을 통한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의 2006-2009년 연간 도서관 방문자 수와 시설 현황 문의.

정재영. 2007. “대학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정보공유공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 도서관정보학회지, 38(1): 67-87.

정재영. 2007. “대학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 적용 모형 연구.” 한국도서 관정보학회지, 38(3): 201-221.

한국도서관협회. 2006.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 계문사.

한국도서관협회. 2007.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 계문사.

한국도서관협회. 2009.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 계문사.

한국도서관협회. 2010.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 계문사.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 홈페이지.

<http://library.hanyang.ac.kr/paiknam/index.jsp> [인용 2010. 5. 14].

허영석. 2010. 2010년 5월 26일 이메일을 통한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의 2007-2009년 연간 도서관 방문자 수에 관한 문의.

Andrew Richard Albanese, “Campus Library 2.0,” Library Journal, Vol.129, No.7(April 2004).

pp,32-33. 재인용: 정재영, 2007, 67-87.

Andrew Richard Albanese, “Deserted No More,” Library Journal, Vol.128, No.7(April 2003), pp.34-36. 재인용: 정재영, 2007, 67-87.

Chuck Malenfant, “The information Commons as a Collaborative Workspace,” Reference Service Review, Vol.34, No.2(2006), p.282. 재인용: 정재영, 2007, 67-87.

“King's College Library Wins Award,”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Vol.59.

No.3(March 1998). pp.150-151. 재인용: 정재영, 2007, 67-87.

부록 <설문지>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확장 및 통합을 위한 이용자 의견 조사 안녕하십니까?

저희는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김은지, 이한슬, 최원실이라고 합니다. 본 설문지는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대학 도서관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 확장 및 통합에 대한 이용자의 의견을 듣고 자 만들어졌습니다. 본 연구가 대학도서관의 학술, 연구, 문화적 가치를 높이는데 활용 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아울러 귀하께서 응답하신 내용은 통계 처리되어 본 연구의 목적 이외에는 어떠한 목적으로도 사용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귀한 시간을 내어주신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10. 5.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연구자 : 김은지, 이한슬, 최원실 hanseul1010@hanmail.net

※ 해당 항목에 V 표 또는 ( )안에 해당 사항을 적어주십시오. 선택하는 문항은 가장 중요한 순서부터 차례대로 적어주시고, 각각의 질문에 대하여 보기 항목 외에 다른 의견이 있으시면 마지막 보기 항목인 ‘기타’ 란에 내용을 상세히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도서관 이용관련]

1. 귀하의 본교 중앙도서관 이용횟수는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입니까? ( )

① 거의 매일(주 4회 이상) ② 일주일에 2~3회 정도

③ 일주일에 1회 정도 ④ 한 달에 2~3회 정도

⑤ 한 달에 1회 정도 ⑥ 일 년에 3~4회 정도

⑦ 일 년에 1~2회 정도 ⑧ 거의 이용하지 않음

2. 귀하가 본교 중앙도서관의 시설을 이용하는 이유를 순서대로 3가지 선택해 주십시오.

(1순위:__________, 2순위:__________, 3순위:___________ )

➀ 학술연구에 도움을 받기 위하여 도서를 열람 혹은 대출하기 위하여 ➂ 자유열람실(독서실) 이용을 위하여 PC실을 이용하기 위하여

⑤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⑥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⑦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⑧ 도서관의 다른 시설과 연계해 이용하기 좋기 때문에

⑨ 문화생활을 위하여 ⑩ 기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귀하가 가장 많이 이용하시는 도서관 시설을 순서대로 3가지 선택해 주십시오.

(1순위:__________, 2순위:__________, 3순위:___________ )

① 일반자료실 ② 정기간행물실 ③ 참고실(지정도서) ④ 시청각자료실 ⑤ 특수자료실 (고서실 및 여성학자료실) ⑥ 학위논문실 ⑦ 복사실

⑧ 자유열람실 (독서실) ⑨ 정보교육실

⑩ PC실 및 노트북실 ⑪ 휴게실 ⑫ 기타 ( )

[도서관 이용만족도관련]

4. 현재 본인의 이화여대 중앙도서관 이용 만족도는 어떻습니까? ( )

① 매주 만족한다. ② 만족한다. ③ 보통이다. ④ 불만족한다. ⑤ 매우 불만족한다.

(①번의 응답자는 5번으로, ⑤번의 응답자는 6번 문항으로 가십시오.) (②,③,④번의 응답자는 7번 문항으로 가십시오.)

5. 중앙도서관 이용에 매우 만족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 )

① 도서 열람 및 대출 면에서의 만족 ② 연구 및 학술활동에 도움이 되어서 ③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측면의 만족 ④ 관내 시설 측면에서의 만족 ⑤ 사서들의 친절한 서비스 ⑥ 관내 환경의 만족

⑦ 도서관 위치 ⑧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중앙도서관 이용에 매우 불만족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 )

① 도서 열람 및 대출에서의 불만족 ② 연구 및 학술활동에 도움이 되지 않아서 ③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측면의 불만족 ④ 관내 시설 측면에서의 불만족

⑤ 사서들의 불친절한 서비스 ⑥ 관내 환경(공간 부족, 소음 등)의 불만족 ⑦ 도서관 위치의 불만족 ⑧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정보공유공간 이용관련]

정보공유공간은 도서관의 정보와 인력을 바탕으로 참고서비스와 정보기술을 결합하여 이용자 들의 연구와 학습을 지원하는 통합 이용자 서비스 공간입니다. 이러한 정보공유공간에는 그룹 스터디룸, 휴게실, 시청각자료실, PC실이 있으며, 최근 해외 및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확장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설치되어 있는 정보공유공간은 다음과 같 습니다.

• PC실(1층), 정보검색실(2층) : 이용자 정보검색용 PC실 • 시청각자료실(1층) : CD, DVD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열람실

• 정보검색안내데스크(2층) : 참고자료실 입구에 있는 데스크로, 사서가 상주하며 이용자들에게 자료의 이용 및 검색, 학술DB 이용 및 검색, 전자저널의 이용 안내를 하는 곳

문서에서 제 2 회 대학(원)생 도서관 선진화 (페이지 54-66)